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바깥
외부
노천
겉
표면
야외
옥외
뉴스
"
밖
"(으)로 총 3,876건 검색되었습니다.
진로강좌 553개… 현장실습 330명… 동아리 참여 2555명
동아일보
l
2015.09.03
및 연구소와 교류해 인턴십 프로그램을 확대해 나갈 계획”이라고 말했다. 가천대는 이
밖
에 취업동아리와 멘토를 연결해 조언을 듣는 ‘취업동아리 멘토링’, 단과대학별 또는 계열별로 현직 담당자로부터 특강을 듣는 ‘직무 릴레이특강’ 등을 운영하며 학생들의 취업을 지원하고 있다. ○ 직업 ... ...
태양계
밖
행성, 지구와 성분 달라
2015.09.01
형성한다는 사실을 확인했다. 라바노브 연구원은 “과산화마그네슘이 태양계
밖
암석 구조의 행성 내부에서 만들어질 수 있다는 가능성을 보여준 실험”이라며 “이 물질은 반응성이 큰 만큼 새로운 생명체의 존재 가능성을 점쳐 볼 수 있을 것”이라고 말했다. ... ...
프랑스 아이는 과학을 어떻게 공부할까
2015.08.30
제공하는 역할을 했다면 이 책은 지구인에게 들려주는 외계인에 관한 보고서다. 지구
밖
어느 곳엔가 살고 있을지 모를 생명체에 대한 관심을 가까운 태양계에서부터 되짚어보며 차근차근 풀어나가는 식이다. 둘 사이의 차이점은 히치하이커가 공상과학 소설이라면, 이 책은 외계인의 ... ...
[신나는 공부]입시중심 동아리문화 떠나 학교
밖
으로
동아일보
l
2015.08.25
스펙’을 만드는 활동 위주로 운영되자 순수한 취미활동을 즐기려는 고교생들이 학교
밖
에서 모이기 시작한 것이다. 성인 중심이던 동호회 문화가 고교생까지 넓어진 것으로 볼 수도 있다. 하지만 속사정을 들여다보면 동아리 활동까지 입시실적 중심으로 변해가는 고교의 현실을 발견할 수 있다. ... ...
맛있는 토마토를 고르는 과학적 방법
2015.08.23
잘 일어나지 않는다”며 “당과 영양성분의 함량이 적어지면 토마토의 풍미가 떨어질 수
밖
에 없다”고 말했다. 토마토를 고르는 과학적인 방법은? 빨갛게 익은 겉모습에만 현혹돼지 말아야 겠다. ... ...
은하수 저편에서 ‘유령입자’ 샘솟는다
2015.08.20
높은 입자들은 궤적의 방향성이 무분별한 특징을 보였는데 연구진은 이들이 우리은하
밖
에서 오는 입자들이라고 추정했다. 연구에 참여한 카르스텐 로트 성균관대 물리학과 교수는 “이번 연구는 새로운 방식으로 고에너지 중성미자들의 출처를 확인했다는 점에서 의미가 있다”며 “향후 ... ...
오빤, 나보다 그게 더 중요해?
과학동아
l
2015.08.18
노력해 보기로 했습니다. 어쩔 수 없이 당분간은 디아블로가 활개치도록 내버려두는 수
밖
에요. ※ 동아사이언스에서는 고호관 기자의 '완전 까칠한 호관씨'에 이어 ‘로맨틱한 호관씨’를 매주 수요일 연재합니다. 2012년 과학동아에 연재되었던 코너로 연애와 관련한 다양한 이야기를 ... ...
문어 게놈 첫 완전 해독
2015.08.16
하늘을 보며 포효하고 있는 모습이 표지에 실렸다. 태어난 직후 울음소리
밖
에 내지 못하는 마모셋원숭이는 성장하면서 ‘휘이~’ 하는 휘파람과 유사한 소리를 낸다. 다니엘 다카하시 미국 프리스턴대 심리학부 연구원 팀은 새끼 마모셋원숭이의 목소리는 부모 목소리에 영향을 받아 ... ...
곡물과 석유가 드나드는 미시시피 강
2015.08.16
미국 뉴올리언스 주에서 미시시피 강을 실제로 봤을 때 소설의 내용에 의구심을 가질 수
밖
에 없었다. 바다를 연상케 하는 거대한 규모에 거센 물살까지…. 소년이 뗏목을 타고 건너기란 아무래도 불가능할 것 같았다. 실제로 작은 배를 타고 미시시피 강에 올랐다. 보이는 것만큼 거친 물살에 배가 ... ...
난치성 신경질환치료 청신호… 뇌 세포 신경전달 과정 알아냈다
2015.08.11
2개가 하나로 합쳐지는 것처럼 하나의 막으로 합쳐되고, 이 막을 통해 신경전달물질이
밖
으로 빠져나가며 분비된다. 하지만 신경전달물질이 어떤 형태로 분비되는지는 알려져 있지 않았는데 연구팀이 최초로 이를 발견한 것이다. 김 단장 팀은 세포물질 전달과정을 관찰하기 위해 미세한 ... ...
이전
326
327
328
329
330
331
332
333
334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