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성분
실재물
재료
물질문화
문화
방사성물질
방사성
d라이브러리
"
물질
"(으)로 총 8,140건 검색되었습니다.
황당맨의 취재수첩
과학동아
l
2012년 01호
만났다.김 교수팀은 ‘표면 증강 라만 산란’이라는 현상을 이용했다. 라만 신호는 빛이
물질
을 통과하는 과정에서 본래의 빛 에너지가 달라지면서 나오는 신호다. 하지만 신호가 너무 약해 측정이 어렵다.표면 증강 라만 산란 현상은 금속 나노 구조에 분자가 붙어 있을 때 그 분자의 라만 신호가 ... ...
에너지의학의 신비로운 세계
과학동아
l
2012년 01호
것임에 주목했다. 또, 에너지의 개념에 덧붙여 시공간의 개념을 정립하고, 에너지와
물질
그리고 시공간 사이의 관계를 밝혔다. (…중략…)이러한 역사적 배경과 과학자들의 관심 속에서 오늘날 새로이 대두되는 것이 에너지의 개념을 의학에 도입한 에너지의학이다. 인체는 질병으로 인한 증상을 ... ...
2012년 내가 제일 잘나가!
어린이과학동아
l
2012년 01호
LHC)야. 지금 힉스 입자의 흔적을 포착하는 실험 중이란다. 힉스 입자는 모든
물질
의 기본 입자라고 할 수 있지. 만약 존재가 밝혀지면 우주 탄생의 비밀에 더 가까이 다가가게 될 거야. 거대한 폭풍이 몰려 온다?태양 폭풍안녕? 난 빅뱅…이 아닌 태양계의 중심, 태양이야! 미안하지만 올해 지구에 ... ...
Part1. 2049 인류 최초 화성 기지 '웰즈'의 기록
과학동아
l
2012년 01호
쓸 광물을 캐고, 우리가 살 건물을 짓고, 화성의
물질
을 이용해 우리에게 유용한
물질
을 만들어줄 미생물을 연구할 것이다. 다들 의욕이 넘쳐 보였다.새 대원들이 각자 자리에 배치받기 전 함께 기지 근처의 지형을 둘러보러 나갔다. 화성에 온 지 한 달 만에 처음으로 화성의 땅을 밟아보는 것이다. ... ...
모기 감각의 비밀
과학동아
l
2012년 01호
행동유전체연구센터는 모기가 피를 빨아먹을 따뜻한 동물을 찾을 때 쓰는 감각과 화학
물질
인 살충제를 피할 때 쓰는 감각이 같은 통로에서 일어난다는 사실을 밝혀냈다. 연구 결과는 지난해 12월 13일 ‘네이처’ 온라인 판에 실렸다.어떻게 모기는 한 통로에서 일어난 감각을 구분할까. 연구팀은 그 ... ...
곤충 껍질만큼 가볍고 단단한 플라스틱 나왔다
과학동아
l
2012년 01호
‘키틴’과 여러 단백질이 어우러져 층층이 쌓여 있는 구조의 ‘큐티클’이라는
물질
로 이루어져 있었다.포크만 교수팀은 곧 먹고 남은 새우 껍질을 가져 왔다. 새우 껍질은 키틴이 풍부하다고 알려져 있기 때문이다. 포크만 교수팀은 이 새우껍질에서 키틴을 이루는 고분자를 분리 정제한 후 ... ...
햇볕에 널기만 해도 깨끗해지는 옷
과학동아
l
2012년 01호
가시광선에서도 오염
물질
을 제거하는 효과가 있다. 자외선을 비롯해 가시광선까지 오염
물질
을 제거하는 데 이용할 수 있어 햇볕에 널기만 해도 깨끗해진다. 연구팀은 오렌지색 염료가 묻은 이 섬유를 1000W 세기의 빛에 2시간 노출시켰을 때 염료가 사라졌다고 밝혔다 ... ...
세상에서 가장 둥근 게 뭐지?
과학동아
l
2012년 01호
이론들이 틀렸음을 보여준다. 연구에 참여한 에드워드 힌즈 교수는 “물리학자들은 반
물질
에 어떤 일이 벌어졌는지 아직은 모른다. 그러나 이번 연구는 몇 가지 그럴듯한 설명을 제거하는 데 도움이 된다”고 말했다.세상에서 가장 둥근 물체를 만들어내는 싸움에서 인간은 자연에 완패했다. 앞으로 ... ...
내 우주는 눈을 감을 때 더 잘 보인다
과학동아
l
2012년 01호
눈을 감을 때 더 잘 보인다고. 우주가 어떻게 시작됐을까. 어떻게 뜨거운 초기우주에서
물질
의 근원이 만들어졌을까. 식어가는 우주 속에서 어떻게 은하와 별들이 태어났을까. 별의 최후는 어떤 모습일까. 이 모든 것들의 순환과정을 알 수 있을까. 완벽한 진실은 결코 알 수 없겠지만 과학과 이성의 ... ...
“외국 학생들이 유학 오는 대학으로 발전할 것”
과학동아
l
2012년 01호
성능 개선이 완료되면 막스플랑크재단과 함께 세계 최고의 빔라인을 건설해 복합
물질
을 근본적으로 연구할 수 있는 시스템이 만들어질 것”이라고 강조했다. 막스플랑크라는 이름값만 내세우는 것이 아닌 실제 아시아 연구기관들도 함께 연구할 수 있는 허브가 포스텍에서 만들어진다는 것이다 ... ...
이전
327
328
329
330
331
332
333
334
335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