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천공
천계
창공
공중
허공
공간
스카이
d라이브러리
"
하늘
"(으)로 총 3,744건 검색되었습니다.
키 땅딸이가 되지 않으려면…
과학동아
l
1992년 05호
사망한 사람의 뇌하수체에서 뽑은 성장호르몬을 사용 했기때문에 성장호르몬의 값이
하늘
높은 줄 몰랐다. 게다가 부작용으로 야콥스병이란 뇌성마비와 비슷한 증세를 보이는 병을 유발하기도 해서 쓰기가 조심스러웠다.그러나 85년에 미국의 릴리사와, 그 이듬해에 스웨덴의 노르디스크사가 개발한 ... ...
멀리있는 실상
과학동아
l
1992년 05호
인공위성은 약50만개의 적외선 분출지를 찾아냈다. 약 1년전엔 로샛위성의 X선 망원경이
하늘
의 90%를 넘는 영역에서 수천개의 X선 출처를 찾아냈다. 이 자료는 그 X선 출처들이 현재까지 알려지지 않은 물체인지 아니면 이미 다른 망원경으로 찾아낸 것인지 판별하기 위해 검토되고 있다. X선을 ... ...
행성은 한 별자리에 머물지 않는다
과학동아
l
1992년 05호
이주 좋은 때이니 한 번씩 찾아 보기 바란다. 찾는 요령은 이 글 바로 앞의 '5월의 밤
하늘
'을 참고하기 바란다.다섯째 이것은 아주 어려워서 오리온 자리가 황도12궁이 아니라는 사실을 아는 사람만이 지적해낼 수 있다. 즉 행성은 항상 황도 근처에 있어야 하므로 오리온 자리로 갈 수 없다는 것이다 ... ...
2 악천후 불문, 저공 침투 가능
과학동아
l
1992년 05호
이어 차세대 전투기 YF-22가 곧 선보일 예정이다.1903년 처음으로 라이트형제가 동력기로
하늘
을 비행한 이래 항공기는 상당한 발전을 거듭하여 왔고 현재는 수백명의 승객을 태우고 음속에 가까운 속도로 비행하는 항공기가 운항 중에 있다. 2000년대에는 수시간대로 미국에서 서울로 비행할 수 있는 ... ...
5 파일럿이 되는 길
과학동아
l
1992년 05호
되기 위해서는 어떤 과정을 밟아야 하는 걸까? 인간이 만든 최초의 동력추진 비행기로
하늘
을 난 것은 1903년 12월17일 캐롤라이나 북부 키디호크 모래언덕에서였다. 용감하고 지혜로운 라이트 형제는 인류의 오랜 꿈을 현실로 만들어낸 것이다.우리나라에서는 1922년 12월10일 안창남이 금강호를 타고 ... ...
로봇 3형제의 묘기대행진
과학동아
l
1992년 05호
첨단과학기술을 조화시킨 신나는 놀이마당이 93대전EXPO 한밭벌에서 펼쳐진다.
하늘
을 의미하는 쇠(꽹과리와 징)와 땅을 의미하는 가죽(북과 장고)이 펼쳐내는 우리의 가락을 첨단과학기술의 상징인 로봇에게 연주시킨다는 발상은 매우 신선한 것으로 받아들여지고 있다.로봇은 어느 정도의 ... ...
물량 가격경쟁력 면에서 LNG가 우세
과학동아
l
1992년 04호
LPG 가스를 각각 풍선에 채웠을때 수소가스 풍선처럼 천연가스가 주입 된 풍선은
하늘
높이 올라가는 반면 LPG 가스 풍선은 땅으로 내려앉는다. 이와 같은 특성은 천연가스가 공기대비 비교중량(비중) 이 0.626으로 가벼운 반면 LPG 가스는 1.5~2.0으로서 무겁기 때문이다. 만약 실내에서 가스를 사용할 때 ... ...
망원경제작의 1인자 이만성
과학동아
l
1992년 04호
사라지고 어둠의 장막이 짙게 깔리면서 또다른 세계로 몰입하기 시작한다. 반짝거리는 밤
하늘
을 좀더 가깝게 두기 위해, 우주로 열린 창을 보다 맑게 하기 위해 망원경의 반사경을 연마하는 것이다. 때로는 두세시간 정도로 끝나기도 하지만 새벽 두세시를 넘기는 경우가 허다하다.웬만한 ... ...
곤충서 힌트 얻은 여섯발 로봇
과학동아
l
1992년 04호
아날로그 M-9 조준기는
하늘
의 불침번이 되었다. 90㎜의 위풍을 자랑하는 포가 윙윙거리며
하늘
을 지켜보는 광경은 무척이나 믿음직했을 것이다. 1944년 독일은 마지막 남아있는 로켓포인 V-1을 모두 영국 런던을 향해 쏘았다. 그러나 M-9 덕택에 V-1의 약 90%는 도중에서 격추되고 말았다. 마치 걸프전에서 ... ...
보름달이 초저녁 동쪽
하늘
에 뜨는 이유
과학동아
l
1992년 04호
며칠 뒤 뜨는 상현달은 초저녁에 남중하고 마침내 보름달에 이르러서는 초저녁 동녘
하늘
에 뜨게 된다. 추석날 저녁 온가족이 모여 앉았을 때 보름달이 운치있게 동산 위에 걸려 있는 것은 바로 이 때문이다. 하현달은 자정쯤, 그듬달은 새벽에 뜨게 된다.달은 맨눈으로 관측해 밝은 부분과 어두운 ... ...
이전
333
334
335
336
337
338
339
340
341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