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기구
설비
장비
기계
설치
기기
시스템
d라이브러리
"
장치
"(으)로 총 5,307건 검색되었습니다.
모델이 질겁한 8시간 노출 사진기
과학동아
l
2001년 10호
12볼트짜리 배터리의 크기를 보면 1-2천만kw를 저장하기 위해서 얼마나 큰 규모의 저장
장치
가 필요한지 알 수 있다. 벼락을 잡는 기술보다 저장 기술이 먼저 해결돼야 한다. 정부나 대학의 대규모 연구기관이 아닌 개인 발명가가 개발 우선 순위를 혼동한다면 파산하기 십상이다.발명가들의 약점 중 ... ...
심심하고 할 일 없어 털다 -주유소 습격 사건
과학동아
l
2001년 10호
짜여진 줄거리와 신세대 감각에 어필하는 연출, 무엇보다도 기존 공포영화들의 관습적인
장치
들을 조롱하고 희화화하면서도 그 규칙을 충실히 따라가고, 그러면서도 기존 영화들을 훌쩍 뛰어넘는 구성이 참신하고 독창적인 작품. 영화의 무대는 우즈버로라는 미국의 조그만 마을. 깜짝 카메오로 ... ...
1 탄생 : 원자 주무르는 초소형 로봇
과학동아
l
2001년 10호
원자로 구성된 텅스텐 탐침을 금속 물질 표면에 근접시키고, 이 둘에 전압을 걸어주는
장치
를 만들었다. 탐침과 금속 사이의 거리가 수nm이면 터널링 현상에 의해 전자가 이를 뛰어넘을 수 있다. 즉 전류가 흐른다는 말이다.전류는 탐침과 물질 사이의 거리가 짧아질수록 지수적으로 커진다. 탐침을 ... ...
왜 물리학자는 암흑 속으로 파고들까
과학동아
l
2001년 10호
미약하나마 자기장을 발생시킨다.이 자기장을 SQUID라는
장치
(역시 초전도 현상을 이용한
장치
로 미약한 자기장을 검출한다)로 측정한다. 저온 검출기의 장점은 매우 낮은 에너지를 측정할 수 있다는 것과 감마선에 의한 배경을 분리할 수 있다는 것이다.미약한 에너지 변화와 함께 윔프 탐색에서 ... ...
진공청소기 발명 1백년
과학동아
l
2001년 10호
그러나 이 청소기는 우리 가정에 있는 조그마한 청소기가 아니었다. 마차에 펌프를
장치
한 거대한 기계였다. 요즘에는 어린아이도 진공청소기를 움직일 수 있지만, 당시에는 여러명의 건장한 어른이나 말이 진공청소기를 끌고 다녔다.부쓰의 ‘진공청소대원들’은 청소펌프를 끌고 영국 런던의 ... ...
휴대폰 전자파 인체에 얼마나 흡수될까
과학동아
l
2001년 09호
에릭슨, 모토롤라 등 세계 3대 휴대전화 제조업체가 뇌종양 위험을 줄이기 위한
장치
를 개발해 특허를 출원했다.올해 신문지면을 장식한 휴대폰 전자파 관련 기사 중 일부다. 현재 국내 휴대폰 이용자는 전체 국민의 5명 중 3명 꼴. 휴대폰은 다른 전기전자 기기와 달리 머리 부위에 밀착시켜 ... ...
화성탐사 나서는 집채만한 축구공
과학동아
l
2001년 09호
미국 모하비사막에서 크기 1.5m짜리 공을 모델로 실험했다. 실험 결과 어깨높이의 이
장치
는 모래언덕 4백여m를 터지지 않고 쏜살같이 달렸다. 경사진 모래벼랑도 잘 올라갔다.이 실험에 관여한 과학자 잭 존스 박사는“이것이 충분히 크다면, 거칠 것이 없다”고 강조했다. 과학자들은 이보다 4배 큰 ... ...
역사 속 과학자들의 기괴한 행동
과학동아
l
2001년 09호
성격 덕에 명성을 얻는데는 실패했다.스웨덴의 카를 셀례(1742-1786)는 가난과 빈약한 실험
장치
에도 불구하고, 불굴의 투지와 노력으로 성공한 화학자다. 산소를 발견한 업적은 억울하게 프리스틀리에게 빼앗겼지만, 염소의 발견 등 여러 업적을 남겼다. 하지만 셸레는 꼼꼼한 성격 탓에 화학물질을 ... ...
물리학자는 왜 대칭성에 주목할까
과학동아
l
2001년 09호
있었다(과학동아 2000년 9월호 참조). 반입자인 양전자는 이미 양전자단층촬영(PET)이라는
장치
에 사용되고 있으며 우리나라도 일부 병원에서 이미 뇌종양 등의 검진에 사용하고 있다.그렇다면 반입자는 어떻게 만들어지는것일까. 입자가속기는 양전자의 빔으로 전자의 빔과 충돌시켜 전자-양전자 ... ...
분자소재연구실 기능성 분자로 돌돌 말린 디스플레이 실현
과학동아
l
2001년 09호
친구의 메일이 도착해 있다. 기다리기로 작심한 H양은 어제 못다 읽은 소설을 저장
장치
에서 불러내 읽기로 한다.현재로서는 상상일 뿐인 이 얘기는 가까운 미래에 현실로 다가올지 모른다. KAIST 분자소재연구실에서 유기분자를 이용한 최첨단 정보통신 소자 개발에 박차를 가하고 있기 때문이다 ... ...
이전
330
331
332
333
334
335
336
337
338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