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선비
학장
지식인
전문가
현자
스콜라
장학생
d라이브러리
"
학자
"(으)로 총 6,892건 검색되었습니다.
돌보기를 황금같이
어린이과학동아
l
2007년 16호
있는지도 살펴보자.얼마나 단단해?암석끼리 긁었을 때 더 무른 쪽이긁히겠지? 독일 지질
학자
모스는 대표적인 암석의 단단함을 비교해 ‘모스경도계’ 를 만들었어. 숫자가 클수록 단단해. 쉽게 구할 수 있는 동전이나 못으로 암석을 긁어 보면서 모스경도계에서 어느 암석보다 단단할지 맞춰 봐 ... ...
물리학 20년 숙제 ‘라디오잡음’원인 밝혀
어린이과학동아
l
2007년 15호
들으면‘지지직’하는 잡음이 들리잖아요? 작은 현상 같지만 물리
학자
들이 20년 이상 풀지 못한 숙제였대요. 최근 한국과학기술원(KAIST) 신성철 교수가 라디오 잡음이 생기는 이유를 밝혀 냈어요.라디오 안에는 자석이 있어요. 라디오 내부의 자기장이 변하면 자석의 성질도 갑자기 변하죠. 이 때문에 ... ...
우주로 피서 가자!
어린이과학동아
l
2007년 15호
생각했어. 목성에는 땅이 없기 때문에 목성에 사는 생명체는 발이 없을 거야. 그래서 천문
학자
칼 세이건은 목성에 풍선처럼 생긴 생명체가 있을 수도 있다고 생각했어. 먹이를 소화시켜 얻은 에너지로 몸 안에 가득 채워 넣은 수소를 따뜻하게 데워서 떠다니는 거야. 땅 위에서 몸을 지탱해야 할 ... ...
사이언스 시간여행
어린이과학동아
l
2007년 14호
광합성을 하는 동물이 태어날지도 모를 일이다. 그냥 상상이 아니라 실제로 생명과
학자
들은 2022년이면 광합성을 하는 동물이 태어날 것으로 예상하고 있다. 식물에 있는‘광합성 공장’유전자를 동물에 넣어 광합성을 하게 하는 것이다.처음에는 아주 작은 미생물이 광합성을 할 것이다. 그러다 ... ...
사이언스 시간여행
어린이과학동아
l
2007년 13호
지능지수(IQ)의 원형이 되었다1896년 7월 13일독일의 화
학자
케쿨레 67세로 사망독일의 화
학자
로 화학구조를 많이 연구했다. 탄소원자를 이용해 원자가 다른 원자와 결합할 때 만드는 길고 짧은 원자사슬의 성질을 밝혀 냈다. 또 벤젠이 6각형 고리 구조로 이뤄졌다는 것도 알아 냈는데 이 발견은 ... ...
똥꼬가 간질간질, 기생충이 산다!
어린이과학동아
l
2007년 12호
됐다는 거지.그렇다고 알레르기 때문에 우리를 억지로 몸에 키우지 않아도 돼. 많은 과
학자
들이 기생충의 면역억제 능력을 이용해 알레르기를 없애는 약을 개발하고 있으니까 말이야. 기생충 덕분에 천식이나 아토피, 비염이 나을 수 있다고 생각하니 우리가 고맙지?기생충 다이어트?우리 촌충들 ... ...
바퀴벌레 없애는 로봇
과학동아
l
2007년 12호
로봇의 뒤를 이어 바퀴벌레를 퇴치하는 로봇이 등장했다.벨기에 프리대 생물
학자
호세 할로이 교수는 바퀴벌레를 잡기 쉽도록 밝은 곳으로 유인하는 로봇을 개발했다고 11월 16일자 ‘사이언스’에 발표했다.집안에 사는 바퀴벌레는 퇴치하기 쉽지 않다. 어두운 곳을 좋아하는 바퀴벌레가 사람들의 ... ...
소음 잡은 블루투스 헤드셋
과학동아
l
2007년 12호
(metron)의 합성어다 즉 '물건의 혼을 계측해 해석하는 능력'이다 미국 남북전쟁 때 지질
학자
덴튼 박사가 누이의 능력을 보고 처음 이름을 지었다 그의 누이는 지질학적 견본(광석 돌멩이 화석류 등)을 이마에 대는 것만으로 그 견본에 관련된 역사를 시각적으로 볼 수 있었다 덴튼 박사는 이 내용을 ... ...
12월이 빨리 지나가는 이유
과학동아
l
2007년 12호
뇌가 반응할 때, 대뇌피질 세포들이 반응하는 속도가 다른 것을 나타낸다. 미국 뇌과
학자
워렌 메크는 “특정한 사건들은 다양한 길이로 머리에 저장된다”며 “뇌 속에 시간을 재는 수많은 시계(시간간격 시계)가 있기 때문”이라고 설명했다. 뇌의 보조운동영역과 전두엽, 소뇌 같은 영역엔 각기 ... ...
티라노는 느림보
어린이과학동아
l
2007년 12호
몸무게가 6~8톤에 달했다고 말했어요. 뛰는 속도도 빨라야 40㎞라고 해요. 예전에 일부
학자
들은 티라노사우루스가 3~4톤이며 시속 60㎞ 이상 빠르게 달렸다고 주장했어요. 그러나 허친슨 박사는 티라노사우루스가 큰 몸집 때문에 몸을 45도 돌리는데도 2초 이상 걸려 재빠른 먹잇감을 잡아먹지 못했을 ... ...
이전
340
341
342
343
344
345
346
347
348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