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대학"(으)로 총 10,409건 검색되었습니다.
- Part 5. 인류에게 남겨진 숙제는?어린이과학동아 l2018년 08호
- 최초 우주의 흔적이 기록된 증거 자료인 셈이랍니다. 그런데 최근 미국 애리조나대학교 주드 보우먼 교수팀은 우주배경복사 중에서 가장 오래된 빛의 흔적을 찾았다고 발표했어요. 연구팀은 호주에 있는 ‘머치슨 전파천문대’에서 ‘마이크로파분광계’를 이용해 우주배경복사로 추정되는 ... ...
- Part 3. 피라미드 속 비밀의 방을 찾아라!어린이과학동아 l2018년 08호
- 인공위성에, 레이저까지…. 엄청나군. 그런데 이게 끝이 아니라고? 최첨단 비장의 무기라면서 갑자기 신기한 기계를 꺼내는 거야. 우주 입자로 비밀의 방을 찾을 수 있다나?! 우주 입자로 피라미드 속 비밀의 방을 찾아낸다?!지난 해 ‘스캔 피라미드 프로젝트’ 국제 공동 연구팀은 이집트에 있는 ... ...
- 매번 다른 수학자와 밥 먹기, 오베르볼파흐 문제수학동아 l2018년 08호
- 푸는 일은 만만치 않아 보입니다. 엄상일 교수는 KAIST 수학과를 졸업하고, 미국 프린스턴대학교에서 박사 학위를 받았습니다. 현재는 KAIST에서 강의와 연구를 하고 있습니다. 그래프이론과 이산수학, 조합적 최적화가 주요 연구 분야입니다. 2012년에는 젊은과학자상(대통령상)을 수상했고, 2017년에는 ... ...
- [Interview] KWMS-엔씨문화재단 젊은여성수학자상수학동아 l2018년 08호
- 풀어야 한다는 게 마치 끝이 보이지 않는 긴 터널을 지나는 것 같았어요. 김미란 교수: 대학교 1학년까지는 괜찮았는데, 그 이후에 해석학, 대수학, 기하학을 배우면서 힘들었어요. 그 전에는 단편적인 개념을 통해 문제를 푸는 게 전부였기 때문에 이론과 개념을 이해하고 서로 연결하고 확장하는 ... ...
- 숫자로 보는 2018 러시아 월드컵수학동아 l2018년 08호
- 세계 축구팬의 이목을 집중시켰던 2018 러시아 월드컵이 프랑스 국가대표팀의 우승으로 대단원의 막을 내렸습니다. 우리나라 국가대표팀은 마지막까지 ‘투혼’을 발휘했지만 아쉽게 16강 진출에는 실패했습니다. 그래도 FIFA 세계 랭킹 1위인 독일 국가대표팀을 2대 0으로 꺾는 쾌거를 이뤘습니다. ... ...
- [Issue] 대구 덮친 과불화화합물 공포과학동아 l2018년 08호
- POPs)로 지정해 법적으로 생산과 사용을 규제하고 있다. 최경호 서울대 보건대학원 환경보건학과 교수는 “학계에서는 과불화화합물이 암이나 치매, 당뇨 등의 발병은 물론, 갑상선호르몬 등 호르몬 교란에도 관련이 있을 것으로 보고 있어 추적조사가 필요하다”며 “예를 들어 일부 ... ...
- [Interview] "박쥐 같은 학문 바이오피직스로 면역항암제 개발 길 열 것"과학동아 l2018년 08호
- 거쳐 간 한국인 과학자만 20명 가까이 되고, 서울대, 대구경북과학기술원(DGIST) 등 국내 대학 소속 학부생들이 2~3개월씩 그의 실험실에 파견되기도 한다.그는 “한국 연구자들이 뭉쳤을 때 좋은 결과가 많이 나왔다”며 “한국 연구자들이 자부심을 갖고 지냈으면 좋겠다”고 말했다. 그는 또 “항상 ... ...
- [출동! 어린이과학동아 기자단] 소프트로봇 연구실어린이과학동아 l2018년 08호
- 로봇과 소프트로봇 등 그동안 연구실에서 개발한 로봇들을 모두 볼 수 있어요.” 서울대학교 기계공학부 김석준 연구원을 따라 연구소로 들어서자 가장 먼저 오른편에 있는 로봇 전시장이 눈에 띄었어요. 이곳에는 길고 가느다란 다리를 뽐내는 소금쟁이 로봇과 바퀴벌레를 닮은 점프로치, 손에 낄 ... ...
- Intro. 스티븐 호킹의 위대한 질문어린이과학동아 l2018년 08호
- 안녕, 친구들? 난 스티븐 호킹이야! 지난 3월 14일, 내가 세상을 떠나자 많은 사람들이 슬퍼했지. 이제 나는 우주로 떠나서 평생 궁금했던 우주의 신비를 확인해 볼 생각이야. 친구들도 나와 함께 우주 여행을 떠나 보지 않을래? ▼관련기사를 계속 보시려면? Intro. 스티븐 호킹의 위대한 질문Part ... ...
- Part 1. 장애는 연구에 방해가 될까?어린이과학동아 l2018년 08호
- 생을 마감한 호킹 박사의 장례식은 지난 3월 31일, 그가 30년간 일했던 영국 케임브리지대학교의 한 교회에서 열렸어요. 그는 선배 과학자인 아이작 뉴턴과 찰스 다윈의 곁에 편히 잠들었답니다. ▼관련기사를 계속 보시려면? Intro. 스티븐 호킹의 위대한 질문Part 1. 장애는 연구에 방해가 될까 ... ...
이전333334335336337338339340341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