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단체
그룹
team
소집단
선수
티임
편
뉴스
"
팀
"(으)로 총 4,767건 검색되었습니다.
인간 유전자 교정 시작됐다… 세계 첫 임상시험 中 연구진이 시작
2016.11.16
한 것이다. 연구진은 이렇게 만든 면역세포를 다시 폐암 환자에게 주사했다. 연구
팀
은 앞으로 모두 10명의 폐암 환자에게 각각 2~4번 주사할 예정이다. 주사가 마친 뒤 6개월 동안 주입한 면역세포가 몸 안에서 제대로 작용하는지, 부작용은 없는지 관찰할 계획이다. 이번 실험을 통해 중국은 ... ...
스마트폰 폭발 위험 사라진다… 신개념 배터리 개발
2016.11.16
없는 배터리 제작 방법을 찾아냈다. 구종민 한국과학기술연구원(KIST) 책임연구원(사진)
팀
은 ‘리튬’ 계열 배터리에 들어가는 액체전해질을 겔(gel) 형태로 만드는 데 성공했다고 15일 밝혔다. 리튬 계열 배터리는 스마트폰이나 노트북 등 대부분의 소형 전자기기에 사용되지만 내부 배터리 액이 ... ...
방사선 쪼여 태양전지 수명 2.5배 늘렸다
2016.11.15
쬐는 단순 공정으로 만들어지기 때문에 대량생산에도 유리할 것으로 보인다. 연구
팀
은 “스마트폰과 TV에 사용되는 유기발광다이오드(OLED) 등의 차세대 전자 소자의 성능 향상에도 PRGO를 사용할 수 있을 것”이라고 밝혔다. 이번 연구 결과는 학술지 ‘나노 에너지(Nano Energy)’ 11월 10일자 ... ...
빨간 사과가 더 맛있어 보이는 이유 찾았다
2016.11.15
사실이 실험으로 밝혀졌다. 라파엘라 루미아티 이탈리아 고등연구국제대(SISSA) 교수
팀
은 실제 영양분보다 색깔이 음식 선호에 큰 영향을 미친다는 사실을 밝히고 학술지 ‘사이언티픽 리포츠’ 14일자에 발표했다. 연구진은 사람이 빨간 음식을 선호하는 이유가 오랜 진화의 역사에서 빨간색을 ... ...
[표지로 읽는 과학]그린란드에 살던 바이킹 후손들은 15세기 왜 갑자기 사라졌을까?
동아사이언스
l
2016.11.14
상징화한 그림이 실렸다. 마크 허버너 독일 막스플랑크연구소 신경생물학 그룹리더
팀
은 배아줄기세포를 다 자란 쥐의 뇌에 이식했을 때 뉴런이 제대로 자라 다른 뉴런과 연결되는 모습을 처음으로 관찰하고 논문으로 발표했다. 다 자란 포유류의 뇌는 사고나 질병으로 손상됐을 때 극히 재생되기 ... ...
간지럼 느끼는 뇌 부위 찾았다
2016.11.13
뇌 영역인 ‘체지각 대뇌피질(somatosensory cortex)’이 활성화되는 것을 확인했다. 연구
팀
이 이 사실을 이용해 반대로 전류를 체지각 대뇌피질에 흘려 넣었다. 그러자 쥐는 등과 배를 간지럽혔을 때와 똑같은 반응을 보였다. 마이클 교수는 “간지럼은 뇌가 즐겁게 장난을 치거나 다른 이와 교감하기 ... ...
원전-터널 균열 부위가 저절로 메워진다면
2016.11.11
반응해 균열을 복구한다. 연구진은 이 기술로 ‘유럽 발명가 대회’ 2015년 최종 우승후보
팀
에 들기도 했다. 정찬문 연세대 화학 및 의화학과 교수는 “가격이 비싸 상용화가 어렵지만 사회적 합의가 된다면 가능할 것”이라며 “원자력발전소나 터널 등 안전을 중시해야 하는 건축물을 만들 때 ... ...
잠 못자면 암 발병률 높아지는 원인 밝혀졌다
2016.11.10
생체시계가 혼란을 일으키면 당뇨, 암, 심장병 등에 걸릴 확률이 높아진다. 김 교수
팀
은 선행 연구를 통해 암 억제 유전자인 ‘p53’의 양이 항상 일정하지 않고 24시간 주기로 변화한다는 것을 밝혀냈다. 그러나 그 원리는 명확히 밝혀지지 않았었다. 연구진이 계산에 활용한 수학 모델의 일부. - ... ...
세계적인 명문대 학생이 직접 출제한 수학 문제, 함께 풀어요!
수학동아
l
2016.11.10
온라인상에서 아이디어를 주고 받으며 해결하는 것입니다. 2009년 필즈상 수상자인
팀
가워스 주도로 시작된 이 프로젝트는 크게 성공을 거둬 지금도 많은 수학자가 온라인상에서 함께 문제를 풀고 있습니다. 올해 3월부터는 미국 메사추세츠공대에서 수학 분야 최우수 고등학생과 대학생으로 ... ...
자기장 마음대로 조절하는 방법 찾아냈다
2016.11.09
10㎝ 떨어진 지점에서 하나의 전류원 보다 4배 밀집한 자장을 얻는 데 성공했다. 연구
팀
은 전류원의 개수를 늘릴수록 더 높은 집속 해상도를 얻을 수 있으며, 전류원 값을 적절히 바꿔주면 집속되는 자장의 방향과 위치를 임의로 바꿀 수 있다는 사실도 밝혀냈다. 임 교수는 “이번 연구에서 얻은 ... ...
이전
337
338
339
340
341
342
343
344
345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