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밖"(으)로 총 5,740건 검색되었습니다.
- 표면장력 차이로 전진하는 배과학동아 l2003년 10호
- 알갱이를 배에 끼우면 배는 앞으로 조금씩 움직인다. 이는 구슬 안에 있던 알코올이 구슬 밖으로 조금씩 빠져나오기 때문이다. 즉 알코올은 농도가 높은 쪽에서 낮은 쪽으로 확산돼 나온다. 구슬이 배와 닿아 있는 부분으로는 알코올이 빠져나오지 못한다. 따라서 배의 뒤쪽으로 알코올이 확산된다. ... ...
- 1 인간의 사고가 오류투성이인 이유과학동아 l2003년 10호
- 각종 인지의 본질을 이해하려는 종합과학이다.20세기 전반기까지의 과학 연구가 인간 밖의 대상인 물질과 생명체 중심이었다면, 이제는 인간 자신이 핵심 연구대상이며 좀더 높은 추상수준의 현상이 과학 탐구의 중심 주제다. 그런데 인간에게서 지(知)는 ‘마음’의 작용에서부터 비롯되는 것이기 ... ...
- 석유보다 값진 물 - 동해 심층수과학동아 l2003년 10호
- 얕고 폭도 좁기 때문에 동해는 그릇 형상을 하고 있다. 쓰시마 난류의 두께는 2백m 이하 밖에 안되기 때문에 동해 연안에서 표층을 흐르고 있는 것에 지나지 않는다. 따라서 동해의 심층수는 인접한 바다와 교환되는 양은 매우 적으며, 동해 내부에서 순환하고 있는 동해고유수라 할 수 있다 ... ...
- 3 물을 단계적으로 분해시켜 제조하는 비법과학동아 l2003년 10호
- 열화학 사이클을 만드는 것이다. 이때 물은 계속 공급되며, 한번 들어간 화학물질은 밖으로 배출되는 일 없이 연속적으로 프로세스 안을 순환한다. 따라서 열화학 물 분해법은 폐사이클의 특성을 갖는다.이탈리아의 이스프라 연구소가 세계 최초로 성공했던 사이클 반응을 예로 들어 알아보자. ... ...
- 3 달팽이가 제시한 인간 기억 메커니즘과학동아 l2003년 10호
- 세포막에 존재하는 칼슘통로를 자극해 연다. 칼슘통로를 통해 칼슘이온(Ca2+)이 세포 밖에서 안으로 들어오면 ‘스네어’(SNARE)라는 복잡한 단백질 기구의 상호작용에 의해 시냅스 소포와 세포막이 융합을 일으킨다. 이때 방출된 신경전달물질이 시냅스후 세포의 수용체와 결합하는 것이다.(그림2 ... ...
- 10억분의 1세계에서 반도체용 소자 개발과학동아 l2003년 09호
- 죽부인을 축소한 모습과 비슷하다. 1991년 처음 탄소나노튜브가 발견된지 겨우 10여년 밖에 되지 않았지만 기계적, 전기∙전자적 성질이 뛰어나 나노기술의 핵심 소재로 부상했다.탄소나노튜브는 탄소원자 6개로 이뤄진 육각형 기본구조가 서로 연결된 거대분자다. 나노튜브를 이루는 탄소원자는 ... ...
- 제2회 닮고싶고되고싶은 과학기술인 '끼,끈,꾀,꿈'과학동아 l2003년 09호
- 생각이 그의 지론이다.꿈유명희프로테오믹스이용기술개발사업단이 발족한지는 9개월 밖에 되지 않았다. 구체적인 성과를 기대하기는 무리인 시간이다. 하지만 유 단장은 신바람이 나 있다. 지금까지 우리나라 사람들에게 빈발하는 질병의 원인이 되는 단백질을 발굴할 수 있는 기반 시스템을 ... ...
- 강간도 적응인가과학동아 l2003년 09호
- 분위기가 다소 묘해졌다. 윌슨 같은 대학자가 공개 석상에서 자신의 실수를 인정하는 뜻밖의 사태에 대해 모두들 적이 당황하는 눈치였다. 이때 사회자가 재빨리 촘스키에게 마이크를 넘긴다.사회자: 촘스키 교수님은 언어의 보편문법을 주장하시면서도 언어 능력이 자연선택의 산물은 아니라고 ... ...
- 산모 음식이 자식 유전자의 기능 바꾼다과학동아 l2003년 09호
- 발현에 영향을 미쳤고, 그 방식은 염기서열의 변화가 아니라 ‘다른 방법’이었다고 밖에 볼 수 없다.노새와 버새의 차이음식이 어떻게 아구티 유전자를 억제했을까. 저틀 교수는 가능한 메커니즘으로 메틸화를 들었다. 아구티 유전자 근처에 메틸기(CH3-)가 붙어 유전자의 정상적인 발현을 ... ...
- 태양빛 이용해 나서는 달 탐사과학동아 l2003년 09호
- 결정(結晶)의 열전도, 전기장과 자기장의 영향에 의한 빛의 편광면(偏光面) 변화, 물과 그 밖의 유체에서의 압력과 온도 사이에 이루어지는 함수의 여러 가지 변형에 관한 연구 및 「뢴트겐 전류」의 발견(1888) 등 광범위한 실험물리학상의 업적을 올렸다 또한 95년에는 에를랑겐 대학 교수인 위데만과 ... ...
이전331332333334335336337338339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