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가지"(으)로 총 12,166건 검색되었습니다.
- PART3. 쓰레기 RNA가 암 정복한다과학동아 l2015년 08호
- 염색체는 비슷한 기능을 하는 두 개의 염색체가 짝을 이룬다. 여성의 X염색체도 마찬가지인데, 이 경우 둘 중에 한쪽이 비활성화돼야 세포가 정상적으로 작동한다. XIST가 하는 일이 바로 이런 비활성화다. 그런데 XIST가 적게 발현되면 X염색체 두 개가 모두 활성화돼 이상이 생긴다.‘HOTAIR’라는 ... ...
- PART5. 어떻게 살 것인가과학동아 l2015년 08호
- 후대에 전달될 수 있다는 주장이 라마르크의 주장과 비슷하다고 말한다. 라마르크의 나뭇가지 위에 달린 열매를 먹기 위해 목이 길어진 조상 기린의 형질이 후대에 전달돼 자식의 목이 길어진다고 주장했다.노 : 생물학적으로는 ‘획득형질 유전’이라고 부른다. 운동선수가 운동을 많이 하면 ... ...
- [핫이슈] 남북 과학 협력하려면 말부터 합쳐야과학동아 l2015년 08호
- 큰 영향력을 행사하고 있다. 과학 용어 어떻게 다를까남북한의 용어 차이는 크게 5가지로 분류된다. 그중 그나마 차이가 적은 것이 두음법칙에 따른 용어의 차이다. 북한에서는 사이시옷을 사용하지 않고 두음법칙도 따르지 않는다. 즉 ‘ㄹ’로 시작하는 글자도 단어 맨 앞에 올 수 있다. 유산(流産 ... ...
- 달콤한 소주 전성시대과학동아 l2015년 08호
- 부드럽죠?”과일 맛이 알코올 맛을 가린다김광옥 이화여대 식품공학과 교수팀은 2008년 7가지 소주의 맛을 평가하고 ‘시판 소주 제품들의 관능적 특성 및 소비자 기호도’라는 논문을 발표했다. 이 연구에 따르면, 도수가 높은 S소주가 도수가 낮은 소주보다 오히려 알코올 맛과 향이 덜 느껴지는 ... ...
- 수백 년 도자기 묵은때 화학으로 벗긴다과학동아 l2015년 08호
- 신중히 복원하고 있었습니다.복원하는 요령이 있는지 슬쩍 물었더니, 마치 탐정처럼 몇 가지 단서가 있다는 답이 돌아왔습니다. 먼저 도자기나 토기도 사람이 만들었다 보니 손자국이나 굴곡 등이 남아 있는 경우가 많습니다. 이를 이용하면 옆에 이어질 조각을 찾을 수 있다고 합니다. 두께도 각기 ... ...
- 너도 금사빠?과학동아 l2015년 08호
- 가장 밝은 별인 ‘알테어’라고 알려져 있습니다. 그런데 알테어가 견우성이라면 한가지 문제가 생깁니다. 알테어는 은하수 속에 있기 때문에 견우와 직녀가 은하수를 건너서 만난다는 설화에 부합하지 않거든요. 견우성은 은하수 너머 남쪽으로 더 내려간 염소자리 언저리에 있어야 한다는 겁니다 ... ...
- 임미희 자연과학부 교수 - 알츠하이머 고치는 화학자과학동아 l2015년 08호
- 익숙한 존재다. 하지만 인지도에 비해 이 병은 알려진 게 많지 않다. 병의 원인으로 여러 가지가 제시되고 있기는 하지만 모두 추정일 뿐이었다. 임미희 UNIST 자연과학부 교수가 연구 성과를 내기 전까지는. 임 교수는 지난해 5월, 알츠하이머의 주요 원인으로 꼽히는 ‘베타 아밀로이드’가 뇌에서 ... ...
- 세계1위 로봇 휴보에겐 ‘포도’가 있었다과학동아 l2015년 08호
- 필요할 때만 사용하는 모듈레고블록으로 만든 집을 생각해보자. 여러 블록이 모여 한 가지 기능을 하는 방을 만든다. 안방, 서재방, 운동방, 공부방, 샤워실, 옷방…, 소프트웨어에선 여러 소스가 모여 특정 기능을 하는 방을 ‘모듈’이라고 부른다. 운전을 하는 모듈, 밸브를 잠그는 모듈처럼 ... ...
- 물의 지배자 모사사우루스과학동아 l2015년 08호
- 이들은 동족을 먹기도 했다. 2013년 앙골라에서 발견된 모사사우루스의 뱃속에서는 세 가지 종류의 모사사우루스 화석이 발견돼 서로가 서로를 즐겨 먹었음이 드러났다.동족까지도 잡아먹는 무자비한 포식자 모사사우루스는 백악기 후기의 바다를 호령하며 왕처럼 살았다. 하지만 횡포는 6600만 년 ... ...
- Part 2. 탐식에 빠진 TV : 쿡방, 왜 재밌을까 촬영공식3과학동아 l2015년 08호
- 보면 ‘15분 내로 요리하기’ ‘냉장고에 들어있는 한정된 재료로 요리하기’ 등 여러 가지 조건이 붙어서 방송의 재미를 높인다. 2007년 한국디자인문화학회지에 실린 논문에 따르면 게임의 재미는 인지적 재미와 지각적 재미로 크게 나뉜다. 이중 지각적 재미는 경험이 쌓일 때나 문제를 해결할 때 ... ...
이전329330331332333334335336337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