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등"(으)로 총 21,711건 검색되었습니다.
- [현장취재] 박쥐 탐사대, 도시 박쥐를 찾아라!어린이과학동아 l2020년 14호
- 들어 봤어요. Q 어떻게 박쥐 연구를 시작하게 되었나요?저는 원래 보노보와 긴팔원숭이 등 영장류 연구를 했습니다. 아프리카 콩고와 일본에서 공부하며 박사학위까지 땄지요. 그러다 2017년 국립생태원에 온 뒤, 김선숙 박사님을 만나게 되었지요. 김선숙 박사님은 국내에서 거의 유일하게 박쥐 ... ...
- [한 장의 과학] 우리가 엑스선을 볼 수 있다면 우주의 모습은 어땠을까어린이과학동아 l2020년 14호
- 내뿜어요. 이외에도 별이 죽거나 태어날 때 관찰되는 백색왜성, 중성자별, 초신성 잔해 등이 지도에 드러났어요. 연구팀은 앞으로 3년 반 동안 엑스선 지도를 7개 더 제작하고 이를 모두 합쳐 지금은 발견하지 못한 더 어두운 엑스선 천체도 찾아낼 예정이에요. 이를 통해 은하들의 위치와 우주 팽창의 ... ...
- [스미스의 탐구생활] 도체와 부도체 구별 방법은?어린이과학동아 l2020년 14호
- 감자로 연결! ‘연주하는 회로’‘연주하는 회로’는 연필과 알루미늄 포일, 감자 등 쉽게 구할 수 있는 물체로 음악을 연주할 수 있는 키트예요. 연필로 노래를 연주해 볼까요? 우선 노란색 피아노 보드에 그려진 구불구불한 흰 선을 연필로 칠하고, 주황색 피아노 모듈에 건전지를 넣어요. 피아노 ... ...
- [과학마녀 일리의 과학용어 따라잡기] 깃털, 원기어린이과학동아 l2020년 14호
- 깃털(feather) 깃털은 새의 몸 표면을 덮고 있는 털이에요. 파충류의 비늘이나 포유류의 털처럼 겉 피부가 변형된 기관인데, 중심에서 뻗은 깃이 있다는 차이가 ... 지금은 미터와 킬로그램의 정의가 원기에서 자연 현상으로 바뀌었지만, 원기는 여전히 실험 측정 등에 쓰이고 있답니다 ... ...
- [Dr. 소의 과학 영상 읽어줌] 어벤져스 : 엔드게임 속 CG의 비밀어린이과학동아 l2020년 14호
- ’ 같은 궁금증들 말이에요. 45m 높이에서 저도끼를 향해 소파, 볼링공, 거대 나무토막 등을 떨어뜨리는데…, 생각보다 엄청난 일이 벌어집니다! 가끔 마술 영상들을 찾아보곤 하는데, 공중부양 마술을볼 때마다 진짜 뜨는 게 아닌 걸 알면서도 늘 신기하다고 생각해요. 사람이 공중에 붕 뜨는 ... ...
- [과학뉴스] 50원 동전만 한 바퀴벌레 로봇 등장!어린이과학동아 l2020년 13호
- 주니어가 재난 수색, 구조 현장에서 의약품을 전달하거나 주변을 환경을 감시하는 일 등에 활용될 수 있을 것으로 기대하고 있어요. 향후엔 로봇의 몸집을 1cm3 정육면체 크기로 더 줄이는 것도 목표하고 있답니다. 용어정리* 압전효과 : 전기를 가해주면 기계적 변형이 일어나거나 반대로 압력을 ... ...
- [기획] 자연의 소리가 바뀌고 있다!어린이과학동아 l2020년 13호
- 시골이나 산에 가면 새가 지저귀는 소리, 동물들의 발소리, 시원하게 흐르는 시냇물 소리 등 다양한 자연의 소리를 들을 수 있어요. 그런데 2019년 1월, 생물음향학자 버니 크라우스 박사가 이끈 연구팀은 지난 15년간 자연의 소리 크기가 절반으로 줄었다는 연구 결과를 발표했어요.연구진은 200 ... ...
- [JOB터뷰] 따뜻한 사회역학자, 김승섭 교수어린이과학동아 l2020년 13호
- 치료보다는 예방에 더 관심을 많이 갖기 때문입니다. 데이터를 근거로 하므로 통계 등 수학 능력은 기본이고요, 사회학을 전공한 학생들도 있지요. 무엇보다 연구 가설을 세우려면 다른 사람의 삶을 이해하고 싶은 마음, 질문할 줄 아는 따뜻한 마음이 중요합니다. Q 사회역학에서 질병은 ... ...
- [통합과학 교과서] 웅녀, 사기꾼이 되다?!어린이과학동아 l2020년 13호
- ” # 통합과학 개념 이해하기DNA는 우리 몸을 어떻게 만들까? 키, 체질 등 부모의 특징이 자식에게 전해지는 현상을 ‘유전’이라고 해요. 또 유전 정보를 담은 가장 작은 단위의 물질을 ‘유전자’라고 하지요. 부모는 자손에게 유전자를 물려주며 자신의 특징을 전해줘요. 사람의 ... ...
- [특집] 해커의 침입을 막아라!어린이과학동아 l2020년 13호
- 인공지능은 데이터를 한꺼번에 많이 보내거나 여러 기기를 동시에 공격하는 등 이상환 활동을 해커의 활동으로 파악해 집중적으로 감시하고 있답니다. KISTI는 국가기관의 정보뿐 아니라 홈페이지 이용자들의 정보를 지키기 위해서도 노력하고 있어요. 기관의 홈페이지를 10분마다 한 번씩 점검해 ... ...
이전338339340341342343344345346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