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연구원"(으)로 총 6,796건 검색되었습니다.
- Part 1. 거대질량 블랙홀 엔진 달고 우주를 밝히다과학동아 l2016년 07호
- 공간을 떠도는 블랙홀을 발견해 학술지 ‘천체물리학’ 2015년 11월 20일자에 발표했다. 김 연구원은 “이번에 발견한 광원은 별 질량 블랙홀보다 훨씬 밝기 때문에 중간질량 블랙홀로 추정된다”며 “은하의 중심이 아닌 곳에서 블랙홀이 발견되는 건 매우 드문 일이기 때문에 거대질량 블랙홀의 ... ...
- [News & Issue] ‘풀풀’ 여름 하수도 냄새… 문제는 정화조과학동아 l2016년 07호
- 하루에 500만 원으로 고가여서 넓은 지역을 조사하는 데 어려움이 많았다.한국건설기술연구원에서는 이런 불편을 해소하기 위해 서울시의 하수도 악취를 예측할 수 있는 모델링 기술을 개발했다. 악취에 영향을 줄 수 있는 하수관의 정보, 즉 정화조와의 거리나 하수량, 하수관 경사도, 하수관 지름, ... ...
- [Knowledge] ‘죽음의 손가락’ 지닌 기이한 원숭이과학동아 l2016년 07호
- 귀여운 판다나 멋진 갈기를 가진 사자 같은 동물은 사람들의 관심을 듬뿍 받는다. 그러나 모든 존재가 인간의 사랑을 받는 건 아니다. 아프리카 마다가스카르에 사는 영장류 ‘아이아이’는 특이한 외모 때문에 흉조이자 죽음의 상징으로 여겨진다. 그러나 알고 보면, 아이아이는 몹시 경이로운 영 ... ...
- [Tech & Fun] 당신의 여름은, 어떤 냄새인가요?과학동아 l2016년 07호
- 나는 걸까. 이유는 비와 관련이 있다. 정영수 미국 매사추세츠공대(MIT) 기계공학과 연구원은 빗방울이 지표면에 닿는 순간 에어로졸이 발생하기 때문이라고 설명했다(doi: 10.1038/ncomms7083).에어로졸은 기체 속에 고체 혹은 액체의 작은 방울이 분산돼 있는 것으로 먼지나 안개도 에어로졸의 일종이다. ... ...
- [Tech & Fun] 스위스 폴쉐르 연구소과학동아 l2016년 07호
- 포기하라”고 단언하더군요. 스위스가 전체적으로 음식 값이 비싸고 맛이 없어서 연구원들 대다수가 직접 점심 도시락을 만들어 먹는다고 합니다. 그래도 굳이 연구소 음식을 맛보고 싶은 분들은 연구소 안에 있는 식당을 추천합니다. 다른 선택지가 없거든요. 도시로 가려면 차로 20분을 달려야 ... ...
- [숲이야기] 광릉숲의 개구리들어린이과학동아 l2016년 07호
- 광릉숲에서 두꺼비만큼 흔하게 만나는 참개구리. 울퉁불퉁한 몸매와 커다란 몸집이 특징인 ‘두꺼비’는 우리나라 민요나 동화에 자주 등장해요. 주로 수호신이나 사람들을 돕는 착한 동물로 묘사된답니다. 예를 들어 동화 ‘콩쥐팥쥐’에 나오는 두꺼비는 밑이 뚫린 독을 몸으로 막아 콩쥐가 물 ... ...
- [과학뉴스] 뜨는 소재 흑린, 그래핀도 뛰어 넘을까과학동아 l2016년 07호
- 흑린의 전하가 불순물의 영향을 받으며 평면방향으로 이동하는 것을 확인했다. 배 책임연구원은 “기판의 불순물을 조절하면 원하는 대로 흑린의 열전현상을 제어해 사용할 수 있을 것”이라며 “흑린을 효과적으로 사용하기 위해서는 흑린과 기판의 상호작용도 정확히 이해해야 한다”고 말했다. ... ...
- [과학뉴스] 이타심까지 예측하는 ‘행복 방정식’과학동아 l2016년 07호
- 행복해하는 사람일수록(질투가 큰 사람) 덜 이타적이라는 것이다. 아르쉬 데 베르커 UCL 연구원은 “경제학자들은 지금까지 사람마다 이타심이 다른 이유를 명확히 설명하지 못했다”며 “이번 연구가 도움이 될 것”이라고 말했다. 연구결과는 ‘네이처 커뮤니케이션스’ 6월 13일자에 게재됐다 ... ...
- [News & Issue] “나, 실험실 돼지 남다른 돼지가 됐지”과학동아 l2016년 07호
- 슈퍼돼지로 불리는 이 돼지는 일반돼지에 비해 근육이 2배 가량 많다. 김진수 기초과학연구원(IBS) 유전체교정연구단장(서울대 화학부 겸임교수)과 윤희준 중국 옌볜대 교수 공동연구팀은 2세대 유전자 가위 탈렌(TALEN)을 이용해 마이오스타틴 단백질 합성을 조절하는 유전자(MSTN)를 편집(교정)했다 ... ...
- [News & Issue] 목성 미스터리의 구원자 주노과학동아 l2016년 07호
- 목성 대기에 포함된 물의 양을 측정하는 일이다. 서행자 한국천문연구원 행성과학그룹 연구원은 “목성의 대기 중에 존재하는 암모니아와 물의 양을 측정하면 목성 형성 이론의 중요한 근거 자료가 될 것”이라고 말했다.그 외에도 주노는 목성의 자기장과 중력장을 관측해 지도를 완성하고, 목성의 ... ...
이전329330331332333334335336337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