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크기"(으)로 총 7,957건 검색되었습니다.
- 달에게 동생이 있었다과학동아 l2011년 09호
- 정도 식어서 딱딱해졌지만 아직 내부까지 다 식지는 않은 상태였다. 반면 트로이 달은 크기가 작기 때문에 빨리 식었을 것이다.[아폴로15가 가져온 월석.]시뮬레이션 결과 트로이 달과 달의 충돌속도가 초속 2.4km일 때 달 지형을 가장 잘 설명할 수 있었다. 통상적인 소행성이 지구나 달에 충돌하는 ... ...
- 별과 생명체의 씨앗 우주먼지과학동아 l2011년 09호
- 됐다.]우리은하 질량의 0.1% 차지우주먼지(cosmic dust)는 분자가 몇 개 모여 있는 입자에서 크기가 수 μm(마이크로미터, 1μm는 100만분의 1m)에 이르는 고체입자다. 평균적으로 봤을 때 우주에서 먼지의 밀도는 무척 희박하다. 어느 정도인가 하면 우리은하의 경우 1km3에 먼지 100개가 있다. 그래도 공간이 ... ...
- 목소리 크면 주던 점수, 이젠 정밀 채점과학동아 l2011년 09호
- 반주기는 점수가 임의로 나와 운이 좋으면 높은 점수를 받았다. 그 뒤 마이크의 소리 크기를 재 점수를 결정하는 방식으로 발전했다. 하지만 지금은 차원이 다르다. 노래를 부를 때 음정과 박자를 정확히 맞춰야 좋은 점수를 받을 수 있다. 이를 위해 반주기에서 실시간으로 음정과 박자를 측정하고, ... ...
- 어른을 위한 공룡 책!과학동아 l2011년 09호
- 보면 ‘제2의 공룡 르네상스’가 온 것이 아닌가 하는 생각이 든다. 가장 큰 변화는 크기가 더 작은 공룡이 발견됐다는 점이다. 닭보다 작은 공룡도 있어 ‘애완동물 수준’이 됐다. 20년 전 영화인 ‘쥬라기공원’에 나오는 대표적인 수각류 공룡 벨로키랍토르도 사실은 사람 허벅지 정도 오는 작은 ... ...
- 무한도전팀도 몰랐던 조정의 수학수학동아 l2011년 09호
- 수학과 물리학에서는 힘의 방향에 따라 달라지는 특성을 벡터로 표현한다. 힘의 크기 못지않게 방향이 중요하기 때문이다.250회 저어 2000m를 이동할 경우 1회에 방향이 5°틀어지면 배의 이동거리가 약 8m 늘어난다. 2008 베이징 올림픽 에이트 경기에서 우승팀 캐나다가 영국보다 7.5m 정도 앞서 ... ...
- 접어 만든 소마큐브 조각수학동아 l2011년 09호
- 어떻게 정육면체들로 잘릴 수 있는가’ 라는 물음에서 새로운 아이디어를 떠올렸다. ‘크기가 같은 정육면체를 4개 이하로 이어 붙여 만든 조각들로 조금 더 큰 정육면체를 만들 수 있다’ 는 명제였다. 1936년 이 생각을 발전시켜 소마큐브를 구성할 수 있는 7개의 조각을 만들었고, 이것을 이용해 ... ...
- 3차원에서의 작도수학동아 l2011년 09호
- 부를까요? 우산의 손잡이 끝을 원하는 중심점에 대고 원하는 반지름만큼 우산을 펴면 그 크기의 구면의 일부가 펼쳐지는 거지요. 이것을 중심에 대해 적당히 움직이며 구면을 완성하는 것을 상상해봤어요.”“이건 연필로 선을 그리는 대신 붓으로 면을 칠하는 작도네요!”이제 3차원 작도의 도구가 ... ...
- PART 1. 공진은 무서워?과학동아 l2011년 09호
- 멈춘다. 이 특정 진동수가 바로 물체의 고유진동수다.고유진동수는 물체에 따라 다르다. 크기, 길이, 연결 상태 등 고유진동수를 다르게 하는 요소는 무수히 많다. 같은 기타 줄이라도 길이가 긴 것과 짧은 것은 고유진동수가 다르다. 길이가 같더라도 재질이나 두께에 따라 달라진다. 건물과 같은 큰 ... ...
- [Culture Math] 분수 셈으로 만든 나만의 단소수학동아 l2011년 09호
- 이렇게 단소와 같은 관악기에 뚫은 구멍을 ‘지공’ 이라고 한다. 구멍의 위치나 크기에 따라 소리의 높낮이가 달라지기 때문에 정확히 계산한 다음, 구멍을 뚫어야 좋은 악기를 만들 수 있다.한편 관악기는 긴 관으로 된 것만 있는 것은 아니다. 독특한 모양으로 생긴 전통 관악기도 있다. 대부분의 ... ...
- 숫자 마술 부리는 신기한 수9수학동아 l2011년 09호
- 불린다. 같은 숫자 하나로만 이뤄지지 않은 임의의 수를 정하고, 여기에 쓰인 숫자를 크기순으로 배열한 뒤 가장 큰 수에서 가장 작은 수를 뺀다. 이런 과정을 반복하면 나오는 수다. 수의 자리(길이)에 따라 회생숫자가 달라진다. 세 자리에서는 495, 네 자리에서는 6174가 회생숫자다. 하지만 두 자리나 ... ...
이전333334335336337338339340341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