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모든"(으)로 총 10,964건 검색되었습니다.
- 꿀벌이 새 집을 찾는 방법어린이과학동아 l2015년 10호
- 일이지요. 여왕 페로몬은 여왕벌의 시중을 드는 일벌들에게 전해지고 점차 벌집 내의 모든 일벌들에게 전달돼요. 여왕 페로몬은 일벌들의 난소가 발달하는 것을 막고, 새 여왕벌을 준비하는 것도 막지요. 그래서 여왕 페로몬이 꿀벌 무리 내에 충분히 존재하면 일벌들은 묵묵히 주어진 일을 ... ...
- [스마트하게 날아오르다 DRONE] PART1 수학으로 깨어난 드론의 운동신경수학동아 l2015년 10호
- 돌리면 왼쪽으로 기울며 날아가고, 반대로 왼쪽을 빠르게 돌리면 오른쪽으로 갑니다. 모든 프로펠러를 같은 속도로 돌린다면 공중에 떠 있을 것이고, 중력을 이길 정도로 더 빠르게 돌리면 위로 올라가겠죠.만약 프로펠러 4개 중 하나가 부러지거나 고장이 난다면 드론은 어떻게 될까요? 프로펠러 ... ...
- 화성에서 살아남아라, 반드시수학동아 l2015년 10호
- 데 꼭 필요한 박테리아가 없다. 그래서 와트니는 남은 음식 찌꺼기는 물론 몸에서 나오는 모든 물질(대원들이 남기고 간 똥 봉지까지)을 한데 모았다. 그리고 이렇게 모은 거름과 물을 막사 바깥에서 들여온 화성의 흙에 섞어 양질의 흙을 만들기로 했다. 거주용 막사는 일종의 밭으로 변했다. 막사의 ... ...
- Part 3. 벽과 바닥에 숨은 난제수학동아 l2015년 10호
- 날개를 닮은 오각형으로 바꿀 수 있다. 하지만 열네 번째 오각형처럼 모든 각의 크기와 모든 변의 비율이 정해져 있는 경우도 있다. 오각형의 모양이 딱 한 가지이므로 이 도형을 써서 평면을 채우는 방법도 한 가지밖에 없다.1985년 이후 평면을 채우는 새 볼록 오각형을 찾기까지 오랜 시간이 걸렸다. ... ...
- 오감만족 수학 놀이터 군포수학체험관에 가다수학동아 l2015년 10호
- 중 하나. 정삼각형 8개와 정사각형 18개로 만든다.)에 끼워서 678클라인병을 완성했다. 모든 체험에 유쾌하게 참여한 김주경 독자기자는 “수학동아 독자탐방에 많이 참여하지 못해 아쉬웠는데, 유익한 시간을 보내 기쁘다”고 소감을 밝혔다. 과일과 곡식이 영그는 가을, 오감이 즐거운 수학 ... ...
- PART2. 파브르가 사랑한 곤충, 그리고 우리 곤충과학동아 l2015년 10호
- 인기를 끌면서 송장벌레가 시체를 파묻는다고 알려졌지만, 사실 송장벌레과의 모든 곤충이 시체를 매장하는 건 아니다. 곤봉송장벌레류에 속하는 일부 송장벌레만 직접 시체를 파묻는 특기를 가졌다. 대부분의 다른 송장벌레들은 시체나 배설물에 모여들 뿐 시체를 파묻는 특기는 없다.송장벌레는 ... ...
- [Hot Issue] 남의 고통은 나의 행복?과학동아 l2015년 10호
- 자신을 주인공으로 생각하도록 했다. 주인공은 능력이나 경제력, 사회적 지위 등 모든 면에서 평범한 사람이다. 그를 제외한 등장인물은 세 명으로, 모두 대학 동창생이다. 연구팀은 실험 대상이 남자인 경우 남자 한 명과 여자 두 명이 등장하는 시나리오를, 여자인 경우 여자 한 명과 남자 두 명이 ... ...
- [Knoledge] 우리의 소원은 통일이론과학동아 l2015년 10호
- 않을지도 모른다. 많은 현상들은 복잡해질수록 전혀 새로운 현상으로 이어진다. 따라서 모든 것을 통합하는 이론이란 애초에 부적절한 꿈일 수도 있다. 게다가 바일과 칼루차-클라인의 사례에서 보듯, 아무리 훌륭한 이론이라고 해도 예측된 현상이 실험과 관측을 통해 확인되지 않는다면 그저 ... ...
- PART2. 탐사선, 위대한 여정의 시작과학동아 l2015년 09호
- 1만2500km였다. 뉴호라이즌 호는 2016년 1월까지 명왕성 탐사를 종료하고 2016년 11월까지 모든 자료를 전송할 예정이다. 만일 동력이 남아있다면 2016~2020년에는 카이퍼 벨트 천체들에 접근해 통과할 가능성이 있다.지구에서 가장 멀리 떨어진 보이저 1, 2호보이저 1호는 1977년 9월 발사됐으며, 1979년 3월 ... ...
- Part 2. 현대수학은 ‘편미방’을 모른다?과학동아 l2015년 09호
- 그러니 누가 알겠는가. 곧 획기적인 해결법이 등장해 토네이도의 이동 경로는 물론, 세상 모든 변화하는 것들을 속속들이 예측할 수 있게 될지. 편미분방정식의 앞으로 100년이 기대되는 이유다. ▼관련기사를 계속 보시려면?Intro. 일상을 지배하는 미적분의 재발견Part 1. 의심스러운 토대 위에 ... ...
이전340341342343344345346347348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