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선비
학장
지식인
전문가
현자
스콜라
장학생
d라이브러리
"
학자
"(으)로 총 6,892건 검색되었습니다.
EPISODE3 인류구원프로젝트
과학동아
l
2008년 02호
태양은 적색거성이 되기 전에도 시간이 지남에 따라 점차 에너지를 많이 뿜어낸다. 과
학자
들에 따르면 태양은 10억 년 뒤 지금보다 11% 더 밝아지고 35억 년 뒤 지금보다 40% 더 밝아진다.미국 펜실베이니아주립대 제임스 캐스팅 교수팀은 2000년 AAAS 연례회의에서 태양이 밝아짐에 따라 지구의 온도가 ... ...
북극 종자은행, 냉각 시작
과학동아
l
2008년 01호
분비되는 액체로 질의 산성을 중화시킨다 이 액체가 분비되는 장소와그 역할을 해명한
학자
의 이름을 따 쿠퍼선액이라 부른다 여성의 질은 세균 감염을 막기 위해 산성을 띠고 있다맨눈으로 관찰하면 한 개의 별로 보이지만 천체망원경 같은 광학기로 보면 두 개 이상으로 보이는 별을 이중성이라 ... ...
조선조류열전
과학동아
l
2008년 01호
제보하는 사람에게 각각 500달러를 주겠다는 전단을 서독 조류연구소가 전세계 조류
학자
에게 뿌리고 있다”는 기사가 실리기도 했다. 일본에는 원앙사촌을 그린 오래된 화조도가 남아있는데, 그림제목이 모두 ‘조선원앙’이라고 쓰여있는 점에서 원앙사촌을 한국에서 무분별하게 채집해갔다는 ... ...
초미세 생체현상 속에 답이 있다
과학동아
l
2008년 01호
100개를 유지하고 있다.국내에 MEMS 기술을 뿌리내린 조 교수는 기계공
학자
다. 하지만 생물
학자
보다 더 생물에 관심이 많다. 건강한 세포가 몸속에서 어떻게 움직이고 반응하는지, 여름철 제 세상을 누리던 모기와 파리도 겨울이 되면 모두 죽는데 사람은 어떻게 추위와 더위를 잘 견딜 수 있는지 그의 ... ...
러시아자연사박물관전
어린이과학동아
l
2008년 01호
뿌우우우~ 반가워! 난4만년의시간을뛰어넘어온 아기맘모스디마야. 2007년12월14일부터2008년2월10일까지 서울양재동aT센터에서열리는 러시아자연사박물관전에서 ... 들으면서 고생물
학자
의 꿈을 키우셨대.‘ 어린이과학동아’ 친구들도 이번 전시회에서 고생물
학자
의 꿈을 쑥쑥키워 보렴~ ... ...
이산화탄소 배출 주범은 주요 산업국
과학동아
l
2008년 01호
기후변화를 억제하려는 세계적은 노력에도 불구하고, 상위 40개 산업국들의 온실가스 배출량은 1990년 수준으로 돌아왔다. 미국과 러시아의 배출량이 최 ... 모든 지질학적 과정들에도 똑같이 작용했다고 보는 견해로서, 19세기 스코틀랜드 지질
학자
라이엘의 '지질학 원리'에서 본격적으로 ... ...
생명 2.0시대 오는가?
과학동아
l
2008년 01호
생물
학자
들의 질문이 달라지고 있다. 그동안 '생명은 어디에서 오는가'라는 물음에 매달렸다면 이제 '생명을 어떻게 만들 수 있을까'라고 묻고 있는 것. 지구에서 자연스럽게 진화한 버전 1.0 생명체를 연구하는 시대는 가고 인간이 직접 만든 게놈으로 새로운 생명체를 창조하는 '생명 2.0' 시대가 ... ...
'휴보' 기술로 개기일식 촬영하는 로봇공
학자
과학동아
l
2008년 01호
선정됐다. 과학기술자로서 학술 분야에 선정되고 싶진 않았나?학술 분야에 선정됐다면
학자
로서 영예였을 테지만, KBS에서 나를 사회문화 부문에 추천한 걸로 알고 있다. 지금까지 휴보가 학술적 공헌을 했다고 생각하지 않는다. 물론 현재 열심히 연구하고 있으니까 앞으로 학술적 성과도 나올 ... ...
신물질을 디자인합니다
과학동아
l
2008년 01호
1991년 일본전기회사(NEC)의 이지마 스미오 박사가 탄소나노튜브를 발견한 뒤 많은 물리
학자
들이 탄소가 아닌 다른 원소로 나노튜브를 만드는 시도를 했다. 그리고 3년 뒤 미국 버클리 캘리포니아대 연구팀이 탄소나노튜브보다 우수한 특성을 가진 질화붕소나노튜브를 이론적으로 발견한 뒤 합성에 ... ...
시간 공장, 새해를 만들다!
어린이과학동아
l
2008년 01호
보람찬 시간이에요.이용복 교수하늘의 움직임을 관찰하고 시간을 연구하길 좋아하는
학자
입니다. 저에게 1초는 하루마다 다른 의미입니다. 어제는 그저 아무 의미도 없이 지나갔었지만 오늘은 연구에 영감을 주는 새로운 아이디어가 떠오른 귀중한 시간이었지요. 내일은 또 어떤 시간이 될지 ... ...
이전
337
338
339
340
341
342
343
344
345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