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일부
구분
일환
일부분
부문
조각
분류
d라이브러리
"
부분
"(으)로 총 8,360건 검색되었습니다.
한국의 인공태양, 세계의 태양으로 뜨다
과학동아
l
2011년 03호
진공용기에 직접 부딪쳐 성능이 떨어지는 현상을 줄였다. 진공용기 하단 깊숙이 파인
부분
이 다이버터다. 플라스마 모양을 에너지 효율이 높은 모양으로 만들고 불순물을 제거한다.] [▶플라스마가 D형으로 완벽하게 제어된 모습. 탄소블록에 플라스마가 직접적으로 닿지 않기 때문에 열에너지 ... ...
달라진 융합형 과학 교과서
과학동아
l
2011년 03호
중요성이 강조됐다. 평가는 어떻게 대비할까? 평가는 학생들이 가장 궁금해 하는
부분
일 것이다. 융합형 과학 교과서는 현재까지는 수능에 포함되지 않는다. 하지만 학기 중 치르는 전국단위 평가(일명, 모의고사)의 평가 체계에 따라 학교 수업 방식이 바뀔 수는 있다. 그렇기 때문에 평가원의 ... ...
Part2. 다시 쓰는 인류의 진화
과학동아
l
2011년 03호
성과를 바탕으로 호모 속과 그 이전 인류의 가계도를 새로 그려보자. 논란이 되고 있는
부분
도 짚어 본다.분자생물학 연구에 따르면, 500만 년 전에서 800만 년 전 사이에 아프리카에서 현생인류의 조상과 침팬지의 조상이 갈라졌다. 그러나 갈라진 시점이나 생물학적 배경이 정확하게 알려지지는 ... ...
인공위성이 그린 호랑이의 포효
과학동아
l
2011년 03호
예술적 영감으로 충만한 화가가 붓을 들어 솜씨를 발휘해 놓은 걸까. 초현실주의풍의 유화 전시회에 온 분위기다. 화려한 색채와 기묘한 패턴은 어디에 내놓아도 빠지지 않을 듯하다. ... 안에는 과거 화산 지대의 흔적이 아직 남아 있다. 검은 점처럼 박힌 얼룩이 화산이었던
부분
이다. ... ...
융합이 빚어낸 작지만 큰 세계
과학동아
l
2011년 03호
휴대전화의 통신 안테나에 들어갑니다. 휴대전화가 작아지기 위해서 꼭 필요한
부분
입니다. 원하는 무선통신 주파수 신호를 연결하거나 끊을 수 있는 장치입니다. 스위치에 사용되는 회로 하나의 굵기가 50μm에 불과할 정도로 아주 얇습니다.”최근에 각광받는 바이오 MEMS 연구도 주력 분야다 ... ...
의약품에 숨은 화학 원리
과학동아
l
2011년 03호
바이어는 이 약품을 바로 시판했고, 이름은 아세틸(Acetyl)과 조팝나무의 학명(Spiraea)의 앞
부분
을 따서 아스피린이라고 지었다. 이렇게 해서 아스피린이라는 최초의 실용적인 합성 약품이 탄생했다.아스피린은 뇌에 고통 반응을 보내는 화학물질인 프로스타글란딘이라는 물질을 만드는 핵심 효소를 ... ...
Part1. 당신은 호모 사피엔스 100%인가
과학동아
l
2011년 03호
완전한 혼혈이라고 보기에는 큰 무리가 있다. 일각에서는 이를 완전대체론에 빗대어 ‘
부분
대체(leaky replacement)’라는 말로 표현하기도 했다. 이에 따르면 네안데르탈인과 호모 사피엔스는 약50만 년 전에 살았던 공통조상에서 서로 갈라져 나온 사촌지간이 맞다. 하지만 아주 일부 인구가 (어떤 ... ...
Part 2. 미국까지 3시간, 지구가 좁아진다
과학동아
l
2011년 03호
뒤로 젖혀 공기 저항을 줄여야 한다.비록 몸체는 가오리처럼 넓적하게 생겼더라도 머리
부분
은 뾰족해야 한다. 공기 저항을 줄여 소닉붐을 감소시키기 위해서다. NASA와 록히드마틴사가 설계해 2010년 6월에 공개한 초음속 항공기(47쪽 사진)는 주둥이가 뾰족하고 길어 갑오징어를 닮았다. 작은 날개가 ... ...
파리는 어떻게 벽에 달라붙나?
과학동아
l
2011년 03호
놀라운 부착능력도 들어 있었다. 파워의 관찰에 따르면 파리는 다리에 스펀지 같은
부분
이 있는데, 여기에서 하얀색의 점성 액체가 나온다. 바로 이 액체가 접착물질로 파리가 벽이나 천장에 붙을 수 있게 해준다고 파워는 생각했다.그러나 1년 후 파워의 생각을 전면 부정하는 주장이 등장했다. ... ...
2020년 무선전력전송 기술이 세상을 바꾼다
과학동아
l
2011년 03호
과학동아 2월호에 게재된 ‘2020년 세상을 바꿀 독자선정 10대 기술’ 투표 결과가 나왔습니다. 모두 128명이 투표했는데, 그 중 27표를 얻은 ... 한국전기연구원에 온 뒤 무선전력전송을 연구하고 있다. 아직 개척 중인 분야라 힘든
부분
이 많지만, 기술이 시연되는 순간이 가장 즐겁다고 한다. ... ...
이전
331
332
333
334
335
336
337
338
339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