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백
d라이브러리
"
100
"(으)로 총 5,610건 검색되었습니다.
수학으로 극뽁~!
수학동아
l
2011년 08호
0번 읽어보고 하는 것과
100
번 읽어보고 하는 것이 천지차이라고 하시더라고요. 다시 말해
100
번을 읽고 연습하면, 글로 적혀 있는 대본의 대사가‘자신만의 언어’로 재탄생해 더 실감나게 연기할 수 있다는 뜻이었어요. 뭔가 충격이었죠.‘아, 정말 톱스타는 다르구나’를 느꼈어요. 저도 그런 ... ...
PART 2 무한한 사람들이 사는 섬이 있다?!
수학동아
l
2011년 08호
이렇게 나무를 주면 다시 모두가 두 그루의 나무를 가질 수 있어요. 이 방법이라면
100
명의 사람이 나무를 도둑맞더라도 문제없어요. 아니, 무한히 많은 사람들이 도둑맞더라도 전혀 문제 될 것이 없어요. 우리 섬에는 무한히 많은 사람이 살고 있으니까요.”▼관련기사를 계속 보시려면?INTRO. ... ...
PART 2 헤라클레스보다 더 멀리
수학동아
l
2011년 08호
친구나 개랑 놀 때 쓰는‘프리즈비’정도라고 생각하면 안 돼요. 프리즈비는 무게가
100
g 정도에 불과하거든요.먼저 원반을 한번 던져 볼게요. 원반을 던지면서 저는 속으로 ‘맞바람이 불면 좋겠다’고 생각했어요. 뒤바람도 아니고 맞바람이라는 말에 이상하게 생각하신 분이 있겠죠. ... ...
Part 2. 건강기능식품 돈 값 못한다
과학동아
l
2011년 08호
안전성에 역점을 두어 심의하기 때문”이라고 말했다.그럼에도 매년 식약청에는 약
100
여 건의 건강기능식품 부작용 사례가 접수된다. 신용주 식양청 영양정책과 사무관은 “식약청에서 인정한 제품은 문제가 거의 발생하지 않는다”며 “문제가 된 제품은 식약청이 인정하지 않은 유사 ... ...
후크송은 왜 뇌를 중독시킬까
과학동아
l
2011년 08호
끝날 때까지 가장 낮은 주파수대에 아주 밝은 노란색의 스펙트럼이 깔려 있었다.
100
Hz 미만의 주파수(저주파)다. 노래에는 ‘쿵짝 쿵짝 쿵짝짝 쿵짝’처럼 들린다. 배 교수는 “후크송은 강렬한 드럼 소리가 저주파로 전해진다”면서 “특히 콘서트 현장에서 들으면 피부에 닭살이 돋을 만큼 ... ...
세상을 움직이는 꽃가루의 춤
과학동아
l
2011년 08호
년 동안 브라운 운동에 대해 연구해온 저자는 이렇게 움직이는 입자, 즉 머리카락 굵기의
100
분의 1에서 10분의 1 사이의 크기를 가진 것들의 세계에 ‘중간세계’라는 이름을 붙였다.그 뒤 수많은 과학자들이 중간세계에 대해 연구해왔다. 우리가 잘 알고 있는 알베르트 아인슈타인은 중간세계의 ... ...
Intro. 녹색 황금 캐는 미세조류 농장
과학동아
l
2011년 08호
그러나 언제까지나 펑펑 쓸 줄 알았던 ‘검은 황금’ 석유가 바닥을 드러내면서 유가
100
달러 시대를 담담히 받아들이고 있다. 어차피 석유는 온실가스 배출과 지구온난화의 주역이라 퇴출될 운명이라고 스스로 위로하면서. 물론 인류가 석유 이후의 삶을 손 놓고 기다리는 건 아니다. 석유를 ... ...
자원전쟁에 맞서는 바다 위 저격수
과학동아
l
2011년 08호
바다일까. 바다 속 리튬 함량은 1L에 0.00017g. 휴대용 생수병 10만 개 분량의 바닷물에 겨우
100
원짜리 동전 세 개(약 16g)보다 약간 많은 리튬이 들어 있는 셈이다. 차라리 육지에서 새 광산을 찾는 편이 더 쉽지 않을까.“이미 세계적인 리튬 생산국들도 광석에서 캐내지는 않습니다. 경제성에서 뒤져서 ... ...
플래시메모리, 아름답고 완벽하게
과학동아
l
2011년 08호
산업의 핵심이 될 가능성이 크다.“99%의 완성도를 만드는 것은 쉽습니다. 하지만
100
%의 완성도를 가진 아름다운 제품을 만들기 위해선 그때까지 들였던 노력의 5~10배를 들여야 합니다. 그 1%를 만들기 위한 노력이 한국 플래시메모리의 미래를 결정할 것입니다.”하지만 민 교수는 현재 우리나라의 ... ...
교과서
100
% 활용한 논술 대비
과학동아
l
2011년 08호
‘교과서’는 과학 개념 학습 교재로서 다양한 지식의 창고이자 좋은 과학 글쓰기의 표본이다. 교과서는 내신 대비, 수능 대비 뿐 아니라 논술 대비에도 좋은 교재가 될 수 있다. 교과서를 활용해 평소 논술 고사를 대비하는 방법을 살펴본다.대학 합격자 발표가 끝나고 우수 학생들의 합격 수기를 ... ...
이전
331
332
333
334
335
336
337
338
339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