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일부
구분
일환
일부분
부문
조각
분류
d라이브러리
"
부분
"(으)로 총 8,360건 검색되었습니다.
초등 탐구토론의 메카 서울교대 과학영재교육원
수학동아
l
2011년 04호
해결력을 키울 수 있다. 토론대회를 거치면서 자신의 논리를 분명하게 세우고, 부족한
부분
에 대한 보완까지 마칠 수 있다.선생님이나 책이 주는 전달식 교육을 넘어, 실험과 실습처럼 살아 있는 교육은 영재의 머리를 자극시키고 가슴을 뛰게 만든다. 영재는 책을 통해 물이 100℃에서 끓는다는 ... ...
애벌레의 36계 줄행랑
과학동아
l
2011년 04호
애벌레들은 적에게 들키지 않기 위해 무서운 동물처럼 위장하거나 굴러다니는 나뭇잎, 나뭇가지처럼 변신한다. 하지만 적이 눈앞에 있거나 몸을 ... 먹이식물로 한다. 녹색과 노란색, 흰색이 섞여 일종의 경계색을 띤다. 머리 양 옆과 배마디 끝
부분
에 가는 실 형태의 돌기가 두 개씩 있다. ... ...
직업에서 취미를 찾은 ‘기상의 달인’
과학동아
l
2011년 04호
기상과 관련이 있을까. 참을성 없는 기자가 또 물었다. 이번에는 말없이 화살표로 표시된
부분
을 가리킨다. 한번 읽어보라는 거다. ‘가벼운 여름 비옷’이라고 영어로 쓰여 있다.“멀레디 커버 뒷면은 일종의 종이광고로 사용됐어요. 이건 여름용 비옷을 파는 광고고요. 여기 가볍고, 땀이 차지 ... ...
“올림피아드 성적 반영 안 한다”
과학동아
l
2011년 04호
본다. 세부 점수를 정량화하지 않고 종합적으로 평가한다.영재성 입증자료에서 바뀌는
부분
이 있는가?영재성 입증자료는 자기소개서와 추천서에 기록한 내용을 확인하기 위해 요구하는 서류다. 단순히 학업 내용을 정리해놓은 건 의미가 없다. 또 학원의 도움을 받거나 공동작업으로 이름만 올리는 ... ...
Part2. 사상 최악의 지진해일…일본이 울었다
과학동아
l
2011년 04호
수석연구원은 “1943년 알래스카 지진해일로 높이가 30m나 되는 콘크리트 등대가 기초
부분
만 남고 송두리째 사라졌다는 기록이 있다”며 “파고가 4~10m 정도 되면 콘크리트 건물의 일부는 손상되고 벽돌 건물은 거의 무너진다”고 말했다.4 육지로 올라온 바닷물 색이 왜 시커멓나지진해일은 연안으로 ... ...
트라우마 유전자 찾았다
과학동아
l
2011년 04호
것으로 나타났다. 외상후스트레스장애에 취약한 PAC1유전자의 단일염기다형성(SNP, 특정
부분
의 염기서열 하나가 다른 변이)이 발견된 것.특이한 사실은 이런 연관성이 여성에게서만 나타난다는 점이다. 연구자들은 “PACAP와 PAC1이 조절하는 스트레스 반응에는 여성호르몬인 에스트로겐이 관여하는 ... ...
1984년 발터 게링 교수의 호메오박스 발견
과학동아
l
2011년 04호
에서 “몸의 설계를 맡은 호메오유전자는 진화에서 중요한 역할을 했다”며 “대
부분
의 돌연변이는 치명적이지만 때때로 더 나은 형태가 나타나 진화에서 새로운 길을 열었다”고 쓰고 있다. 호메오박스의 발견 역시 생명 과학의 진화(발전)에 새로운 길을 연 게 아닐까 ... ...
지능형 데이터시스템 공학
과학동아
l
2011년 04호
데이터마이닝과 관련된 이론적인 내용들도 습득한다. 또 ‘지능’에 관계되는 핵심
부분
을 구현하는 일이 중요하다. 이를 위해서는 알고리즘과 관련된 지식들도 뒷받침돼야 한다. 이렇게 토대를 쌓고 나면, 더 높은 수준의 이론을 배우고 실제 데이터 처리에 응용하는 기회를 가질 수 있다. 5 어떤 ... ...
수학 공부의 적극적인 확장
과학동아
l
2011년 04호
그리고 두 방정식이나 부등식 y=f(x)와 y=g(x)의 교점이 어떤 방정식이나 부등식의 해
부분
이다. 따라서 앞에서 설명한 고차방정식의 네 가지 부등식을 그래프로 그려보자. 1. x(x+1)(x-2)≥0 2. x(x-1)(x+4)≤0 3. (x-1)(x+3)(x+4)>0 4. (x-3)(x+5)(x+1)<0 이번에는 절대값을 포함한 부등식에 ...
구석구석! 동물 몸속 대탐험
어린이과학동아
l
2011년 03호
잘 먹은 날에 자란
부분
은 살짝 위로 솟아 있어요. 하지만 적게 먹은 날에 자란
부분
은 움푹 들어가 있답니다.악어는 공룡시대부터 쭉~, 이렇게 생겼다동물은 환경에 더 잘 적응할 수 있는 방향으로 몸의 형태가 변해요. 하지만 악어는 공룡시대부터 지금까지 같은 모습이라고 해요. 처음부터 환경에 ... ...
이전
329
330
331
332
333
334
335
336
337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