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공표
연설
공고
강연
웅변
스피치
표명
d라이브러리
"
발표
"(으)로 총 10,165건 검색되었습니다.
[Issue] 두리안 ‘ X냄새’가 궁금하다!
과학동아
l
2017년 04호
엽록체 속 틸라코이드 막에서 GLV 성분을 만들어내는 핵심 효소를 찾아 논문으로
발표
하기도 했습니다(DOI:10.1074/jbc.M116.726687).지난 1월 27일 ‘사이언스’에는 ‘토마토의 향미를 높이기 위한 화학적 유전자’라는 논문이 실렸습니다. 미국 플로리다대 식물혁신센터 해리 클라이 교수팀이 토마토 39 ... ...
뇌 속 내비게이션의 길 찾기 전략 4
과학동아
l
2017년 04호
위치도 명확히 구분된다는 연구결과를 지난 2월 ‘네이처 커뮤니케이션스’에
발표
했다.연구팀은 실험용 쥐를 거칠거나 부드러운 바닥 혹은 튀어나온 돌기 등 촉감이 서로 다른 레일 위를 걷게 하면서 뇌의 신경 활동을 기록했다. 그 결과 CA1 영역의 장소세포 중에서도 위쪽 신경 세포층에 있는 ... ...
[Origin] “피해! 독수리가 오고 있어!”
과학동아
l
2017년 04호
아이디어로 이 문제에 대한 해답을 밝혀 그 결과를 2013년 학술지 ‘행동 과정’에
발표
했다.연구팀은 만약 위험신호를 듣고 반응하는 것이 교육의 효과라면, 포식자가 존재하지 않는 곳에서 사는 무리들은 이 같은 반응을 나타내지 않을 거라고 생각했다. 이 가설을 검증하기 위해 연구팀은 아프리카 ... ...
Part 1. 힘들 때마다 나만의 ‘노동요’를 찾아 듣는 이유
과학동아
l
2017년 04호
공동연구팀은 2013년, 슬픈 음악이 긍정적인 감정을 불러일으킨다는 연구 결과를
발표
했다(doi:10.3389/fpsyg.2013.00311). 실험 참가자들은 어떤 슬픈 곡이 매우 비극적이라고 인식한 데 비해 실제 그 곡을 듣는 도중에는 음악이 더 낭만적이고 덜 비극적으로 느껴진다고 답했다. 슬픈 음악을 들으면서 ... ...
[엄상일 교수의 따끈따끈한 수학] 카멜레온 매력 지닌 프런클의 추측
수학동아
l
2017년 04호
프런클의 추측이 대다수의 경우 참이라는 사실을 증명한 결과를 유럽조합론학회지에
발표
했습니다. 남녀가 어떤 동전을 던져서 앞면이 나오면 춤을 출 때 전체 좋은 집합의 절반 이하 집합에 모두 속한 남자가 있을 확률이 1에 매우 가깝다는 것입니다. 더 정확히 말하면 동전의 앞면이 나올 확률이 ... ...
[매스미디어] 포켓몬 트레이너 L씨의 피카츄 사냥
수학동아
l
2017년 03호
출시된 지 일주일 만에 안드로이드에서만 국내 사용자가 700만 명이 넘었다고
발표
했다. 적어도 한 번은 게임을 실행한 사람 수다. 아이폰 사용자까지 포함하면 실사용자 수는 700만 명을 훌쩍 넘을 것으로 보인다. 길에서 마주치는 대여섯 명 중 한명은 포켓몬 트레이너인 셈이다.포켓몬GO 열풍은 ... ...
Part 2. 미시세계 꿰뚫는 열쇠, 수학
수학동아
l
2017년 03호
정리해 ‘브래그 조건(오른쪽 그림 참고)’을 만족할 때 이런 무늬가 나타난다고
발표
했다. 이에 대한 공로로 1915년에 노벨 물리학상을 수상했다. 물질의 구조를 분석하려면 회절 무늬를 분석해야 한다. 이때 ‘푸리에 변환★’을 쓴다. 푸리에 변환은 계산이 복잡해서 1940년대까지는 소금 결정인 ... ...
[과학뉴스] 해리포터 이름을 딴 새로운 게 발견
과학동아
l
2017년 03호
학계에 보고되지 않았던 새 종이라는 사실을 밝혀내 국제학술지 ‘주키스’ 1월 23일자에
발표
했다.해리플랙스 세베루스는 길이와 너비가 1cm 미만이며, 달걀 모양의 등껍질은 표면이 우툴두툴하다. 또 어두운 심해에 적응하면서 눈 크기가 작아지고 촉각이 발달했다. 응 교수팀은 두 가지 뜻을 담아 ... ...
[과학뉴스] 조울증 일으키는 단백질 실마리 찾아
과학동아
l
2017년 03호
치료의 새로운 실마리가 될 수 있는 연구결과를 국내 연구진이
발표
했다.서판길 UNIST 생명과학부 교수와 김정훈 포스텍 생명과학과 교수 공동연구팀은 피엘씨감마원(PLCγ1)이라는 단백질의 기능 이상이 조울증 발생의 핵심 요인이라는 것을 밝혔다. PLCγ1은 뇌의 신호전달을 담당하는 단백질로, 서 ... ...
[Issue] 쓸모없다 해서 미안했다 충수의 재발견
과학동아
l
2017년 03호
입원 기간, 진료비 측에서 큰 차이가 없었다는 점이다(doi:10.4174/jkss.2011.80.3.226).2015년에
발표
된 미국 네이션와이드아동병원의 연구 결과는 좀 더 극적이다. 병원 연구센터 소속 피터 미네시 박사팀은 복통이 시작된 지 48시간이 경과하지 않은 초기 단순 급성 충수염에 걸린 7~17세의 소아·청소년 10 ... ...
이전
334
335
336
337
338
339
340
341
342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