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선비
학장
지식인
전문가
현자
스콜라
장학생
d라이브러리
"
학자
"(으)로 총 6,892건 검색되었습니다.
돌보기를 황금같이
어린이과학동아
l
2007년 16호
있는지도 살펴보자.얼마나 단단해?암석끼리 긁었을 때 더 무른 쪽이긁히겠지? 독일 지질
학자
모스는 대표적인 암석의 단단함을 비교해 ‘모스경도계’ 를 만들었어. 숫자가 클수록 단단해. 쉽게 구할 수 있는 동전이나 못으로 암석을 긁어 보면서 모스경도계에서 어느 암석보다 단단할지 맞춰 봐 ... ...
물리학 20년 숙제 ‘라디오잡음’원인 밝혀
어린이과학동아
l
2007년 15호
들으면‘지지직’하는 잡음이 들리잖아요? 작은 현상 같지만 물리
학자
들이 20년 이상 풀지 못한 숙제였대요. 최근 한국과학기술원(KAIST) 신성철 교수가 라디오 잡음이 생기는 이유를 밝혀 냈어요.라디오 안에는 자석이 있어요. 라디오 내부의 자기장이 변하면 자석의 성질도 갑자기 변하죠. 이 때문에 ... ...
우주로 피서 가자!
어린이과학동아
l
2007년 15호
생각했어. 목성에는 땅이 없기 때문에 목성에 사는 생명체는 발이 없을 거야. 그래서 천문
학자
칼 세이건은 목성에 풍선처럼 생긴 생명체가 있을 수도 있다고 생각했어. 먹이를 소화시켜 얻은 에너지로 몸 안에 가득 채워 넣은 수소를 따뜻하게 데워서 떠다니는 거야. 땅 위에서 몸을 지탱해야 할 ... ...
사이언스 시간여행
어린이과학동아
l
2007년 14호
광합성을 하는 동물이 태어날지도 모를 일이다. 그냥 상상이 아니라 실제로 생명과
학자
들은 2022년이면 광합성을 하는 동물이 태어날 것으로 예상하고 있다. 식물에 있는‘광합성 공장’유전자를 동물에 넣어 광합성을 하게 하는 것이다.처음에는 아주 작은 미생물이 광합성을 할 것이다. 그러다 ... ...
사이언스 시간여행
어린이과학동아
l
2007년 13호
지능지수(IQ)의 원형이 되었다1896년 7월 13일독일의 화
학자
케쿨레 67세로 사망독일의 화
학자
로 화학구조를 많이 연구했다. 탄소원자를 이용해 원자가 다른 원자와 결합할 때 만드는 길고 짧은 원자사슬의 성질을 밝혀 냈다. 또 벤젠이 6각형 고리 구조로 이뤄졌다는 것도 알아 냈는데 이 발견은 ... ...
여왕이 성(性)을 결정한다
과학동아
l
2007년 12호
여왕벌은 성의 균형을 뒤집어엎을 수 있는 힘을 가진다고 미국 미시건주립대의 곤충
학자
인 캐티 와튼 박사팀은 주장했다. 이 사실을 증명하기 위해 여왕벌을 특별히 지은 벌집에 가두고 실험했다. 처음에 여왕벌은 작은 크기의 방만 가득한 벌집에 갇힌 채 암컷이 될 알만 낳아야 했다. 4일 뒤에는 ... ...
소음 잡은 블루투스 헤드셋
과학동아
l
2007년 12호
(metron)의 합성어다 즉 '물건의 혼을 계측해 해석하는 능력'이다 미국 남북전쟁 때 지질
학자
덴튼 박사가 누이의 능력을 보고 처음 이름을 지었다 그의 누이는 지질학적 견본(광석 돌멩이 화석류 등)을 이마에 대는 것만으로 그 견본에 관련된 역사를 시각적으로 볼 수 있었다 덴튼 박사는 이 내용을 ... ...
헬리콥터 100년史
과학동아
l
2007년 12호
것이 많고 밀착용 인화지는 염화은을 주로 함유한 유제가 사용된다헝가리 출신의 미국 수
학자
인 노이만(J L von Neumann)이 제시한 원리에 따라 만들어진 컴퓨터 노이만은 1946년, 현재의 컴퓨터와 같이 기억장치에 컴퓨터의 명령과 수치를 함께 기억시키는 이른바 내장방식(stored program)을 제안했는데, ... ...
과학의 힘으로 장애를 뛰어넘다
과학동아
l
2007년 12호
달달 외워서라도 시험에 통과하고 싶은 심정이다.18세기 영국의 물리
학자
이자 화
학자
인 존 돌턴과 한국을 대표하는 만화가 이현세의 공통점은? 바로 색각장애를 지녔다는 점이다. 돌턴은 빨간색과 초록색을 잘 구분하지 못하는 적록색맹이었고, 이현세는 색약 때문에 미대 진학을 포기했다고 말한 ... ...
넷째 손가락 길면 수학 잘할까?
어린이과학동아
l
2007년 12호
수학을 더 잘했대요. 집게 손가락이 더 길거나 비슷한 어린이는 영어를 더 잘했어요. 과
학자
들은 아기가 자궁에서 자랄 때 남성호르몬에 더 많이 노출되면 넷째 손가락이 더 길어지면서 수학과 관련된 뇌가 더 발달한다고 설명해요. 그러나 이 연구만을 놓고 넷째 손가락이 더 길면 수학을 잘한다, ... ...
이전
340
341
342
343
344
345
346
347
348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