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100"(으)로 총 5,610건 검색되었습니다.
- PART1. 곤충을 아시나요?어린이과학동아 l2011년 08호
- 수가 있다. 유엔 국제연합환경기획의 보고서에 따르면, 전세계 식량의 90%를 담당하는 100종의 농작물 중에서 70종 이상이 꿀벌의 꽃가루받이로 생산된다.혹시 ‘고기를 먹으면 되지 않을까?’ 하고 생각한다면, 먹이사슬을 떠올려 보자. 소의 주식인 ‘자주개자리’라는 식물도 꿀벌이 번식을 돕는다. ... ...
- [Issue & Math] 신비의 수 142857의 비밀을 찾았다!수학동아 l2011년 08호
- 곱해 보자. 따라서 1을 7로 나누면 나머지가 1이고, 10을 7로 나누면 나머지가 3이며, 100을 7로 나누면 2, 1000을 7로 나누면 6, 10000을 7로 나누면 4, 100000을 7로 나누면 5, 1000000을 7로 나누면 1이라는 나머지가 생긴다는 것을 알 수 있다. 나머지는 ...
- 국립과학수사 연구원 사건의 진실을 밝혀라!어린이과학동아 l2011년 08호
- 단서들을 찾아내는 거지요. 그러려면 많은 연습이 필요해요. 숙련된 연구원이라면 1㎕(100만분의 1ℓ)의 피에서도 DNA를 추출할 수 있어야 하거든요. 1㎕는 마침표와 같은 작은 점 정도의 양이에요.경험이 중요하군요! 범인이 아무리 증거를 조작해도 쉽게 잡을 수 있을 것 같아요.조작된 증거를 쉽게 ... ...
- PART 1 우사인 볼트보다 더 빨리수학동아 l2011년 08호
- 뿐 아니라 때로는 순위에 결정적인 역할을 하죠. 1896년 제1회 올림픽대회가 시작된 뒤 100m 달리기 기록은 0.2초 단위로 측정했어요. 그 당시 시계 기술로는 0.2초까지만 측정할 수 있었기 때문이죠. 그러다가 1929년 미국에서 처음으로 0.1초 단위까지 측정하기 시작했답니다. 이때까지도 사람이 직접 ... ...
- [남호영 선생님의 현문현답 1] 어떤 수를 영 제곱하면 왜 1인가?수학동아 l2011년 08호
- 다시 말해 20=1이어야 곱셈규칙을 지킬 수 있습니다.같은 방법으로 생각하면 20, 30, 100도 모두 1입니다.그런데 20이 다른 값이 될 수도 있을까요? 만약 2를 한 번도 곱하지 않은 수, 즉 20을0으로 본다면 21=0×2=0이 돼 2를 두 번 곱해도 0, 2를 세 번 곱해도 0이 되는 황당한 일이 벌어집니다. 그렇다고 20을 .. ...
- 종교에서 과학으로 그림 속 동물어린이과학동아 l2011년 08호
- 많이 선보였어요. 1400년대에 얀 반 에이크가 그린 의 강아지를 보면(100쪽 그림) 털 하나까지 손에 잡힐 듯해요. 이렇게 정교한 묘사를 할 수 있었던 것은 과학이 발전하면서 유화가 발명된 덕분이었어요. 이전까지는 달걀 노른자와 색채 가루를 섞은 ‘템페라’를 썼기에 붓질이 ... ...
- PART 1 무한의 개척자, 칸토어수학동아 l2011년 08호
- 꿈의 무대였는데 말이죠. 베를린에서 교수의 꿈이 좌절되자 그는 베를린에서 서쪽으로 약100km 떨어진‘할레’라는 곳으로 떠났어요.칸토어는 할레에서도 무한에 대한 연구를 멈추지 않았어요. 칸토어가 말한, 무한에 대한 연구의 핵심은 무한에도 다양한 크기가 있다는 것이었어요. 칸토어는 ... ...
- 수학적 원리 알면 새 주소가 보인다수학동아 l2011년 08호
- →100’처럼 작은 숫자부터 적혀 있다면 동쪽이나 북쪽으로 가고 있다는 뜻이다. ‘100→1’로 적혀 있다면 서쪽이나 남쪽을 향하고 있다는 의미다.도로의 시작 지점부터 건물까지의 거리도 알 수 있다. 건물번호는 20m마다 숫자가 2씩 올라가므로 건물번호가 1씩 커질 때마다 도로 입구에서 약 10m씩 ... ...
- PART 3 미녀새 이신바예바보다 더 높이수학동아 l2011년 08호
- 400m 계주 그리고 남자 110m 허들밖에 없답니다. B기준기록을넘긴 종목도 멀리뛰기, 여자 100m 허들, 여자 장대높이 등 6종목밖에 되지 않아요.우리나라 육상계는 갈 길이 먼 만큼 도전할 것이 많아요. 저희 무모한 도전팀은 우리나라 육상 국가대표들의 무한한 도전을 응원합니다. 여러분도 함께 ... ...
- PART2. 지금은 곤충시대어린이과학동아 l2011년 08호
- 들어 바퀴벌레가 정보를 인식하고 몸을 움직이는 데 걸리는 시간은 0.001초로, 사람보다 100배 빠르다. 또 크기가 매우 작아 좁은 공간에서 이동하기가 쉽고 눈에 잘 띄지 않으며, 뛰어난 후각과 청각으로 목표물을 찾는 능력이 뛰어나다. 과학자들은 곤충의 이런 장점에 주목했다. 처음에는 초소형 ... ...
이전330331332333334335336337338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