뉴스
"컴퓨터"(으)로 총 4,410건 검색되었습니다.
- 전투는 다 이겼는데 전쟁을 졌다: 경험의 파편 vs 총체적 경험 2016.07.06
- 필립스 디자인(Philips Design)의 UX 디자인 컨설턴트로도 근무하였다. 학부 및 대학원에서 컴퓨터 공학과 HCI (Human Computer Interaction)를 전공하였으며 현업 시절 UX 경영 공부를 목적으로 MBA 과정을 밟았다. ※편집자주: 새로운 시대가 열리면서 주변에서 디자인에 대한 이야기를 많이 듣습니다. ... ...
- [사이언스 바캉스 2016] 첫 번째 준비물 ‘인공지능’과학동아 l2016.07.06
- 번의 암흑기와 세번째 봄 ☞ 의도는 없다, 그러나 인간을 위협한다 ☞ 예술가를 사랑한 컴퓨터 ☞ 과학자들이 본 알파고의 비장의 무기① ☞ 과학자들이 본 알파고의 비장의 무기② ☞ 왓슨과 딥블루는 어떻게 챔피언을 무너뜨렸나 ☞ 알파고가 우리에게 남긴 것들 2. 인공지능의 언어 ... ...
- 중학 수학만 잘했어도! 물거품이 된 마이크로소프트 입사수학동아 l2016.07.06
- 마이크로소프트 면접 문제 하나가 올라왔습니다. 글을 쓴 인도 와갈라 기술연구소 컴퓨터학과 프래샨트 바그디아는 친구가 이 문제를 풀지 못해 애를 먹었다고 소개했습니다. 지난 5월 미국 질의응답사이트인 쿠오라에는 마이크로소프트 면접 문제가 올라왔다. 중학교 수학 문제였지만, 면접자는 ... ...
- “목성에 오신 걸 환영합니다”2016.07.06
- 데 48분가량 걸린다. 이 때문에 주노는 목성 궤도에 진입할 때 NASA와의 통신 없이 내장 컴퓨터의 인공지능 기능으로 궤도 진입을 시도했다. 주노는 2003년 퇴역한 목성탐사선 ‘갈릴레오’ 이후 두 번째로 목성 궤도에 진입하는 탐사선이다. 주노는 갈릴레오보다 시야각이 훨씬 넓고 해상도가 높은 ... ...
- 화성의 두 위성 ‘포보스’와 ‘데이모스’, 어떻게 생겨났나 2016.07.05
- 거대 충돌로 생긴 파편 띠에서 위성이 생성됐다는 가설에 초점을 맞춰 이 조건으로 컴퓨터 시뮬레이션을 진행했다. 화성의 3분의 1 크기인 소행성을 충돌시킨 후 1시간이 지나자 화성 주위에 고리 모양의 파편 띠가 형성됐으며, 큰 암석들도 고리 안쪽에서 생성됐다. 이 암석들은 결국 바깥쪽으로 ... ...
- 중저가 UHD TV에 눈이 가는 이유동아사이언스 l2016.07.04
- 작은 화면을 보고 있자면 눈과 목에 금방 무리가 간다. 안그래도 회사에서 하루종일 컴퓨터만 보고 있는데 거북목과 척추측만증으로 병원에 다니게 될까봐 가끔은 덜컥 겁이 난다. 버스나 지하철에서는 어쩔 수 없이 스마트폰으로 봐야하지만, 집에서는 큰 화면으로 ‘또 오해영’을 보고 ... ...
- [캐릭터 만드는 비법 ④] 방정식이 만드는 동작수학동아 l2016.07.04
- 컴퓨터 그래픽으로 만든 캐릭터 배우는 가상의 3차원 공간에서 자유롭게 연기합니다. 대본에 있는 대로 허리 굽혀 인사도 하고 때로는 춤도 춥니다. 컵에서 찰랑대는 우유, 창문을 타고 흐르는 빗물처럼 영화에 필요한 소품과 날씨도 생생하지요. 모두 방정식 덕분이랍니다. 디즈니 위키아 제공 ... ...
- [캐릭터 만드는 비법 ③] 행렬이 조종하는 표정수학동아 l2016.07.03
- 월트디즈니 코리아 제공 컴퓨터로 만드는 디지털 캐릭터의 경우, 짓고 싶은 표정을 컴퓨터 그래픽으로 만들어야 합니다. 이때 쓰는 대표적인 방법이 ‘표정 섞기’입니다. 여러 가지 표정을 섞어 새로운 표정을 만드는 방법이지요. 한 번도 지은 적 없는 새 표정을 만들려면 우선 기준이 되는 ... ...
- 지구에서 가장 뜨거운 바다 ‘웜풀’ 꾸준히 팽창… 태풍, 집중호우 강해져2016.07.02
- 집중호우가 발생한다. 연구진은 1953~2012년 사이 웜풀이 어떤 요인에 의해 변화했는지를 컴퓨터 시뮬레이션을 통해 분석했다. 자연적 요인과 인위적 요인을 고려한 결과, 온실가스의 영향을 배제했을 때에는 웜풀에 변화가 없다는 결론을 얻었다. 온실가스가 웜풀을 거대하게 만든 주범이라는 ... ...
- [캐릭터 만드는 비법 ①] 파라메트릭 곡선으로 만드는 몸통수학동아 l2016.06.30
- 선보였습니다. 삼각형이나 사각형으로 표면을 감싼 캐릭터는 부피감이 느껴지면서도 컴퓨터가 점과 선으로 캐릭터를 인식할 수 있습니다. 이렇게 캐릭터를 나타내는 것을 ‘폴리곤 메쉬’라고 하며, 캐릭터의 몸통을 만드는 ‘모델링’ 단계에서 널리 쓰였습니다. 해즈브로 스튜디오 제공 ... ...
이전334335336337338339340341342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