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큰"(으)로 총 14,224건 검색되었습니다.
- [Origin] 강의실 밖 발생학 강의과학동아 l2017년 11호
- 존재하는 것이 아닙니다. 인간을 포함한 포유류의 배아 발달에도 혹스 유전자가 큰 역할을 합니다. 초파리에는 여러 개의 혹스 유전자가 하나의 그룹으로 묶여 있는데 진화 과정 동안 복제가 일어나면서 쥐와 인간의 유전체에는 이런 그룹이 4개나 존재 합니다. 혹스 유전자에 돌연변이가 생긴 쥐는 ... ...
- [Culture] 캐나다 국방연구개발원과학동아 l2017년 11호
- 그 위에 그레이비 소스와 응고된 치즈를 얹어 먹는 음식인데, 어마어마한 열량만큼 큰 힘을 내줍니다. 1950년대 퀘백 주에서 먹던 푸틴이 원조이지만 현재는 캐나다 어디서나 식당에 가면 쉽게 먹을 수 있습니다 ... ...
- 위상수학자가 도넛을 사랑하는 이유수학동아 l2017년 11호
- 유한한데 끝이 없고 양면인 곡면이 있다?!위상적으로 같은 곡면 조각을 이어 붙여서 큰 곡면을 만들 수 있습니다. 조각을 이어 붙이는 방법은 무한히 많고, 쓸 수 있는 조각 자체가 무한히 많을 수도 있습니다. 그래서 곡면의 성질도 다양 합니다. 무한히 많은 조각을 이어 붙여서 곡면을 ... ...
- [출동! 어린이과학동아 기자단] 우리집 라돈 프로젝트, 실내 공기를 지켜라!어린이과학동아 l2017년 11호
- 식물이 라돈 농도를 떨어뜨리는지 확인해 봤어요. 그 결과 숯과 공기청정기는 큰 효과가 없었어요.그런데 측정기 옆에 식물을 두고 라돈 농도를 측정한 결과, 라돈 농도가 떨어지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어요.하지만 안 좋은 점도 있어요. 식물의 잎은 계속 라돈을 품고 있어, 언젠가 다시 라돈을 ... ...
- Part 2. 오락가락 北 핵실험 규모, 왜?과학동아 l2017년 11호
- 커질수록 단층면도 커지고 지진파에 포함된 저주파수 에너지도 함께 증가한다. 하지만 큰 규모의 지진은 단층면이 수십~수백 초 동안 움직이는 과정에서 단층면보다 파장의 길이가 짧은 고주파수 에너지가 방출된다. 이 때문에 고주파수 신호에는 단층면의 전체적인 움직임과 관련된 모든 에너지가 ... ...
- Part 2. 슈퍼맨의 히트비전 고출력 광섬유 레이저로과학동아 l2017년 11호
- 파괴하기 위해서는 5~10MW의 출력이 필요하다. 물론 건물을 파괴하려면 그것보다 10배 이상 큰 100MW급 레이저가 필요할 것이다. 현재 원자력발전소의 순간 발전량이 1000MW 정도임을 감안하면 엄청난 에너지다. 하지만 슈퍼맨처럼 눈이라는 작은 면적에서 고출력 레이저를 발사하기 위해서 가장 먼저 ... ...
- Part 5. 플래시 스피드포스 초소형 가속기 기술로과학동아 l2017년 11호
- 게 가능하다. 전자의 경우에 특히 효율적이어서, 전자를 기존의 가속기보다 약 1000배 큰 힘으로 가속시킬 수 있기 때문이다. 앞으로 연구가 더 진행되면 테이블 위에 올릴 수 있는 크기의 차세대 가속기를 만들 수도 있을 것이다. 노벨상 5개 중 1개꼴로 가속기에서 나와지금까지 가속기를 이용해 ... ...
- [Future] ‘ 마션 인 하와이 ’ 8개월의 기록과학동아 l2017년 11호
- 분의 1밖에 안 되는 화성의 척박한 환경이 탐사대원의 건강과 대원들 사이의 대인 관계에 큰 영향을 미치고 심리적으로 불안정한 상태를 유발할 수 있을 것으로 예상한다. 이에 맞춰 탐사대원들의 미션도 정해졌다. 5년간 미션은 매번 달라졌다. 올해는 화성에 체류하는 동안 개인이 겪을 수 있는 ... ...
- Part 3. [생리의학상] 생체시계 유전자들의 하모니 ‘분자시계’ 규명과학동아 l2017년 11호
- 분자시계 모델로 대표되는 ‘일주기 생물학’은 궁극적으로 우리 건강과 양질의 삶에 큰 영향을 미칠 수 있다. 생체시계 국제학회에 참석할 때마다 필자는 70세가 넘은 나이에도 현역 과학자로서 여전히 왕성하게 활동하는 로스배시 교수와 영 교수를 마주친다. 이들의 학회 발표와 연구 논문, ... ...
- Part 4. [이그노벨상] 고양이는 고체일까, 액체일까?과학동아 l2017년 11호
- 로이트 프랑스 리옹신경과학연구센터 박사팀이 의학상을 받았고, 나이 든 남자의 귀가 큰 이유를 연구한 영국의 물리학자 제임스 히스콧 박사는 해부학상을 받았다. 일란성 쌍둥이가 멀리서도 각자의 사진을 구분할 수 있다는 연구 결과를 낸 마테오 마티니 영국 이스트런던대 교수팀은 인지(cognition ... ...
이전329330331332333334335336337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