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천공
천계
창공
공중
허공
공간
스카이
d라이브러리
"
하늘
"(으)로 총 3,744건 검색되었습니다.
위험을 알 권리
과학동아
l
1992년 04호
안정(?)을 위해서 바람직한 일일지도 모른다. 벼락이라는 것이 죄지은 자에 대한
하늘
의 징벌이 아니라면, 어느 누구든지 '전기 통구이'가 되는 불상사를 당하게 될 가능성이 있기 때문이다. 물론 확률을 계산할 때 유의해야 할 점은 한두가지가 아니다. 상황에 따라서 확률은 상당히 변할 수가 ... ...
티벳
과학동아
l
1992년 04호
써리(猞猁) 한타(旱獺) 우리 (狐狸) 등도 분포한다. 또 조류인 세지(雪鷄) 싸지(沙鷄) 등이
하늘
을 날고 있다. 초원의 '청소부'인 두종의 독수리, 우지우(兀鷲) 투지우(秀鷲)도 눈알을 부라린다. 인적이 드문 칭장고원은 그야말로 동물의 멋진 낙원이었고, 대자연과의 조화를 멋지게 이루고 있었다. ... ...
온누리호 돛을 달다
과학동아
l
1992년 04호
좋아야 한다. 진인사대천명(盡人事待天命)이라. 첨단 과학장비를 사용 한 연구에도 역시
하늘
의 뜻에 따라야 하니 아이러니가 아닐 수 없었다. 그러나 필요하다면 용왕제라도 올리고 싶은 마음이 간절했다.다행히 출항 며칠간은 큰 파도는 없이 순조롭게 조사를 할 수가 있었다. 하루에 몇 번씩 ... ...
새봄 새싹 위에 펼쳐지는 작은 촛불잔치
과학동아
l
1992년 04호
나일 신전의 숭배 대상 중의 하나인 '신전의 별(Templer Star)'로, 그리고 아라비아에서는 '
하늘
의 수호성'으로 부르며 매우 신성시 하였다고 한다.이달의 집중탐구/ 솜브레로 은하(Sombrero Galaxy, M104)처녀자리의 으뜸별 스피카 동쪽으로 약간 떨어진 위치에 M104로 알려진 특이한 모양의 은하가 있다. 이 ... ...
헬륨기구 타고 세계일주 대모험
과학동아
l
1992년 03호
있어 요즘에는 거의 사용되지 않는다. '지구풍'에 채택된 헬륨은 가열하지 않아도 기구를
하늘
로 떠오르게 하지만 조금씩 새 나간다는 것이 약점이다.아직 성공여부가 미지수인 상태지만 미국내에서 이 '지구풍'의 세계일주에 거는 기대는 대단하다. 만약 성공을 거둔다면 아마도 탑승자들은 ... ...
남해안 철새도래지
과학동아
l
1992년 03호
"이 새들이 한꺼번에 날면 앉아 있을때보다 세배 이상의 면적을 차지하므로 온통
하늘
이 새들로 뒤덮인다"고 말했다.돌아오는 길에 넓적부리오리들이 집단으로 몰려 먹이(마름이라는 수초)를 먹는 모습을 집중적으로 관찰했다. 마름이 잘 끊어지지 않아 둘 이상이 풀 한쪽끝씩을 잡고 서로 빙빙 ... ...
봄소식 전해주는 동물들의 기지개
과학동아
l
1992년 03호
정확히 1.4등급으로 1등성들 중에서는 어두운 편에 속한다. 다만 밝은 별이 별로 없는 봄
하늘
에선 아주 당당한 모습으로 보인다. 이 별은 청백색의 별로 지구에서 약85광년 정도 떨어져 있다. 그 지름은 태양의 다섯 배 정도로 크며 밝기는 태양의 1백50배 정도이다. 작은 망원경이나 쌍안경을 통해 ... ...
렌즈지름 10m벽 돌파하는 세계 최대 망원경 선보인다
과학동아
l
1992년 03호
하고 있다.인류와 밀접한 관계를 가지고 시간과 기후 및 위치의 기준이 돼오던 밤
하늘
이 이제 문명의 발전과 함께 탐구와 도전의 대상으로 바뀌었다. '우주로 향한 창'을 활짝 열어 젖히려는 과학자들이 만들어낸 관측기구는 점점 대형화돼 좋은 관측기록을 쌓아가고 있다. 그중 망원경은 우리가 볼 ... ...
수학적 발견은 우연인가, 필연인가
과학동아
l
1992년 03호
① 20 ② 50 ③ 70 ④ 100(4) 이 세상에는 우연이거나 우연처럼 보이는 일이 많다. 이를테면
하늘
에 보이는 해와 달은 개기일식과 개기월식에서 보듯이 그 크기가 거의 비슷하게 여겨진다. 해와 달의 크기가 같아서인가? 아니다. 해의 지름이 달보다 4백배 크고, 그 거리가 달보다 4백배 멀기 때문에 그렇게 ... ...
${10}^{-29}$㎝에 도전한다
과학동아
l
1992년 03호
것이다. 이때가 초통일이론(Super Unified Theory : SUT)이 맞아 떨어지는 찰나다. 지금도 밤
하늘
에서 빛나고 있는 큰곰자리의 은하 M82 중심부가 혼란돼 있어, 과연 이것이 우주 창조 초기인 대폭발(Big Bang)이 아닌가 하는 조심스런 반응이다. 이때의 온도는 ${10}^{11}$ K 이상. 그때 이후 우주는 점점 식어서 ...
이전
334
335
336
337
338
339
340
341
342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