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우리"(으)로 총 14,892건 검색되었습니다.
- [과학자의 부엌] 소금과 유산균의 콜라보, 김치과학동아 l2018년 11호
- 썰고 양념을 버무립니다. 김장은 2013년 유네스코 세계 무형문화유산으로도 등재된 우리의 아름다운 전통입니다. 소금에 절이면 삼투압 현상 나타나배추김치, 깍두기, 알타리 무김치, 파김치, 부추김치, 나박김치, 동치미, 오이소박이, 열무김치, 갓김치, 순무김치, 양배추김치…. 김치는 300종이 ... ...
- [통합과학 완벽 정리 10] 전기에너지와 발전과학동아 l2018년 11호
- 것처럼 전기도 인류의 삶을 변화시켰다. 대부분은 편리한 쪽으로 변화했다. 이제 전기는 우리 생활에서 없어서는 안 될 요소다. 그러나 전기에너지도 다른 에너지와 마찬가지로 언젠가는 사라질지 모른다. 전기에너지의 종말을 막지는 못하더라도, 적어도 전기에 너지가 사라지는 시점을 늦추기 ... ...
- [좋은 학교생활기록부 만들기 11] 진로를 탐색하는 이유와 의미과학동아 l2018년 11호
- 학업에서 성장할 가능성이 훨씬 높을 수 있다. 진로 고민은 새로운 시각 습득 우리가 일상생활에서 사용하는 기술은 모두 그 기술의 개발 자체만 놓고 볼 때 꽤 오래됐다. 그 기술이 더 발전하고 다른 분야의 기술과 융합해 현대 사회와 문화가 형성된다. 사물인터넷(IoT)은 TV 리모컨과 인터넷 ... ...
- Intro. 아마추어 과학자들의 대활약!어린이과학동아 l2018년 11호
- 안녕! 나는 취미로 스파이 위성을 찾는 아마추어 과학자! 요즘 나처럼 취미로 과학하는 사람들이 그렇게 많다며? 나도 질 수 없지! 위대한 발견을 위해 날마다 눈이 ... 3. 구름, 파도 같은 구름을 발견하다!Part 4. 오로라, 보랏빛 띠를 발견하다!Part 5. 장내미생물, 똥을 보내면 우리도 과학자 ... ...
- Part 2. 초신성, 폭발 순간을 관측하다!어린이과학동아 l2018년 11호
- 아마추어가 NASA도 몰랐던 위성의 신호를 찾다니 정말 대단하지? 그런데 여기 더 엄청난 발견을 한 아마추어 과학자가 있어. 발견 확률이 무려 우주의 복권에 당첨됐다고 할 ... 같은 구름을 발견하다!Part 4. 오로라, 보랏빛 띠를 발견하다!Part 5. 장내미생물, 똥을 보내면 우리도 과학자 ... ...
- Part 3. 구름, 파도 같은 구름을 발견하다!어린이과학동아 l2018년 11호
- 틸리와 부소처럼 혼자서 대단한 발견을 해낸 아마추어 과학자도 있지만, 여럿이 힘을 합쳐서 활약을 펼치는 아마추어 과학자들도 있어. 이번엔 구름 추적자들을 소개할게 ... 파도 같은 구름을 발견하다!Part 4. 오로라, 보랏빛 띠를 발견하다!Part 5. 장내미생물, 똥을 보내면 우리도 과학자 ... ...
- Part 1. 참고래, 땅에서 꺼내던 날!어린이과학동아 l2018년 11호
- 또 골격표본은 참고래의 실제 모습을 느낄 수 있는 유일한 방법이기도 해요. 우리가 참고래를 직접 보기 위해서는 배를 타고 먼 바다에 나가야 하는데, 그마저도 물을 내뿜는 일부 모습만 보는 정도거든요. 이경리 연구사는 “골격표본을 만들면 많은 사람들이 참고래의 실제 크기를 느낄 수 ... ...
- [어린이과학동아 기자단] 생물다양성을 지키는 첫걸음 기자단 혜택 소개어린이과학동아 l2018년 11호
- 질문을 던지며 해답을 찾아가는 전시와 교육의 공간’이라는 의미를 담고 있어요. 우리나라에 서식하는 약 7500점 이상의 다양한 해양생물 표본이 전시되어 있고, 멸종위기의 생물자원을 보존하기 위해 지어졌지요. 그 중 인상적인 생물을 소개할게요. 철갑상어는 이름에 ‘상어’가 있어 흔히 ... ...
- [수학뉴스] 우주에선 중력파로 통신?!수학동아 l2018년 11호
- 아핀 공간은 유클리드 기하학의 몇 가지 특성을 일반화시킨 구조를 뜻합니다.현재 우리가 쓰는 무선통신은 전자기파를 사용하는데, 거리가 멀어지면 전송 능력이 떨어지게 됩니다. 특히 문자 그대로 ‘천문학적’ 시공간을 이동하는 우주에서는 더 큰 문제가 되죠. 연구팀에 따르면 중력파를 ... ...
- ‘찰리와 초콜릿 공장’으로 보는 P대 NP 문제수학동아 l2018년 11호
- 문제가 풀리면 수학계뿐만 아니라 컴퓨터과학, 암호학에도 큰 영향을 미치게 됩니다. 우리 실생활에도 덩달아 많은 변화가 일어나겠죠. 게다가 100만 달러(약 11억 3350만 원)의 현상금도 걸려있으니, 수학을 좋아하는 사람에게는 이 문제를 푸는 것이야말로 행운의 보물 ‘골든 티켓’이라고 할 수 ... ...
이전330331332333334335336337338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