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장치"(으)로 총 5,307건 검색되었습니다.
- 03 2005년 한국에 뜨는 별 K스타과학동아 l2001년 12호
- 공동실험실(Collaboratory)이 바로 그것이다. 세계의 과학자들이 어느 곳에 있든지 K스타 장치를 이용해 함께 실험에 참여하며 그 결과를 실시간으로 볼 수 있고 화상회의를 통해 결과에 대한 분석에 공동으로 참여하는 환경을 제공하는 것이다.세계 유일의 최첨단 핵융합 실험로를 지향하는 K스타는 ... ...
- 약물 안전하게 수송하는 분자 곶감타래과학동아 l2001년 12호
- 그림2).외부의 조건에 따라 초분자의 모양이 달라지므로 이를 이용하면‘분자기억장치’를 만들 수 있다. 각기 다른 모양의 초분자를 각각‘0’과‘1’로 기억시켜 기존의 반도체 역할을 대신 하는 것이다.더욱이 분자스위치는 기존의 칩보다 수십억배나 작고 스위칭되는 속도도 수백억배나 빠르다. ... ...
- 01 황사와 산성비 없애는 차세대 발전소과학동아 l2001년 12호
- 자석은 의료용 중저가 소형에서부터 고가의 대형까지 다양하다.또한 플라스마 보조 가열 장치 제작을 총괄 담당했던 홍봉근 기술이사는 현재 고효율 청정 플라스마 소각로 제작회사 ‘플라스마텍’을 설립해 전세계 고효율 초고온 플라스마 소각로 시장의 약 30%를 점유하고 있다. 핵융합에 ... ...
- Ⅰ 디지털 르네상스 주도할 쌍두마차 : ② 몸에 존재하는 자연산 슈퍼컴 DNA컴퓨터과학동아 l2001년 12호
- 부응하도록 튜링 기계는 입·출력 테이프와 헤드, 제어장치로 간단히 구성된다. 제어장치는 제한된 제어 기능을 수행하며 테이프를 통해 입력된 정보를 계산, 기록(기억)하고 최종 결과를 출력한다.이런 개념을 바탕으로 입력 테이프에 기록된 A, G, C, T 기호의 연속체를 읽고 왓슨-크릭의 상보성의 ... ...
- 뇌는 거짓말 못한다과학동아 l2001년 12호
- 다니엘 랭레벤 박사는 거짓말을 구별하기 위해 fMRI(기능적 자기공명영상장치)를 이용했다. 연구팀은 18명의 지원자를 받아 남을 속이는 거짓말을 해야 이기는 카드게임 종류를 시켰다.카드게임에 참가한 사람의 뇌를 fMRI로 촬영해 보통 때와 거짓말을 할 때 뇌가 어떻게 다른지를 조사했는데, 그 결과 ... ...
- 칩 위에 구현되는 마이크로 화학 공장과학동아 l2001년 12호
- 만일 사고가 나더라도 규모가 매우 작기 때문에 그 피해도 크지 않다. 또한 기존 실험장치와 비교할 수 없을 정도로 그 규모를 엄청나게 줄인셈이므로 경제적인 이득이 매우 크다. 예를 들어 지름 3cm의 플라스크 대신 1백분의 1크기인 3백μm 마이크로반응기를 쓸 경우 시료의 양을 1백만분의 1로 줄일 ... ...
- 실험실에서 상업용 발전소까지과학동아 l2001년 12호
- 난관을 극복하기 위한 핵융합 발전소급에 준하는 초대형 초전도 토카막 핵융합 실험장치인 ITER(International Thermonuclear Experimental Reactor) 건설에 합의했다. 2050년 최초의 상업용 발전소 가동 예정이후 유럽에서는 EU가 건설한 세계 최대의 토카막인 JET에서 1991년 중수소(D):삼중수소(T)=9 ...
- 02 꿈의 에너지 가로막는 난적을 공략하라과학동아 l2001년 12호
- 확보하기 위한 노력이 한국의 차세대 초전도 핵융합 장치(KSTAR)를 비롯한 여러 연구장치에서 계속되고 있다. 21세기 중반에는 에너지 문제의 궁극적 해결책이 될 꿈의 에너지 상업적인 핵융합 발전을 성취할 것으로 기대된다 ... ...
- Ⅱ 놀고 있는 컴퓨터 그물망으로 엮는다과학동아 l2001년 12호
- 작업이 필요하다. 하지만 단순히 컴퓨터 자원만을 연결하는 것이 아니라 대용량 저장장치, 데이터베이스, 전파망원경 등의 고성능 연구장비까지 포함돼야 한다.여기에서는 크게 세단계의 구축원칙이 필요하다. 먼저 세계의 여러 기관에 흩어져 있는 자원들이 다양한 형태로 존재하기 때문에 서로 ... ...
- Ⅰ 노벨상 Best3 vs Worst3 : 물리학 - 상대론 빠진 수상, 그래도 아인슈타인 최고과학동아 l2001년 11호
- 원리도 없고 그 뒤에 나온 STM(Scanning Tunneling Microscope, 주사 터널링 현미경) 같은 장치에 비하면 업적이 미미하다(STM은 최초로 실리콘의 표면영상을 얻었다).오랜 세월이 흐르고 나면 일반적으로 실험분야의 노벨수상자 업적이 이론분야의 업적보다 좀 퇴색되는 경향이 있다. 예를 들면 위에서 워스트 ... ...
이전327328329330331332333334335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