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선비
학장
지식인
전문가
현자
스콜라
장학생
d라이브러리
"
학자
"(으)로 총 6,892건 검색되었습니다.
올 겨울 유성우 전망
과학동아
l
2008년 01호
다르다2세기경 로마 사람 갈레누스(Galenus)가 저술한 의학서(醫學書) 고대 의
학자
히포크라테스(Hippokrates)의 저서와 함께 의학계에 크게 공헌했다함수방정식의 근사해법의 하나 형식적으로는 비선형의 문제, 비보전계의 문제 등에도 그대로 적용할 수 있다 옥사진핵을 가진 ... ...
tRNA 결정에서 풀어낸 입체 구조
과학동아
l
2008년 01호
뛰어들었다. 그런데 단백질과는 달리 tRNA는 결정 자체가 만들어지지 않았다. 많은 과
학자
들의 숱한 노력에도 불구하고 tRNA를 결정으로 만드는데 번번이 실패했다. 김성호 교수는 “결국 사람들은 뉴클레오티드를 연결하는 인산기의 음전하가 분자 표면에 분포하면서 tRNA 분자가 서로 밀치기 때문에 ... ...
'휴보' 기술로 개기일식 촬영하는 로봇공
학자
과학동아
l
2008년 01호
선정됐다. 과학기술자로서 학술 분야에 선정되고 싶진 않았나?학술 분야에 선정됐다면
학자
로서 영예였을 테지만, KBS에서 나를 사회문화 부문에 추천한 걸로 알고 있다. 지금까지 휴보가 학술적 공헌을 했다고 생각하지 않는다. 물론 현재 열심히 연구하고 있으니까 앞으로 학술적 성과도 나올 ... ...
주방이 '실험실'인 분자요리
과학동아
l
2008년 01호
- 에르베 티스, 『분자요리』중에서-1988년 프랑스 화
학자
에르베 티스와 헝가리 물리
학자
니콜라스 쿠르티는 요리의 물리·화학적 측면에 대한 국제 워크숍을 준비하던 중 이 분야에 적합한 이름을 짓기로 했다. 에르베 티스가 ‘분자요리’(Molecular Gastronomy)라는 용어를 제안하자 니콜라스 쿠르티는 ... ...
생명 2.0시대 오는가?
과학동아
l
2008년 01호
생물
학자
들의 질문이 달라지고 있다. 그동안 '생명은 어디에서 오는가'라는 물음에 매달렸다면 이제 '생명을 어떻게 만들 수 있을까'라고 묻고 있는 것. 지구에서 자연스럽게 진화한 버전 1.0 생명체를 연구하는 시대는 가고 인간이 직접 만든 게놈으로 새로운 생명체를 창조하는 '생명 2.0' 시대가 ... ...
조선조류열전
과학동아
l
2008년 01호
제보하는 사람에게 각각 500달러를 주겠다는 전단을 서독 조류연구소가 전세계 조류
학자
에게 뿌리고 있다”는 기사가 실리기도 했다. 일본에는 원앙사촌을 그린 오래된 화조도가 남아있는데, 그림제목이 모두 ‘조선원앙’이라고 쓰여있는 점에서 원앙사촌을 한국에서 무분별하게 채집해갔다는 ... ...
신물질을 디자인합니다
과학동아
l
2008년 01호
1991년 일본전기회사(NEC)의 이지마 스미오 박사가 탄소나노튜브를 발견한 뒤 많은 물리
학자
들이 탄소가 아닌 다른 원소로 나노튜브를 만드는 시도를 했다. 그리고 3년 뒤 미국 버클리 캘리포니아대 연구팀이 탄소나노튜브보다 우수한 특성을 가진 질화붕소나노튜브를 이론적으로 발견한 뒤 합성에 ... ...
사이언스 시간여행
어린이과학동아
l
2007년 24호
연결한다면 고속버스나 고속철도를 타고 동남아 배낭여행을 떠날 수 있을 것이다. 과
학자
들은 2019년에는 중국과 일본을 잇는 해저터널망 구축 기술이 개발될 것으로 예상하고 있다.해저터널에는 무공해 자동차, 무공해 열차가 다닐 것이다. 해저에서는 그 많은 배기가스를 처리하기가 어렵기 ... ...
고흐에겐 뭔가 특별한 것이 있다!
어린이과학동아
l
2007년 24호
술인 압생트가 시신경을 손상시켜서 이런 소용돌이를 그리고 강렬한 색을 칠했다고 보는
학자
도 있어. 원인은 여러 가지일 수 있지만 풍경을 보고 느낀 것을 분명하게 화폭에 담아낸 건 나만이 할 수 있었다고 생각해. 부글부글 끓는 격정난 1853년에 태어나 1890년에 숨을 거둘 때까지 가난과 외로움 ... ...
까악~! 까마귀 자판기로 돈을 벌겠다고?
어린이과학동아
l
2007년 23호
종류까지 다 알고 있답니다.”“그래서 미국 듀크대학교의 에릭 저비스라는 신경생물
학자
는 새의 뇌에 대한 새로운 연구결과를 발표하기도 했어요. 새의 뇌가 대부분 원시적인 영역으로 이루어졌다는 이전 학설과 달리, 사람처럼 복잡한 처리를 하는 영역으로 이루어져 있다는 거예요.”“도구를 ... ...
이전
338
339
340
341
342
343
344
345
346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