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모든"(으)로 총 10,964건 검색되었습니다.
- [Life & Tech] 우리는 왜 ‘언프리티랩스타’에 열광하는가과학동아 l2015년 10호
- 말한다. 우리 몸에는 일정한 리듬이 있다. 심장이 뛰고 숨을 쉬며, 일132정하게 걷는 모든 동작이 고유한 박자를 가진다. 이를 타임키퍼(time keeper)라 하는데, 사람마다 조금씩 다르다. 몸 밖의 또 다른 리듬을 만나면 타임키퍼는 외부의 리듬을 따라가게 된다. 규칙적인 박자 소리를 내는 도구인 ... ...
- [Hot Issue] 막 먹은 영혜씨, 8주간 유전자 다이어트를 체험하다!과학동아 l2015년 10호
- 근력운동을 했을 때 효과가 높다. 아프리카계 운동선수들 가운데 이 비율이 높다.이런 모든 조건에 맞춰 유전자 다이어트를 수행하는 데는 꼬박 2달이 걸렸다. 9월 2일까지 기자는 매일 식사 중 한 끼를 열량이 300kcal 정도인 단백질 위주의 식사를 했다. 또 일주일에 3회 이상 40분씩 수영 등 유산소 ... ...
- 카레이서 ‘ 차타니 막달리나’어린이과학동아 l2015년 10호
- 숫자가 지워져 있군요. 여기서 문제! 저 자동차의 차 번호는 무엇일까요?”미션2 모든 점을 지나라!경주용 차를 간신히 골라 타고 경기장으로 들어선 썰렁홈즈. 신나게 달려 볼까 생각하던 그때! 드넓은 경기장에 트랙 대신 검은 점 16개가 찍혀 있는 게 아닌가! 당황한 썰렁홈즈의 귀에 차타니 ... ...
- 호모 에렉투스, 요리의 비밀을 찾아라!어린이과학동아 l2015년 10호
- ”모던니스트 퀴진은 왜 이런 요리에 도전하는 걸까요?“요리는 예술이자 과학이에요. 모든 예술이 그렇듯이 재료와 기술에 대해 잘 알아야 멋진 작품을 만들 수 있지요. 또한 과학은 훌륭한 요리를 만들도록 영감을 불어넣어 줘요. 모더니스트 퀴진의 요리팀과 과학자들은 요리의 질을 높이고 ... ...
- [지식] 헤이그 특사 이상설수학동아 l2015년 10호
- 수학과 과학을 필수과목으로 포함시켰다. 이것은 수학교육을 전문가에게만이 아니라 모든 국민을 대상으로 하게 된 역사적인 사건이었다. 이와 같이 이상설은 한국에서 최초로 교과과정에 대중을 위한 근대 수학을 도입하고, 최초로 수학교재를 쓰고, 또 본인이 직접 수학을 가르쳤다. 이상설을 ... ...
- [생활 SW가 펼치는 상상의 세계➑] 세상을 바꾸는 프로그래밍, 해카톤수학동아 l2015년 10호
- 문제를 해결해서 사람들이 즐겨찾는 앱을 계속 만드는 것이다. 김 대표는 “이제는 모든 문제를 해결하는데 SW가 쓰이면서 기존에는 알 수 없었던 것을 측정하고 분석, 제어할 수 있게 됐다”며, “다양한 경험을 하면서 넓은 시야를 가지면 다른 영역에서 적합한 아이디어를 찾아 적용할 수도 있고, ... ...
- Intro. 화장실로 간 수학자수학동아 l2015년 10호
- 내가 가장 좋아하는 공간은 바로 화장실이다. 두루마리 휴지부터 바닥에 깔린 타일까지, 모든 것이 풍부한영감을 주는 곳이다. 믿기 어렵겠지만 나는 화장실에서 수학을 연구하는 수학자다.▼관련기사를 계속 보시려면?Intro. 화장실로 간 수학자Part 1. 뫼비우스의 띠가 남긴 숙제Part 2. 물거품은 ... ...
- Part 1. 뫼비우스의 띠가 남긴 숙제수학동아 l2015년 10호
- 9세기 독일의 수학자 아우구스트 페르디난트 뫼비우스는 손가락으로 면을 따라 훑으면 모든 면을 거치게 되는 띠를 발견했다. 그의 이름을 딴 ‘뫼비우스의 띠’는 바깥쪽 면과 안쪽 면이 구분되지 않는다. 독특한 성질에 비해 만드는 방법은 간단하다. 길고 네모난 띠를 한 번 꼰 다음 양 끝을 ... ...
- [흔들리는 인류기원] Part2. 콜럼버스가 신대륙에서 만난 원주민의 기원은?과학동아 l2015년 10호
- 모든 인류는 약 15만 년 전에 아프리카의 한 여성에서 태어났다. 어머니로부터 유전되는 미토콘드리아의 DNA를 분석한 결과다. 아프리카에서 태어난 인류는 10만 년 전에 중동에, 7만 년 전에 서아시아에 진출했다. 6만 년 전에는 오세아니아, 4만 년 전에는 유럽에도 현생인류가 살게 됐다. 이동 시기와 ... ...
- [Hot Issue] 화성에 WI-FI만 터졌더라면…과학동아 l2015년 10호
- 노드가 전달자 역할을 하지, 보관자 역할을 하지는 않는다. 시작점부터 도착점까지 모든 노드가 동시에 연결돼 있어야 정보가 무사히 전달된다. 우주에선 매우 어려운 일이다. 지연허용망은 그럴 필요가 없다. 노드 역할을 하는 위성에 정보가 도착하면 그때마다 ‘일시멈춤’하고 대용량 메모리에 ... ...
이전338339340341342343344345346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