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대학"(으)로 총 10,409건 검색되었습니다.
- [Future] 랍스터 하나 주문이요~ 음식도 3D 프린팅 시대과학동아 l2018년 07호
- 말했다. 콩 단백질 쌓는 방향 따라 닭고기 질감 내이 교수팀은 이화여대 임상치의학대학원에서 설립한 ‘이와이어라이너’와 공동으로 나이별 저작 능력도 연구하고 있다. 나이에 따라 음식을 씹을 때 필요한 힘을 측정해 저작 능력에 따라 부드럽게 소화할 수 있는 구조를 디자인하기 위해서다. ... ...
- [인터뷰] “꿈을 향한 3년 고교생활 일관되게 드러내야”과학동아 l2018년 07호
- “자신이 생각하지 못한 적성을 찾은 선배나 친구들도 의외로 많다”고 말했다. 서 씨는 대학 생활에 적응하기 위해서는 평소 영어 공부를 게을리해서는 안 된다고 덧붙였다. 성균관대는 국제형 수업을 추구하고 있어 외국인 교수가 많고, 영어로 진행하는 수업도 많은 편이다.서 씨는 “특히 ... ...
- [재학생 인터뷰] 조선해양공학 승선하고 미래 엔지니어로 출항과학동아 l2018년 07호
- 점을 강조했다. 그는 “실제 면접에서도 교수님들이 실패한 연구에 대해 물어봤다”며 “대학에서 공부한 뒤에 다시 도전하면 발전시킬 수 있을 것이라고 답했고, 좋은 평가를 받았다”고 말했다.김 씨는 또 “입시를 위한 과정이라는 생각 때문에 작은 실패에도 낙담하는 경우가 많은데, 실패를 ... ...
- [과학뉴스] 음악으로 느껴보는 우주의 크기!어린이과학동아 l2018년 07호
- 퍼졌어요. 대체 어떻게 된 일일까요? 이 사진에 소리를 합성한 사람은 미국 캘리포니아대학교 샌터바바라 캠퍼스의 천문학자 그레그 샐베센 박사예요. 그레그 박사는 사진에 나온 천체에 지구로부터의 거리에 따라 각각 다른 음의 피아노 소리를 입혔지요. 그는 우선 사진에 담긴 천체들과 지구 ... ...
- [실전! 반려동물] 혼자 남겨진 뭉치가 자꾸 말썽을 부려요!어린이과학동아 l2018년 07호
- 개는 왜 혼자 있으면 불안해할까?개는 약 1만 5천 년 전부터 사람과 함께 살았어요. 그 결과 사람과 함께 살아갈 때 가장 안정감을 느끼는 동물로 진화했지요. 따라서 가족과 함께 지내다 혼자 남겨진 개는 지루함이나 무기력함을 느끼기도 해요. 심지어 가족과 친밀도가 아주 높은 개는 공포를 느 ... ...
- Part 1. 베테랑 사냥꾼 등장!어린이과학동아 l2018년 07호
- 생화학을 전공해 우주에 관한 연구를 할 기회가 없었지요. 그러던 중 2002년 리에주대학교에서 외계생명체에 관한 연구를 시작한다는 사실을 알게 되었답니다. 마침 그 해에 외계행성의 대기 성분을 알아냈다는 연구가 처음 발표됐지요. 이때 조만간 외계행성의 비밀을 밝혀낼 수 있겠다는 확신에 ... ...
- Part 1. 피라미드는 초고층건물일까?수학동아 l2018년 07호
- 지상 123층, 높이 555m의 마천루. 국내에서는 1번째, 세계에서는 5번째로 높은 초고층건물 롯데월드타워의 전망대로 가기 위해 엘리베이터에 올랐다. 엘리베이터가 분당 480m의 속도로 빠르게 위로 솟구치자 가슴이 두근거렸다. 어느새 도착한 123층에서 본 서울의 풍경은 지금까지 봤던 서울과는 사뭇 ... ...
- Part 4. 바람에 넘어가진 않을까?수학동아 l2018년 07호
- 사실 초고층건물을 가장 위협하는 건 지진보다 바람이다. 바람의 세기는 땅에서 위로 올라갈수록 급격히 커지기 때문이다. 바람의 영향을 덜 받기 위해 가장 먼저 생각해 볼 수 있는 건, 초고층건물을 위로 갈수록 뾰족하게 설계하는 것이다. 위로 갈수록 강해지는 바람에 닿는 면적을 줄이는 것이 ... ...
- [매스미디어] 웰컴 투 방탄 유니버스수학동아 l2018년 07호
- 가능케 하는 유일한 방법은 수학이다. 2017년, 벤자민 티펫 캐나다 브리티시컬럼비아대학교 연구원은 시간을 도넛 모양으로 만들면 우주의 시간을 휘게 할 수 있다고 발표했다. SF 영화에서나 가능할 줄 알았던 시간 여행이 수학 세계의 기하학 구조 안에서는 얼마든지 가능하다는 주장이다. 가령, ... ...
- Intro. 반증으로 추측을 부숴라! 스트리트 매스파이터수학동아 l2018년 07호
- 수학자들의 격투가 시작됐다. 누구나 고개를 끄덕일 추측을 깨부수기 위해서는 틀렸다는 걸 보일 수 있는 강력한 무기, 반례로 공격해야 한다. 위대한 수학자의 추측을 반증할 사례를 찾았다면 무덤에서라도 수학자를 끌고 나와 대결하라. ▼관련기사를 계속 보시려면? Intro. 반증으로 추측을 ... ...
이전336337338339340341342343344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