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선비
학장
지식인
전문가
현자
스콜라
장학생
d라이브러리
"
학자
"(으)로 총 6,892건 검색되었습니다.
1998년 이서구 교수의 활성산소 신호전달 메커니즘 규명
과학동아
l
2008년 05호
효소를 배워보라고 하시더군요.” 이렇게 해서 미국 국립보건원(NIH)의 저명한 효소
학자
얼 스테트만 박사 실험실을 찾아간 이 교수는 그 뒤 2005년 귀국할 때까지 35년을 NIH에 몸담게 된다.이 교수는 1980년대 중반에서 1990년대에 걸쳐 ‘포스포리파제 C’라는 효소의 구조와 기능을 규명한 일련의 ... ...
네안데르탈인은 개구리처럼 말했다?
과학동아
l
2008년 05호
인류
학자
인 로버트 맥카시 교수는 4월 11일 미국 오하이오주에서 열린 미국물리인류
학자
협회 연례 회의에 참석해 “네안데르탈인의 목소리를 재현한 결과 현생 인류와 조금 다르게 소리냈다”고 밝혔다.그는 프랑스에서 발견된 5만 년 전 화석을 이용해 네안데르탈인의 성대를 재구성한 뒤 ... ...
문학적 상상력으로 허수 정복하기
과학동아
l
2008년 05호
논리
학자
의 차가운 마음보다 시인의 발랄한 상상력이 필요하다는 것.그런데 수
학자
들은 왜 허수를 생각해냈을까. x²-2x+2=0 이라는 방정식의 해를 구하는 과정에서 (x-1)²=-1이라는 식이 얻어진다. 수의 개념이 실수까지라면 이 방정식의 해는 없다. 어떤 수의 제곱이 음수가 될 수는 없기 때문이다. ... ...
국가별 이산화탄소 배출량
과학동아
l
2008년 05호
5호기는 경각이 큰 궤도로 진입시켜 달의 극지방도 탐사할 수 있게 했다 1860~1920 독일의 화
학자
1880년부터 라이프치히 · 하이델베르크 · 베를린 등지에서 화학을 공부하고 89년 하이델베르크대학 연구소 소장대리, 90년 프라이부르크 대학 화학연구소 소장을 역임했다 19 ... ...
디지털로 되살아난 페르세폴리스
과학동아
l
2008년 05호
동양학연구소의 당시 발굴 과정 보고서와 도면을 일차적으로 참고했다. 또 독일의 건축
학자
크레프트가 1970년대 그린 페르세폴리스 실측도를 기본 자료로 삼았다. 오른쪽 사진은 크레프트 박사의 실측도다.2단계〉 콘티 작성조사한 자료를 바탕으로 디지털 영상을 만들기 위한 콘티를 작성한다. 이 ... ...
'궁극의 회로선폭' 0.3nm에 도전한다
과학동아
l
2008년 05호
하지만 이런 추측을 불식시키듯 올해 2월 독일 물리학회도 원자선 세션을 처음 만들어 과
학자
들의 연구를 독려했다.무엇보다 기쁜 일은 독일 물리학회에서 원자선 세션의 기조강연을 염 단장에게 부탁했다는 사실이다. 유럽 학계에서도 그를 원자선 분야의 권위자로 인정했다는 뜻이다.“원자선 ... ...
PART2 장내 미생물, 받은 만큼 돌려준다
과학동아
l
2008년 04호
928년 영국의 미생물
학자
알렉산더 플레밍이 우연히 발견한 항생제 페니실린은 제2차 세계대전에서 부상자 수백만 명의 목숨을 구했다. 그 뒤 개발된 여러 항생제는 사람들이 세균에 감염돼 병이 났을 때 효과적인 치료제로 널리 쓰이고 있다. 그런데 항생제를 먹다보면 속이 불편하거나 심지어 ... ...
세포 반란 잠재울 단백질 구조학
과학동아
l
2008년 04호
거창하지 않다. 그는 그저 자신이 연구한 결과가 차곡차곡 쌓여 후대의 생물
학자
나 의
학자
, 신약개발자가 유용하게 쓸 수 있는 자료로 활용되길 바라는 마음이다.미국 유학시절 단백질의 ‘휘황찬란한’ 분자구조에 반해 구조생물학을 시작했다는 조 단장은 그때 품었던 초심(初心)을 그대로 ... ...
저작권 독립만세!
과학동아
l
2008년 04호
하는 저작권 방침을 채택했다. APS 발간 저널의 진 스프로즈 편집장은 “최고 수준의 과
학자
들이 우리 방침에 반기를 들고 있다”며 “저작권 방침 수정을 심각하게 고려하고 있다”고 밝혔다 ... ...
part 2 지구 위에 뜬 거대 실험실 국제우주정거장
과학동아
l
2008년 04호
등에 관련된 무려 90가지가 넘는 우주실험이 매일 진행되고 있으며 100명이 넘는 과
학자
들이 이들 연구를 뒷받침하고 있다. 우리나라도 ISS에서 18가지 실험을 성공적으로 진행한 뒤 일본의 키보 모듈이 모두 완공돼 본격적으로 운영될 때 이 모듈의 실험에 참여하는 방안도 모색하고 있다. 이럴 경우 ... ...
이전
333
334
335
336
337
338
339
340
341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