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달걀
계란
난자
알맹이
난세포
알집
알찝
d라이브러리
"
알
"(으)로 총 8,223건 검색되었습니다.
국내 최강 IT기술 이제는 바다로
과학동아
l
2012년 05호
이동하기 때문에 바다 속 온도나 염도 상태를
알
면 어떤 물고기가 언제 어디에 있을지
알
수 있다. 전복이나 어패류 가두리 양식을 하는 어민에게는 재앙이라 할 수 있는 냉수괴의 접근을 예측해 피해를 예방할 수도 있다. 또 바다의 온도를 실시간으로 측정하는 기술을 이용해 기후변화를 좀 더 ... ...
'머리 큰 아기' 엄마는 괴로워
과학동아
l
2012년 05호
인류 진화 역사 중언제부터 시작됐을까요. 여자의 골반 화석과 신생아 화석을 보면
알
수 있을 것입니다. 하지만 매우 어려운 일입니다. 신생아는 거의 화석으로 남아있지 않습니다. 몇 개 안 되는 화석 인류의 골반 뼈는 대부분 남자의 골반입니다. 출산에 대한 정보를 얻기 힘들죠(‘루시’는 ... ...
Part2. 말도 안되는 배들 4S
과학동아
l
2012년 05호
5~10초 정도에 많이 분포되어 있음을 생각해 보면 그 확률은 1.59×10-10~3.17×10-9임을
알
수 있다. 다시 말하면 15~30억 번의 해양파를 겪을 때 이 중 한 차례 일어날 확률이 있는 정도의 큰 파랑에 견뎌야 하는 것이다. 이렇게 대비하는 데도 자연의 힘은 대단해 해양구조물에 치명적인 손상을 주기도 한다 ... ...
Part2. 끈이론 다중우주
과학동아
l
2012년 05호
매듭이라고 보면, 여러 개의 우주가 시간이라는 차원에 나란히 존재하고 있다는 사실을
알
수 있다. 시공간의 차원에서 보면 시간과 나머지 공간(3차원)을 구분할 이유가 없기 때문에 주기적 다중우주도 어엿한 다중우주다.사실 ‘주기적 다중우주’ 아이디어는 옛날부터 있었다. 우주가 주기적으로 ... ...
아낌없이 주는 숲 맹그로브
과학동아
l
2012년 05호
했다. 하지만 맹그로브 숲은 시나브로 사라지고 있다. 학생들과 필리핀 현지를 방문해
알
아낸 것은 맹그로브 숲의 유무에 따라 섬마을 사람들의 어획고에 큰 차이가 난다는 것이다. 바나콘 섬의 맹그로브 숲 면적은 약 450ha으로 넓은 대륙붕을 따라 길게 펼쳐져 있윤여창다. 이 곳 주민들의 어획량은 ... ...
기관총 명사수 '막쏘니 퀸'
어린이과학동아
l
2012년 05호
많은 점수를 받은 선수가 우승을 차지하게 된다.‘두두두두두두두두두두두~!’발사를
알
리는 빨간색 불이 들어오자마자 막쏘니 퀸이 사격을 시작했다. 순간 막쏘니 퀸은 예상대로 좋은 성적이 나올 것이라는 직감이 들었다. 그런데 웬일? 과녁을 확인해 보니 50발이 넘는 자국이 있었다. 도대체 누가 ... ...
뉴로피드백
과학동아
l
2012년 05호
얼굴이나 역겨운 대상과 같이 부정적인 감정 자극에 대해 민감하게 반응하는 뇌 부위로
알
려져 있다. 실험 대상에게 섬엽의 활동 정도를 막대그래프로 보여주면서 스스로 섬엽의 활동을 높이는 훈련을 계속했더니 놀랍게도 똑같은 자극에 대해서 더 부정적인 감정을 갖게 됐다. 이 기술을 이용하면 ... ...
배려의 리더십으로 대학까지
과학동아
l
2012년 05호
쓸 때 뭘 써야할지 막막할 때는 주변 사람에게 물어 보면 스스로도 몰랐던 자신의 모습을
알
수 있다. 다 쓴 다음에는 학교 선생님께 검토를 받는 것이 좋다. 어느 학교나 입학사정관은 공통적으로 ‘교사추천서’의 중요성을 강조한다. 평소에 학교생활을 열심히 하는 것은 여러모로 도움이 된다. ... ...
Part2. 장내미생물, 민감한 면역계 길들인다
과학동아
l
2012년 05호
사람에서도 면역계 과민 질환을 완화할 수 있을까.2001년 핀란드의 연구자들은
알
레르기 내력이 있는 임산부에게 유산균인 락토바실루스 제이를 섭취하게 했고 태어난 아이에게도 6개월간 먹였다. 그리고 유산균을 주지 않은 대조군과 비교한 결과 유산균을 먹은 아이들이 자라면서 아토피나 천식에 ... ...
Part1. 숨겨진 다중우주를 찾아서
과학동아
l
2012년 05호
500km 상공 등 세 곳에 볼펜(입자)이 있을 수 있고, 그 중 어디에 있는지는 관측하기 전에는
알
수 없다. 그래서 같은 볼펜이지만 관측 전에는 여러 곳에 동시에 위치한 것과 마찬가지다.이런 기묘한 성질을 설명하기 위해 물리학자들이 여러 가지 해석을 제시했다. 가장 유명한 것이 바로 세 곳에 ... ...
이전
335
336
337
338
339
340
341
342
343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