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발표"(으)로 총 10,165건 검색되었습니다.
- [과학뉴스] 짜서 만드는 전자옷감 메모리 나온다과학동아 l2017년 05호
- 구현하는 데 성공하고 연구 결과를 ‘어드밴스드 펑셔널 머티리얼스’ 2월 28일자에 발표했다.저항변화메모리는 재료가 절연체에서 전도체로 변하는 현상을 이용해 0과 1의 정보를 디지털 신호로 저장하는 장치다. 기존 소자는 도체 사이에 절연체를 샌드위치처럼 넣어서 3층 구조로 만들었는데, ... ...
- [과학뉴스] 스마트폰 지문 인식, 쉽게 뚫린다과학동아 l2017년 05호
- 지문을 이용한 생체 인증으로 스마트폰의 보안을 지키는 것은 안전하지 않다는 연구 결과가 나왔다. 미국 뉴욕대 탠돈공대 컴퓨터 과학과 나시르 메몬 교수팀이 ... 국제전기전자공학회(IEEE)에서 발간하는 학술지 ‘정보 포렌식 처리와 보안’ 4월 6일자에 발표됐다. doi:10.1109/tifs.2017.269165 ... ...
- [Future] 나노세계 건설하는 두 가지 방법과학동아 l2017년 05호
- 물을 정화하고 식품 상태를 판별하는 탄소 나노튜브 기술 등 수많은 연구 성과가 발표되고 있다.작년 노벨화학상의 주인공인 ‘분자기계’처럼 적극적으로, 원하는 나노분자를 설계해서 만들 수도 있다. 노벨상 수상자들은 화학반응으로 몇 종류의 분자를 정교하게 조작해 분자 엘리베이터와 분자 ... ...
- [Future] 아동학대수사, 로봇이 도울 수 있을까과학동아 l2017년 05호
- 실험한 결과를 2016년 8월 미국 콜롬비아대에서 열린 로봇-인간 상호교류학술대회에서 발표했다. 절반은 어른이 직접, 절반은 원격 조종 로봇을 이용해 20분씩 이야기를 나누게 한 결과 9명이 지난달에 따돌림을 당했다고 고백했는데, 이 가운데 7명은 로봇과 면담한 경우였다.장애아동을 대상으로 한 ... ...
- [Issue] 개나리와 벚꽃이 동시에… 봄꽃이 미쳤다?과학동아 l2017년 05호
- 됐습니다. 윤진일 경희대 식물·환경신소재공학과 교수팀이 2014년 한국농림기상학회지에 발표한 논문에 따르면 최근 60년 동안 서울 등 전국 6개 지점의 개나리와 벚꽃 개화시기가 한 달에서 일주일로 좁혀졌습니다(doi: 10.5532/KJAFM.2014.16.4.396). 1951~1980년에는 두 꽃이 한 달 가격을 두고 피었는데 2010년 . ...
- [Issue] 2070년 어린이날 웰컴 투 아스트로월드과학동아 l2017년 05호
- 2012년 버팔로 동물원과 카니시우스 칼리지가 주최한 ‘미래동물원 심 포지엄’에서 발표했습니다. 털매머드와 도도새, 태즈메 이니아 늑대처럼 이미 멸종했거나 멸종 위기에 놓인 동 물을 유전자 복제 기술로 탄생시킨 뒤 야생과 비슷한 환경에서 살게 해 보존하겠다는 생각이었지요. 이미 ... ...
- [과학뉴스] 인공생명체, 진핵생물로 ‘한 발자국’과학동아 l2017년 04호
- Sc2.0 국제공동연구팀은 합성한 30%의 유전자를 포함해, 효모 전체 유전자의 ‘설계도’도 발표했다. 미국 존스홉킨스대 생물의학공학과 조엘 베이더 교수는 논문을 통해 “곧 효모의 전체 유전자를 모두 조립해 인공 효모를 만들 수 있을 것”이라고 전망했다 ... ...
- [포커스 뉴스] 손톱만한 USB에 세상의 모든 영화를 담다과학동아 l2017년 04호
- 1비트를 안정적으로 읽고 쓰는데 성공했다고 학술지 ‘네이처’ 3월 9일자 온라인판에 발표했다.홀뮴 원자 1개의 스핀을 조정하다연구팀은 홀뮴 원자 두 개가 가진 위위, 위아래, 아래위, 아래아래 등 네 가지 스핀을 측정하는 데 성공했다. 기존의 실리콘 소재 메모리칩에서는 20만 개의 원자로 ... ...
- [Future] 기억의 우주에서 불멸이 되다과학동아 l2017년 04호
- 결과를 보고하면서 2017년까지(올해다!) 사람에게 해마칩을 이식하겠다는 원대한 계획을 발표하기도 했다.하지만 이 계획은 다소 연기될 수밖에 없었는데, 유인원 대상 실험에서 희망적인 결과를 얻을 수 없었기 때문이다. 유인원의 뇌는 쥐의 뇌보다 수십 배나 더 복잡하고, 인간의 뇌는 그런 ... ...
- [Issue] 스마트폰이 불면의 원인? ‘꿀잠’의 비밀을 찾아서과학동아 l2017년 04호
- 식사하고, 활동해서 건강한 생체 리듬을 유지하는 것이 중요하다”고 강조했다.통계청이 발표한 ‘2014 생활시간조사’ 결과를 보면, 10세 이상 대한민국 국민의 평균 수면시간은 7시간 59분이었다. 미국 국립수면연구재단(NSF)에서 권장하고 있는 수면 시간은 14~17세는 8~10시간, 18~64세는 7~9시간이다. ... ...
이전331332333334335336337338339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