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모든"(으)로 총 10,964건 검색되었습니다.
- [Life & Tech] 바이오 기업 ‘테라노스’ 논란과학동아 l2015년 12호
- 꺼리던 이들도 쉽게 자신의 건강상태를 파악할 수 있게 됐다. 홈즈는 테드 강연에서 “모든 사람은 자신의 건강 상태를 원할때마다 확인할 권리가 있다”고 말했다.WSJ “테라노스가 검사할 수 있는 것은 15개 내외”하지만 테라노스와 홈즈에 의문을 제기하는 이들도 적지 않았다. 테라노스는 보안을 ... ...
- [Editor’s note] 끝과 시작과학동아 l2015년 12호
- 향할 수 없었을 것이다. 그래서 굳이, 우주적 완성을 의미하는 괘 다음에 다시 모든 게 어긋난 상태를 두는 것일 테다.이번 호를 받은 독자는 제호 아래에 숨은 숫자를 한번 봐주시길 부탁드린다. 360. 한 해에 12번 나오는 잡지가 360호를 맞았다. 만 서른 살이 됐다는 뜻이다. 청년기를 끝내는 시점이며, ... ...
- [Knowledge] 땅에 적응한 하늘의 파충류, 익룡과학동아 l2015년 12호
- 없다. 그래서 학자들은 이 둘을 서로 다른 동물로 분류한다.익룡 화석은 남극을 제외한 모든 대륙에서 발견된다. 하지만 최초로 익룡 화석이 발견된 것은 18세기 중반, 독일에서다. 독일 남부의 졸른호펜 지방에는 석회암층이 넓게 분포해 있다. 이곳의 석회암은 우리나라의 강원도에서 볼 수 있는 ... ...
- 자세히 보면 더 예쁘다! 아주 작은 동물들어린이과학동아 l2015년 12호
- 생명도 소중히 여기고 사랑하는 마음을 갖길 바라는 마음에서지요. 사진을 찍은 뒤에는 모든 생물을 자연으로 다시 돌려보낸답니다.자연을 사랑하는 마음을 담아 사진을 찍기 때문에 이렇게 아름다운 사진들이 탄생할 수 있었겠죠? 나다브 바김 작가의 사진을 더 보고 싶은 친구들은 홈페이지(www ... ...
- 평생 달력 하나로 살 수 있을까?수학동아 l2015년 12호
- 딴 ‘행크-헨리 영구 달력(이하 HHPC)’을 개발했다. 이 달력은 날짜와 요일을 고정했으며, 모든 일주일이 7일이 되도록 해 세계력의 단점을 보완했다. 또, 그레고리력과 비교해 크게 다르지 않아 실용성이 높다.HHPC도 일 년 열두 달을 3개월씩 4계로 나눴다. 계의 시작 달인 1월, 4월, 7월, 10월은 모두 ... ...
- 불심에 담긴 수학을 찾아 황금의 땅 미얀마로수학동아 l2015년 12호
- 만든 사람이 이런 원리를 이용해 위치를 정했는지는 알 수 없었지만 물웅덩이 하나로 모든 이의 머리를 숙이게 만든 지혜로움이 참으로 멋있었습니다.짜잇티요 불탑의 신비여행의 마지막 일정은 ‘골든락(황금 바위)’이라는 이름으로 더 잘 알려진 짜잇티요 불탑입니다. 바간에서 10시간 버스를 ... ...
- Part3. 미래엔 소프트웨어가 사라질까과학동아 l2015년 12호
- 같이 정해져 있다. 이 비행편을 이용해 애틀랜타에서 디트로이트로 가려고 한다. 모든 도시를 한 번씩만 경유해서 가는 경로(해밀턴 경로)가 존재할 수 있을까(애틀랜타는 A, 보스턴은 B, 시카고는 C, 디트로이트는 D로 표기한다).➏A에서 출발하지 않은 가닥(ㄷ),(ㄹ)을 제거한다.➐전체도시를 한 번씩 ... ...
- 예술가가 우주를 보는 방법과학동아 l2015년 12호
- 작가는 과학에 관심이 많았다. 시리즈의 제목조차 ‘Demonstration(설명, 입증, 실증)’이다. 모든 작품의 제목은 군더더기 없이 솔직하고 직관적이며, 투박하다(훗날 이어진 시리즈에도 이런 스타일이 그대로 이어진다). 절제된 이미지 속에서 보이지 않는 힘에 대한 경외심이 느껴진다.가장 아름다운 ... ...
- [Life & Tech] 4가 백신, 맞을까 말까?과학동아 l2015년 12호
- 논란이 나왔다.만약 이렇게 WHO의 예측이 빗나가면, 4가 백신도 제 위력을 발휘할 수 없다. 모든 독감 바이러스에 공통으로 있는 항원을 공격하는 ‘만능 백신’ 연구도 활발하지만, 아직 상용화된 건 없다.그럼 방법이 없는 걸까. 근본적인 해결책은 그 해에 유행할 바이러스를 더 정확하게 예측하는 ... ...
- 생물 피해로부터 천 년 문화재 지키기과학동아 l2015년 12호
- 함께하고 있습니다. 특히 ‘보람이’라는 이름을 지닌 탐지견은 조사 초창기부터 거의 모든 조사를 함께 해 온 베테랑입니다.탐지견은 주로 건물의 아랫부분에 있는 흰개미 피해를 조사합니다. 조사원은 문화재의 위치를 GPS로 확인해 기록하고, 피해가 발생한 부재의 온도와 습도, 함수율을 ... ...
이전334335336337338339340341342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