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성분
실재물
재료
물질문화
문화
방사성물질
방사성
d라이브러리
"
물질
"(으)로 총 8,140건 검색되었습니다.
세상이 깜짝! 별별 동물쇼
어린이과학동아
l
2011년 11호
심장병 치료용 약으로 연구 중이지요. 또한 자외선을 쪼이면 볼 수 있는 파란색 형광
물질
도 백내장 치료용으로 연구 중이에요.요상한 외모에 깜짝!마치 공상과학 영화의 주인공처럼 생긴 외모로 시선을 끈 동물들도 있어요. 희귀동물이지만 웬지 낯설지 않은 동물들을 소개할게요! 우리 닮았나요? ... ...
특명! 이산화탄소를 잡아라
어린이과학동아
l
2011년 11호
컬럼비아대학교 지구물리학자 클라우스 랙크너 교수는 이산화탄소를 흡수하는 화학
물질
을 넣은 인공나무를 연구하고 있어요. 이 인공나무는 자연의 나무보다 이산화탄소를 1000배나 더 흡수할 수 있다고 해요. 재밌는 사실은 이 아이디어를 랙크너 교수의 딸이 생각해 냈다는 거예요. 8학년인 딸이 ... ...
Intro. 2011 노벨상 세상의 이치를 구하다
과학동아
l
2011년 11호
것이다. 물리학상은 우리가 잘못 생각하고 있던 우주의 변화를, 화학상은 세상을 이루는
물질
의 몰랐던 모습을, 생리의학상은 우리 몸이 스스로 보호하는 원리를 보여줬다. 과학계에서 가장 영예로운 노벨상이 이번에는 자연의 원리를 탐구한다는 과학의 가장 기초적인 임무를 선택한 것이다 ... ...
Part 1. 노벨 물리학상 - 우주는 점점 빨리 팽창한다
과학동아
l
2011년 11호
중력을 연구하고 있던 바로 그 순간, 눈에 보이지 않는 다른 4개의 암흑사과(암흑
물질
)가 함께 떨어지고 있었고, 눈에 보이지도 않을 뿐만 아니라 아예 중력의 법칙도 따르지 않는 15개의 암흑사과(암흑에너지)도 함께 있었던 것이다. 2011년 노벨물리학상은 우리가 아는 것은 20개의 사과 중 눈에 ... ...
암세포만 찔러 죽이는 바이러스 항암제
과학동아
l
2011년 11호
붙였다. 여기에 ‘GM-CSF’를 만드는 유전자도 추가했다. GM-CSF는 면역작용을 유도하는
물질
이다. JX-594는 면역세포와 협공해 암을 직접 죽이고 암에 영양분을 공급하는 혈관을 파괴했다.간암 대장암에 효과환자를 대상으로 하는 임상시험 전에 우리는 동물 모델을 이용해 JX-594의 효과를 검증했다. 그 ... ...
[과학뉴스] 결핵균 숨겨 주는 투명망토
과학동아
l
2011년 11호
주사했더니 결핵균에서 분리한리포만난을 맞은 쥐에서는 면역세포를 불러오는 신호전달
물질
인 ‘TNF’가 더 적게 만들어졌다. 이 리포만난이 TNF의 생산을 조절하는 마이크로 RNA에 작용해 TNF 생산을 방해한다는 사실도 추가로 밝혔다. 슐레진저 교수는 “수세기동안 결핵균은 사람을 숙주로 삼는 데 ... ...
유산균 5형제, 면역세포 길들이다
과학동아
l
2011년 11호
조절할 수 있다면 이런 병을 한 번에 치료할 수 있을 것이다. 따라서 과학자들은 어떤
물질
이 어떻게 면역세포의 활성을 조절하는지를 연구하고 있다. 임 교수가 이끄는 ‘면역조절 연구실’도 그 중 하나다. [면역세포의 활성을 관찰하기 위해서는 우선 세포를 배양해야 한다.] [➊ 한 연구원이 ... ...
빙산은 남극 바다의 영양제
어린이과학동아
l
2011년 11호
따라 흘러온
물질
은 바다 생물에게 영양분을 공급해요. 그런데 남극 대륙에서는 빙산이 그 역할을 한다는 사실이 최근 밝혀졌어요.미국 몬터레이만수족관연구소에서는 남극 *빙붕에서 떨어져 나온 빙산의 90%가 모이는 지역을 조사했어요. 그 결과, 빙산이 녹으면서 해양 식물에게 서서히 철분을 ... ...
PART 4. SF꽁트 - 전송오류
과학동아
l
2011년 11호
생각에 잠겼다.“잠깐만, 내가 이쪽 전문은 아니지만, 불가능해. 광속을 넘어설 수 있는
물질
은 없어. 빛이 광속으로 이동하는 것은 질량이 0이기 때문이지. 질량이 아무리 작아도 광속에 이르게 하는 데만도 무한한 에너지가 들어. 질량이 0인 것조차 빛 밖에 없어. 빛의 속도를 넘어서려면 ... ...
때리거나 쓸어담거나
과학동아
l
2011년 11호
하루 중 밤이 좋지만 계절적으로는 봄이 좋다. 봄은 식물이 아직 화학적으로 곤충 저항성
물질
을 만들어 내지 않아서 애벌레들이 먹기에 좋다. 잎도 두텁지 않고 가시로 완전히 무장하지 않은 새로운 순도 애벌레에게는 최고의 식사감이다. 우리나라뿐 아니라 세계적인 멸종위기종인 붉은점모시나비 ... ...
이전
334
335
336
337
338
339
340
341
342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