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대형
방대한
d라이브러리
"
큰
"(으)로 총 14,224건 검색되었습니다.
[수학공감] 여행에서 수학을 발견하다
수학동아
l
2017년 11호
학생들이 준비한 프로그램이 시작됐다. 모둠별로 숫자와 사칙연산 기호를 모아 가장
큰
수를 만드는 모둠이 이기는 게임이었다. 가장 먼저 해야할 일은 보물찾기였다. 보물은 건물 곳곳에 숨겨놓은 종이로, 종이 안에 적혀있는 식을 계산하면 숫자가 나온다. “여기에도 숨겨놓았단 말이야 ... ...
[SW 기업 탐방] 같이 타면 빠르고 안전한 학원 버스 셔틀타요
수학동아
l
2017년 11호
학원 버스를 타는 사람은 매일 바뀐다. 누구는 학원을 그만 두고, 다른 누구는 새로 학원에 들어오며, 또 어떤 친구는 탑승 장소를 바꾼다. 이처럼 변화무쌍한 ... 확장할 기회가 있을 거라 생각한다”고 말했다. 수학과 통찰력이 섞인 셔틀타요는 구체적이면서도
큰
미래를 그리고 있었다 ... ...
[공룡은 왜?] 공룡이 돌을 먹는다고? 용각류 위석의 비밀
어린이과학동아
l
2017년 11호
공룡 중에서 몸집이 가장
큰
초식공룡이에요. 기린처럼 긴 목으로 나무 꼭대기에 있는 잎을 따 먹지요. 그런데 용각류 공룡들이 식물 이외에 돌도 먹었다는 사실을 알고 있나요? 그렇다면 용각류는 돌을 우연히 먹었을까요? 아니면 일부러 삼킨 걸까요?용각류들이 위 속에 지녔던 ‘위석’용각류 ... ...
[이 얼굴을 지켜 주세요!] 금강 미호천에서 처음 발견된 미호종개
어린이과학동아
l
2017년 11호
반점이 길게 늘어서 있는 미호종개예요. 미호종개는 충청남도와 전라북도 사이를 흐르는
큰
하천인 금강에서 살아요. 서식지가 좁은데다가 각종 개발 사업으로 하천이 오염되면서 지금은 심각한 멸종위기에 처했답니다.그런데 최근 미호종개의 멸종을 막을 수 있는 방법이 생겼어요. ... ...
Part 2. 사람이 만들고 바람이 키운 산불
어린이과학동아
l
2017년 11호
또 그 불씨를 키운 건 무엇이었을까요?건조한 봄철, 사람의 실수가
큰
불 부른다이렇게
큰
피해를 일으킨 산불은 어떻게 시작됐을까요? 놀랍게도 모두 사람의 실수 때문인 것으로 보여요. 강릉과 삼척은 등산객의 실수로, 그리고 상주는 농작물을 태우다가 산으로 불이 옮겨 붙은 것으로 추정되고 ... ...
Part 1. 플라스틱 소라게가 나타났다!
어린이과학동아
l
2017년 11호
단단한 집게발로 입구를 막지요. 안락한 나만의 집에 살던 소라게는 몸집이 커지면
큰
집으로 이사를 해요. 새집으로 이사를 하는 순간이 소라게에게 가장 위험해요. 연약한 배 부분이 천적이나 외부 환경에 모두 노출되니까요.소라게는 사실 집의 종류나 모양을 크게 따지는 편은 아니에요. 몸을 ... ...
[과학뉴스] 전통 한지로 ‘종이 전극’ 개발
과학동아
l
2017년 11호
적합한 슈퍼 커패시터 기판으로 주목받아왔다. 하지만 금속보다 전기전도도가 낮아
큰
출력을 내기 어려운 것이 문제였다. 연구팀은 전통 한지에 주목했다. 한지는 다공성이어서 화학반응을 이용해 전기에너지를 대량 저장할 수 있고, 전해질도 쉽게 통과시켜 저장 용량을 늘릴 수 있다. 연구팀은 ... ...
[Issue] 양자컴퓨터 전쟁 시작
과학동아
l
2017년 11호
만드는 건 무모한 도전처럼 보이지만, 성공할 경우에는 가장 안정적이고 범용성이
큰
양자컴퓨터를 개발할 수 있다. 그 이유는 마요라나 페르미온의 입자 자체에 정보를 저장하는 것이 아니라 입자의 위치를 나타내는 파동 함수에 정보를 저장하는 방식 때문이다. 양자컴퓨터의 큐비트로 많이 ... ...
Part 4. 아쿠아 맨의 삼지창 초속 100m 초공동 어뢰로
과학동아
l
2017년 11호
발생한 기포가 압력이 높은 지역으로 이동하면 다시 액체로 돌아가려 하는데, 이때
큰
에너지를 방출하면서 소음이나 진동을 발생시킨다. 이는 프로펠러의 효율을 떨어뜨리고 프로펠러의 표면을 침식시킬 수 있기 때문에 선박 분야에서 매우 중요한 연구 주제다. 초공동 현상은 이런 공동 현상이 ... ...
Part 2. [화학상] 현미경의 ‘혁명’을 이끌다
과학동아
l
2017년 11호
해상도로 구조 정보를 얻을 수 있지만 몇 가지 단점이 있다. NMR은 50kDa 이상인 비교적
큰
분자의 구조 정보는 규명하기 매우 어려워 작은 단백질 분석에만 쓰인다. kDa(킬로달톤)Da는 달톤이라 부르며 원자의 질량을 나타내는 단위다. 탄소원자 질량을 12로 나눈 값을 1Da로 정의한다. k는 1000을 뜻한다 ... ...
이전
328
329
330
331
332
333
334
335
336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