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치수
사이즈
부피
넓이
규모
칫수
용적
d라이브러리
"
크기
"(으)로 총 7,957건 검색되었습니다.
Part 2. “불가능은 없다” 양자미션5
과학동아
l
2011년 10호
그런데 이런 소형화 또는 반도체 소자의 집적화가 한계에 부딪히고 있다. 스위치가 원자
크기
에 가까워지면 미시세계에서 통하던 여러 가지 양자역학적 효과가 두드러졌기 때문이다. 이 때문에 0과 1이 분명하게 구분되지 않아 정보가 불분명해지는 상황이 왔다.새로운 컴퓨터의 능력을 테스트하는 ... ...
상어에 강한 턱이 없다면?
과학동아
l
2011년 10호
닥쳐올 위협을 예상했다. 중생대는 공룡의 시대였다. 당시 살았던 포유동물은 아주 작은
크기
에 불과해 존재가치를 거의 알 수 없을 정도로 미비했다. 당시의 포유동물들은 주로 야행성이었는데, 육식공룡들의 움직임을 주시하느라 항상 불안에 떨었다. 이런 어려움을 극복하기 위해 포유동물은 ... ...
별 삼키는 블랙홀 봤다!
과학동아
l
2011년 10호
생겼다는 등 여러 설이 있다”며 “거대질량 블랙홀은 말 그대로 질량이 워낙
크기
때문에 태양만 한 별도 그 주위를 지나가다가 너무 가까워지면 강력한 중력에 끌려들어가게 된다”고 설명했다.이번에 관측한 블랙홀은 지구에서 39억 광년 떨어진 평 범한 은하의 중심부에 있는 것으로 추정된다. ... ...
세계 최대 실험용 핵융합로 재가동
과학동아
l
2011년 10호
방식을 사용하는 한국 KSTAR의 출력이 14MW라는 점을 생각하면 규모를 짐작할 수 있다.
크기
도 1m 이상 커서, 토카막의 바깥쪽 반지름이 2.96m에 이른다. 차세대 초전도 전자석을 채용해 플라스마의 지속시간과 온도 등 효율을 높이는 것을 목표로 하는 KSTAR와 달리 JET는 출력을 높이는 실험에 유리하다 ... ...
비닐에서 LCD까지, 미세 가공을 부탁해
과학동아
l
2011년 10호
신선하게 오래 저장할 수 있다.[➊ 연구실에서 사용하는 펨토초레이저. 수백 nm에서 수 μm
크기
의 매우 정밀한 가공을 할 수 있다. ➋ 노영철 연구실장(왼쪽)과 연구원이 레이저 가공 과정을 살피고 있다.]제품 개발에서 인력 양성까지연구실은 펨토초레이저로 LCD와 PDP 같은 디스플레이의 투명전극을 ... ...
촉촉한 똥은 애벌레가 있는 곳을 알고 있다
과학동아
l
2011년 10호
있다고 생각할 수 있다. 네발나비와 큰멋쟁이나비 애벌레의 집은 엉성하지만 몸의
크기
에 맞춰 집도 개조하고 넉넉하게 이용한다. 먹고 자다가 배설물로 가득찬 집이 더 이상 집의 역할을 하지 못하면 다른 잎으로 옮겨서 새로운 집을 만든다. 아예 잎을 말아 사는 종류를 따로 떼어서 ... ...
“꼼꼼한 기출분석, EBS 교재 복습”
과학동아
l
2011년 10호
그러나 9월 모의평가 12번 문제처럼 저항의 개념이 어렵게 출제될 가능성도 많다. 저항의
크기
에 영향을 주는 요소와 저항과의 관계를 분명히 정립해 둬야 한다. 전자기 유도를 이용한 문제는 난이도에 비해 정답비율이 낮은 것이 특징이다. 전자기 유도 기초 개념을 정리하면 무난하게 풀 수 ... ...
PART 2. 도시 홍수
과학동아
l
2011년 09호
수 있는 장점이 있다. 경기 수원시와 소방방재청은 수원의 한 마을에서 빗물 저류 시설의
크기
에 따른 홍수 조절 효과를 실험했다. 3000m3의 커다란 저류조 하나를 만들자 기존 하수처리 시설보다 첨두유출량(물이 가장 많이 흘러갈 때의 양)이 15.5% 줄었다. 500m3의 저류조 6개를 나눠 설치하자 ... ...
무한도전팀도 몰랐던 조정의 수학
수학동아
l
2011년 09호
수학과 물리학에서는 힘의 방향에 따라 달라지는 특성을 벡터로 표현한다. 힘의
크기
못지않게 방향이 중요하기 때문이다.250회 저어 2000m를 이동할 경우 1회에 방향이 5°틀어지면 배의 이동거리가 약 8m 늘어난다. 2008 베이징 올림픽 에이트 경기에서 우승팀 캐나다가 영국보다 7.5m 정도 앞서 ... ...
[Culture Math] 분수 셈으로 만든 나만의 단소
수학동아
l
2011년 09호
이렇게 단소와 같은 관악기에 뚫은 구멍을 ‘지공’ 이라고 한다. 구멍의 위치나
크기
에 따라 소리의 높낮이가 달라지기 때문에 정확히 계산한 다음, 구멍을 뚫어야 좋은 악기를 만들 수 있다.한편 관악기는 긴 관으로 된 것만 있는 것은 아니다. 독특한 모양으로 생긴 전통 관악기도 있다. 대부분의 ... ...
이전
332
333
334
335
336
337
338
339
340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