d라이브러리
"일의"(으)로 총 20,677건 검색되었습니다.
- [이달의 과학사] 8월 20일이 ‘세계 모기의 날’인 이유?어린이과학동아 l2020년 16호
- 혹시, 세상에서 사람을 가장 많이 죽이는 동물의 정체를 아시나요? 호랑이? 상어? 정답은 바로 ‘모기’입니다! 세계보건기구(WHO)에 의하면, 모기는 매년 약 72만 5000명의 목숨을 빼앗아요. 인간을 제외한 위험한 동물 2위인 뱀의 피해자 수(약 5만 명)보다 14.5배나 많은 수치죠.모기가 위협적인 이유 ... ...
- [과학뉴스] 태양에 가까이 더 가까이! 솔라 오비터가 보내온 사진어린이과학동아 l2020년 15호
- 이 사진은 유럽우주국(ESA)이 지난 7월 16일 공개한 특별한 태양의 모습이에요. 뭐가 특별하냐고요? 지금까지 인류 역사상 태양을 가장 가까이서 찍은 사진이거든요. 지난 2월 ESA가 발사한 태양 탐사선 ‘솔라 오비터’가 태양과 약 7700만km 떨어진 곳에서 찍었지요. 이 사진엔 태양 표면 근처에서 셀 ... ...
- [과학뉴스] 사람보다 1000배 빠른 로봇과학자어린이과학동아 l2020년 15호
- 7월 8일, 영국 리버풀대학교 화학과 앤드루 쿠퍼 교수팀은 “로봇 과학자가 사람보다 1000배 빨리 실험했을 뿐 아니라 기존보다 6배 성능이 좋은 촉매도 개발했다”고 밝혔어요. 연구팀이 개발한 로봇은 공장과 같은 산업 현장에서 볼 수 있는 로봇팔처럼 생겼어요. 다른 점은 공장이 아니라, 실험실 ... ...
- 올여름은 화성 탐사 성수기?! ‘퍼시비어런스’와 친구들어린이과학동아 l2020년 15호
- 여러분, 저 곧 화성에 가요. ‘DASOL LEE’라는 이름이 적힌 이 화성행 티켓이 바로 제 거예요. 지난해 5월 미국항공우주국(NASA)이 화성행 티켓을 무료로 뿌리기에 저도 냉큼 신청을 했죠. 제가 화성에 가면 어과동은 누가 만드냐고요? 걱정 마세요. 제 이름만 가거든요….(오열) NASA의 탐사로버 ‘퍼시 ... ...
- ‘항공샷’ 찍을 헬기, 날려도 됩니까?어린이과학동아 l2020년 15호
- 퍼시비어런스의 또다른 계획은 지구에서도 유행인 항공샷 촬영! 인류 최초로 지구가 아닌 다른 행성의 하늘에 헬기를 날릴 계획에요. 대기도 적고 날씨도 추운 화성에서 과연 헬기를 날릴 수 있을까요? 지구 밖에서 최초로 헬기 날린다!2019년 3월, NASA는 1월에 진행했던 헬기 ‘인지뉴이티’의 첫 ... ...
- 데이터에 예술을 더하다!어린이과학동아 l2020년 15호
- 데이터가 예술과 만나 작품으로 변신했어. 그동안 예술이라 했을 때 그림이나 조각, 설치 미술만 떠올렸다면, 이제부터는 그 편견과 작별 인사를 해야겠는걸? 데이터가 예술로 변했다?우리는 매일 스마트폰과 컴퓨터 등을 사용하며 데이터를 끊임없이 만들어내요. 이렇게 만들어진 방대한 양의 데 ... ...
- 예술이 된 우주·과학동아천문대 소식어린이과학동아 l2020년 15호
- ISS에서 본 니오와이즈 혜성!지난 7월 10일, NASA가 국제우주정거장(ISS)에서 지구를 향해 날아오는 ‘니오와이즈’ 혜성의 사진을 공개했어요. 니오와이즈라는 이름은 지난 3월 27일 천체 탐사 위성인 ‘NEOWISE’가 발견해 붙여진 이름이에요. 공식 명칭은 ‘C/2020 F3’으로 2020년 3월 후반 세 번째로 발견 ... ...
- [통합과학 교과서] 콩나무 타고 별 보러 슝~어린이과학동아 l2020년 15호
- “꿀록 탐정님! 사기꾼 좀 잡아 주세요!”화가 잔뜩 난 소리에 개코 조수가 탐정 사무소 문을 열었어요.“콩마을에 사는 잭의 어머님이 아닙니까? 무슨 일이신가요?”꿀록 탐정의 질문에 잭의 어머니가 씩씩거리며 말했어요.“아니, 요즘 우리 집 사정이 안 좋아서 잭에게 소를 팔라고 시켰더니, 글 ... ...
- 예술도 이제 과학적으로어린이과학동아 l2020년 15호
- 화려한 조명이 댄서와 웬 졸라맨을 감싸네…요? 이게 어찌 된 일일까요? 최근 국립현대무용단은 인공지능이 만든 안무로 공연을 펼쳐 화제가 됐어요. 예술을 만난 과학, 너의 변신은 도대체 어디까지니?! 도움·사진★김근형(미디어아트 그룹 슬릿스코프), 김윤철(스튜디오 로쿠스 솔루스 운영 작 ... ...
- [이달의 과학사] 기차 시간표를 맞추려고 탄생했다? ‘그리니치 표준시’어린이과학동아 l2020년 15호
- 옛사람들은 사는 곳에 따라 각자의 시간을 썼어요. 대부분 해가 가장 높게 뜬 정오를 기준으로 하여 시간의 기준으로 삼았지요. 지역마다 해가 높게 뜨는 시간이 다르니, 나라마다, 마을마다 사용하는 시간이 수백 수천 가지로 달랐어요. 하지만 큰 불편함은 없었지요.그런데 19세기 영국에서 철도가 ... ...
이전328329330331332333334335336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