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연구원"(으)로 총 6,796건 검색되었습니다.
- [Tech & Fun] 익스팬스, 깨어난 괴물의 습격과학동아 l2016년 07호
- 살아가는 저온성 세균도 있습니다. 극지에서 사는 생물입니다. 이유경 극지연구소 책임연구원은 “지금까지 미생물이 발견된 가장 은 영하 89.2°C”라고 말했습니다.지구를 기준으로 보자면 포에베에서 살아남을 수 있는 세균은 없습니다. 하지만 우리가 아는 미생물은 지구로만 한정해도 전체 ... ...
- [Career] “이산화탄소로 플라스틱을 만드는 날이 올 겁니다”과학동아 l2016년 07호
- 한국과학기술연구원, 한국화학연구원, 한국표준과학연구원, 재료연구소, 한국원자력연구원 등 다양한 연구소에 진출할 수 있습니다.이윤구 재료공학부를 꿈꾸는 학생들에게 한마디 부탁 드립니다.남기태 공학자를 꿈꾸는 모든 학생들에게 해당되는 말일 것 같은데요. 문제를 ‘만들어’ 가는 ... ...
- [출동! 어린이 과학동아 기자단] 가상현실을 만나다!어린이과학동아 l2016년 07호
- 수술 교육을 받기도 한답니다.지구 반대편에 있는 친구와 젠가 게임을!한국과학기술연구원 로봇연구단에 도착하자, 박정민 박사님께서 기자단 친구들을 반갑게 맞이해 주셨어요. 그리고 가상현실 시스템에 대해 설명하셨답니다.“앞에 보이는 3D TV 세 대는 중심이 되는 TV를 기준으로 왼쪽과 ... ...
- [News & Issue] ‘브레인푸드’, 있다, 없다?과학동아 l2016년 07호
- 떨어지는 물질을 넣은 건강기능식품이 넘칩니다. 김혜연 한국과학기술연구원(KIST)초빙연구원은 “몸에 좋은 성분으로 알려진 것이라도 음식으로 먹을 때와 그 성분을 농축해서 약으로 먹을 때 (체내에서 이용하는 형태와 효율에 따라) 약물 섭취 효과가 다를 수 있다”며 “소비자들이 구분할 수 ... ...
- [News & Issue] 장기기증자의 눈물과학동아 l2016년 07호
- 위해 미성년자의 기증을 처음부터 금지하고 있는 취지를 이해해야 한다”고 밝혔다.하 연구원은 “이 같은 문제들에 대해 우리 의료계와 정부가 책임 있게 응답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생명윤리 문제가 발생했을 때 보통 외국 사례를 참조하잖아요. 그런데 생존자 이식, 특히 생존자의 간이식은 ... ...
- Part 2. 미토콘드리아에 새겨진 인류의 기원과학동아 l2016년 07호
- 생물학이 이제 막 싹 트던 1970년대 후반, 미국 UC버클리 생화학과의 연구원이었던 웨슬리 브라운(현 미국 미시간대 석좌교수)은 DNA를 이용해 진화 과정을 살펴볼 방법을 고민 중 이었다. 고속 DNA 서열 해독법은 아직 없었고, 유전자 계통도를 분석할 고성능 컴퓨터도 없던 시절이었다.그가 선택할 수 ... ...
- [Knowledge] 산사태 예측, 그 어려운 걸 꼭 해내겠답니다과학동아 l2016년 07호
- 중”이라고 밝혔다.대전 지질연 상황실에서 만난 최정해 지질환경융합연구센터 책임연구원은 “1시간 전에 예보하는 이유는 가장 예측 확률이 높으면서도 충분히 대피할 수 있는 시간이기 때문”이라고 설명했다.중앙안전재난대책본부 통계 자료에 따르면, 산사태 피해를 포함한 산림분야 총 ... ...
- [Knowledge] 티라노사우루스는 부채춤을 췄을까?과학동아 l2016년 07호
- 우리는 문자나 소리, 몸짓으로 된 언어로 의사소통을 한다. 파충류는 어떨까. 이들도 의사소통을 한다. 우리처럼 언어를 사용하지는 않지만 대신 소리, 몸짓, 그리고 색을 사용한다.매년 3월이 되면 북아메리카대륙의 미국앨리게이터들은 분주해진다. 따뜻한 봄은 이들에게 사랑의 계절이기 때문이 ... ...
- [Tech & Fun] 음료만 마셔도 릴렉스~ 된다고요?과학동아 l2016년 07호
- 억제하는 것도 한 몫 한다. 일본에서 녹차 가공업으로 유명한 이토엔 사의 타카미 카쿠다 연구원은 테아닌이 카페인에 의한 흥분작용을 억제한다는 연구결과를 2000년에 발표했다(doi: 10.1271/bbb.64.287). 이후 연구에서 테아닌 양이 카페인의 8배면 각성효과를 상쇄할 수 있다고 밝혀졌다(단순 계산으론 ... ...
- [Career] ‘빅데이터 재료’ 다듬어 일류 연구 이끈다과학동아 l2016년 07호
- 대용량 데이터를 자유롭게 사용할 수 있게 되면 연구주제도 확장될 수 있다. 손 선임연구원은 “앞으로는 기온, 수온, 강수량, 강물의 유입량, 구름의 양, 해류변화 등 여러 변수와 적조현상과의 상관관계를 비교해볼 수 있을 것”이라고 말했다.과학기술 빅데이터는 계속 늘어난다각 연구기관마다 ... ...
이전330331332333334335336337338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