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단체
그룹
team
소집단
선수
티임
편
뉴스
"
팀
"(으)로 총 4,767건 검색되었습니다.
식물 개화시기 결정하는 진짜 메커니즘 찾았다
동아사이언스
l
2016.12.19
결정한다는 것이다. 곽준명 기초과학연구원(IBS) 식물 노화·수명 연구단 그룹리더
팀
은 미국 리버사이드캘리포니아대(UC리버사이드)와 공동으로 꽃 기관 형성을 조절하는 ‘PWR단백질’과 탈아세틸화 효소인 ‘HDA9’가 복합체를 이뤄 식물의 성장 및 개화시기를 조절한다는 연구 결과를 학술지 ... ...
빌 게이츠 재단 지원 받는 첫 국내 과학자 권오석 생명硏 연구원
동아사이언스
l
2016.12.19
말라리아에 감염될 수 있다. 권 연구원 등 한국인 과학자 4명으로 이뤄진 국제 연구
팀
은 향후 2년간 총 370만 달러(약 44억300만 원)를 지원받을 예정이다. 권 연구원은 그 중 첫 해에 70만 달러(약 8억3300만 원), 다음 해에 80만 달러(약 9억5200만 원)로 총 150만 달러(약 17억8500만 원)를 받게 된다. 빌 ... ...
60만개로 조각난 지구, 동물은 죽어 간다
동아사이언스
l
2016.12.16
있는 지역에 도로를 더 짓는 것은 생태학적 대재앙임이 드러났다”고 말했다. 연구
팀
은 도로가 조각낸 지구의 모습을 그림으로 나타냈다. 빨간색으로 표시된 곳은 1제곱킬로미터 미만인 지역. - 사이언스 ... ...
2016 지구사랑탐사대 수료식 우리는 모두 시민과학자!
어린이과학동아
l
2016.12.14
당부했어요. 어때요? 이정도면 지구사랑탐사대 지원군이라 할 만하죠? 광명청개구리
팀
의 전지희 대원이 포스터 앞에서 환하게 웃고 있다. - 김은영 기자 gomu51@donga.com 제공 내년에는 또 어떤 재밌는 탐사가 펼쳐질까요? 새롭게 펼쳐질 지구사랑탐사대 5기 활동이 벌써 기대되지 않나요? ... ...
걷고 만지면서… VR로 화학물질 사고 가상 훈련
동아사이언스
l
2016.12.14
기계연) 기계시스템안전연구본부 시스템신뢰성연구실 차무현 선임연구원
팀
은 가상현실(VR) 기술을 이용해 다양한 사고 대응 훈련이 가능한 ‘가상훈련 시스템 및 고몰입형 휴먼 인터페이스 기술’을 개발했다고 13일 밝혔다. VR를 이용한 훈련장비는 과거에도 개발된 바 있지만 대부분 시각정보를 ... ...
차세대 디스플레이 ‘퀀텀닷’ 효율 큰 폭으로 높였다
동아사이언스
l
2016.12.13
일어나기 쉽다. 이 때문에 점점 광효율이 떨어질 우려가 높은 것이 단점이었다. 연구
팀
은 발광층 내부에 껍질층과 동일한 물질로 만들어진 ‘씨앗 층’을 만든 뒤, 씨앗층위에 기존의 발광층과 껍질층을 쌓아 올리는 구조를 고안해 냈다. 씨앗층이 내부에 있으면 양 쪽에서 같은 힘이 가해져 ... ...
혈관 치료해 암세포 공격… 신개념 암치료 법 찾았다
동아사이언스
l
2016.12.13
항암치료법 개발로 이어질 것으로 기대된다. 고규영 기초과학연구원(IBS) 혈관연구단장
팀
은 암세포 주위 혈관을 튼튼히 해 치료 효과를 높이는 방법을 처음으로 발견했다고 12일 밝혔다. 암세포는 성장과 전이를 위해 주변에 스스로 혈관을 만든다. 이런 혈관은 몹시 불안정해 혈액이 잘 흐르지 ... ...
막내린 '롤드컵'이 남긴 기록…총상금 60억, 4억명 시청
포커스뉴스
l
2016.12.07
중 최장 경기 기록을 세웠다. 결승전에서 승리한 SK텔레콤 T1은 사상 최초로 3번을 우승한
팀
으로 LoL e스포츠 역사에 이름을 남기게 됐다. 권정현 라이엇게임즈 e스포츠커뮤니케이션 본부 총괄 상무는 "e스포츠를 응원해주고 계시는 많은 플레이어 분들 덕분에 e스포츠의 위상이 날로 커가고 있다"며 ... ...
식물이 숨쉬는 과학적 원리 찾았다
동아사이언스
l
2016.12.07
다양한 식물연구 분야는 물론 병충해 예방 등에도 보탬이 될 것으로 기대된다. 연구
팀
은 식물에서 이 칼슘채널을 없애자 칼슘이 부족해 생기는 ‘배꼽썩음병’ 증상이 나타난다는 사실 역시 알아냈다. 곽 교수는 “GLR3.1/GLR3.5는 기공의 개폐뿐만이 아니라 식물의 성장과 발달에 전반적으로 영향을 ... ...
머리카락 10만분의 1 굵기 ‘나노선’도 한 눈에 본다
동아사이언스
l
2016.12.06
이 물질의 기계적, 전기적 특성 변화를 측정할 수 있는 기술을 새롭게 개발했다. 연구
팀
은 이를 통해 반도체 물질인 ‘인듐 알세이드 포스파이드(InAsP)’로 만든 나노선의 특성을 실시간으로 측정하는 데 성공했다. 김 연구원은 “단일한 나노물질을 측정하는 방법을 개발할 예정”이라며 ... ...
이전
333
334
335
336
337
338
339
340
341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