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분지
분파
분맥
너울가지
너울
곁가지
어린 가지
d라이브러리
"
가지
"(으)로 총 12,166건 검색되었습니다.
인천축구전용경기장 그라운드 위에 수학을 펼쳐라! 2015 수학축구교실
수학동아
l
2015년 07호
스티로폼 공의 이쪽저쪽에 붙이며, 나만의 브라주카를 완성했다. 브라주카는 단 한
가지
바람개비 모양의 조각으로 이뤄져 있다. 합동인 도형으로 평면을 빈틈없이 채우는 ‘테셀레이션(쪽매맞춤)’이라고 볼 수 있다. 이렇게 평면이 아닌 구면에서 이뤄지는 경우에는 ‘구 테셀레이션’이라고 ... ...
PART 1 인공지능 디스토피아는 없다
과학동아
l
2015년 07호
연관이 없지만, 인종차별주의자는 피부색을 근거로 다른 인간을 차별한다”며 “마찬
가지
로 ‘이해하는 느낌’ 역시 지능의 본질과는 관련이 없지만, 이를 바탕으로 인간 이외의 지적 대상(동물이나 인공지능)을 차별하는 사태가 벌어질 수 있다”고 밝혔다. 실제로 인공지능 연구자들은 기계가 ... ...
Part 1.[발光하는 테크놀로지] 光의시대 光테크를 보여드립니다
과학동아
l
2015년 07호
이걸 분석하면 피부 내부 구조를 정밀하게 알아낼 수 있겠죠. 두고 보세요. X선 한
가지
빛만 이용하는 컴퓨터단층촬영(CT)과는 비교할 수 없을 정도로 발전할 기술입니다. 그밖에도 빛 기술은 다양합니다. 여러분들이 손에 쥐고 있는 스마트폰 외형 역시 레이저 빛을 쪼여 가공한 것이고요. ... ...
“반복되는 표절, 막을 방법 있다”
과학동아
l
2015년 07호
되나A 얼핏 봤는데 신경숙 작가의 소설과 그가 베꼈다는 의혹을 받고 있는 소설, 두
가지
가 독립적으로 작성됐을 확률은 대략 100만 분의 1 정도라고 생각한다. 컴퓨터 프로그래머로서 말할 수 있는 것은 여기까지다. 문학계 전문가들이 이 확률을 토대로 진짜 표절 여부를 가려내야 한다 ... ...
우주에서 허드렛일 하는 로봇, NASA 최고의 발명품 뽑혀
과학동아
l
2015년 07호
디프틀러 박사는 “R2에 두 다리를 부착하는 작업이 진행 중”이라며 “우주유영 등 여러
가지
위험하고 힘든 일을 R2가 대신할 수 있을 것”이라고 말했다 ... ...
세월호 인양7
가지
질문
과학동아
l
2015년 07호
“세월호 TF는 5개월 동안 뭐한 겁니까? 괜히 시간 끄는 거 아니에요?” 5월 29일 세종시 정부종합청사에서 열린 ‘세월호 선체 인양용역’ 사업설명회장은 시끌시끌했다. 정부가 세월호 사고 진상규명을 가로막으려 인양을 미적거린다는 의심을 품고 있던 사람이 던진 질문이었다. 하지만 세월호 TF ... ...
박종화 생명과학부 교수 - 늙지 않는 세상을 꿈꾼다
과학동아
l
2015년 07호
것은 그동안 불가능에 가까웠다.사람을 자살에 이르게 하는 경로가 어림잡아 수백
가지
가 넘고 여기에 관여하는 단백질과 효소는 더 많기 때문이다. 하나하나 따져들기에는 지나치게 복잡하다. 그래서 컴퓨터를 이용한다. 수많은 경로 중에서도 아주 핵심적인 역할을 하는 유전자를 다섯 개까지 ... ...
에펠탑 보면 떠오르는 와인은?
과학동아
l
2015년 06호
'바삭'하는 소리가 사라 진 감자칩을 생각해 보세요. 먹고 싶으신가요? 과일도 마찬
가지
랍니다. 그런데 왜 바삭 하는 소리가 중요할 까요. 바로 '신선도'입니다. 신선한 과일일수록, 갓 구운 과자일수록 바삭 하는 소리가 잘 납니다. 반대로 눅눅 한 과자는 맛도 없고 바삭 거리지도 않죠. 과자가 바삭 ... ...
엄마도 깜짝 놀란 채소의 변신
어린이과학동아
l
2015년 06호
아니라 알루미늄, 납까지 투과할 수 있을 정도로 방사선 중에서 가장 높은 에너지를
가지
고 있어요. 연구센터에서는 ‘코발트-60’이라는 방사성동위원소를 이용해 감마선을 만들어 종자와 식물에 24시간 정도 쬐어줘요. 그리고 이 중에서 우수한 성질을 나타내는 개체를 선발해 교배시키는 과정을 ... ...
[지식] 여섯 번째 요리 문제는 선택이야! 이항정리와 커리
수학동아
l
2015년 06호
19세기말 일본은 영국의 모든 걸 닮고 싶어 했습니다. 영국 사람이 즐겨 먹는 커리도 마찬
가지
였죠. 그런데 묽은 커리는 일본사람이 주로 먹는 밥과 어울리지 않았습니다. 한 요리사가 묽은 커리에 밀가루를 섞어 끈적하게 만들자는 생각을 합니다. 결과는 대성공이었죠. 끈끈해진 카레는 찰기 있는 ... ...
이전
333
334
335
336
337
338
339
340
341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