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등"(으)로 총 21,711건 검색되었습니다.
- [도전! 섭섭박사 실험실] 따뜻한 불빛이 반짝 반짝! 양초로 집 꾸미기어린이과학동아 l2020년 16호
- 그래서 열기구가 하늘로 뜨는 거예요. 열로 가벼운 공기를 만드는 대신, 풍선을 헬륨 등의 가벼운 기체로 채워 띄울 수도 있어요. 거대한 헬륨 풍선인 셈이죠. 구글의 모회사인 ‘알파벳’이 시작한 ‘룬 프로젝트’는 기구에 통신 기기를 실어 무선 인터넷을 공급할 계획을 세우고 있답니다. ... ...
- [특집] 지구를 덮은 생물막 정체가 뭐야?어린이과학동아 l2020년 16호
- ▲ PDF에서 고화질로 확인할 수 있습니다. 용어정리*원생생물 : 아메바, 짚신벌레 등 진핵생물에 속하는 단세포 생물.*고균 : 고세균이라고도 한다. 생물은 크게 진핵생물, 원핵생물(세균), 고균의 세 부류로 나뉘는데, 고균은 극한 환경에서 자주 발견된다 ... ...
- [특집] 세상 끈질긴 생물막, 극한 환경에서도 살아남는다!어린이과학동아 l2020년 16호
- 묻어온 미생물이 자라 생물막을 만든 거예요. 이 생물막은 우주복이나 배관의 밸브 등에서 발견되었어요. 심지어 지상의 생물막보다 더 두껍게 자란다는 사실도 알려졌지요.이렇게 우주인의 생존에 필수적인 장비에 생물막이 생기면 심각한 일이 벌어질 수 있어요. 그래서 작년 하반기, ... ...
- [기획] 대벌레! 왜 이렇게 많은 거야?어린이과학동아 l2020년 16호
- 대벌레가 대발생한 고양시 성라산에서 가깝고, 자연자원이 잘 보존된 북한산과 서오릉 등이 인접해 떼로 나타난 것일 수 있다”고 설명했답니다. 용어정리* 평년기온 : 일기 예보가 나가는 시점으로부터 측정하는 지난 30년간의 평균기온 ... ...
- [출동!기자단] 사탕 뺏기 게임의 승자는 누구? 달려라, 지니봇!어린이과학동아 l2020년 16호
- 불러요. 지니봇으로 코딩카드를 찍으면 앞으로 가기, 음계 ‘도’를 연주하기 등 명령을 할 수 있지요. 이외에 코딩 프로그램이나 지니봇 전용 스마트폰 애플리케이션(앱)으로도 코딩을 할 수 있어요.”독자 기자들이 지니봇 뒷면에 있는 전원 스위치를 누르자 “안녕, 나는 지니봇이야”라는 소리가 ... ...
- [이달의 과학사] 8월 20일이 ‘세계 모기의 날’인 이유?어린이과학동아 l2020년 16호
- 치명적인 질병을 옮기기 때문이에요. 모기는 피를 빨면서 일본뇌염, 황열, 뎅기열 등 다양한 병을 옮겨요. 그중에서도 가장 심각한 병은 바로 ‘말라리아’예요. 말라리아에 걸리면 심한 발열과 오한이 2~3일 주기로 찾아오다 합병증이 발생하면 목숨을 잃을 수도 있죠. 2018년 한 해에만 2억 2800만 명이 ... ...
- [한 장의 과학] 실수로 탄생했다?! 이종교배어린이과학동아 l2020년 16호
- 사이에서 태어났다. 맨위 사진 속 생물의 생김새를 관찰해 보세요. 뾰족한 주둥이와 등에 난 돌기가 아래 사진의 두 생물을 반씩 섞은 것 마냥 닮았죠?! ‘스터들피시’란 이름의 이 생물은 실제로 러시아 철갑상어(아래 왼쪽)와 미국 주걱철갑상어(아래 오른쪽) 사이에서 태어났어요. 호랑이와 ... ...
- [출동!기자단] 쌀알이 살아있네~ 햇반의 비밀을 찾아라!어린이과학동아 l2020년 16호
- 쌀은 참 착한 탄수화물이에요. 동시에 몸속에 잘 흡수되는 고급 단백질이고, 비타민 등을 함유한 훌륭한 식품이지요. 그래서 어린이 친구들이 살아가는 데 필요한 에너지를 공급해주고, 뇌 활동을 활발하게 도와줄 수 있어요. 밥을 먹고 소화하면서 생기는 포도당은 어린이의 체력과 집중력을 높일 ... ...
- [통합과학 교과서] 독약의 정체를 밝혀라!어린이과학동아 l2020년 16호
- 결정을 이루고 있었던 거죠. 또한, 다양한 장비를 이용해 마그네슘, 나트륨, 불소, 탄산염 등의 미세한 구성 성분을 파악하는 데에도 성공했답니다. 특히 결정 중심 부분에 많은 마그네슘을 발견했어요. 연구팀은 마그네슘이 결정을 뒤틀리게 하는 힘을 만드는 것으로 추정했어요. 이어 법랑질을 ... ...
- [시사과학] 얼굴만 보고 범죄자를 찾는다고? 과학자들, 얼굴인식 기술을 반대하다!어린이과학동아 l2020년 16호
- 따라 문제가 생길 수 있어요. 얼굴인식 기술은 얼굴을 촬영하여 눈, 코, 턱, 광대뼈 등 얼굴 부위의 상대적 위치를 파악한 후, 기존에 학습한 얼굴 데이터와 비교하여 누구인지 알아내요. 즉, 수집한 얼굴 데이터가 많을수록 얼굴을 더 잘 인식할 수 있어요.이때, 인종에 따라 학습한 얼굴 데이터의 ... ...
이전334335336337338339340341342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