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알"(으)로 총 8,223건 검색되었습니다.
- 배려의 리더십으로 대학까지과학동아 l2012년 05호
- 쓸 때 뭘 써야할지 막막할 때는 주변 사람에게 물어 보면 스스로도 몰랐던 자신의 모습을 알 수 있다. 다 쓴 다음에는 학교 선생님께 검토를 받는 것이 좋다. 어느 학교나 입학사정관은 공통적으로 ‘교사추천서’의 중요성을 강조한다. 평소에 학교생활을 열심히 하는 것은 여러모로 도움이 된다. ... ...
- 날아라, 모스 글라이더!어린이과학동아 l2012년 05호
- 한 걸음 더 생각하기모스 글라이더를 더 멀리 날리려면?섭섭박사 : 정환아 어때? 뭔가 좀 알 것 같니?정환 : 음, 무게 조절 링 간격에 따라 날아가는 거리가 달라졌어요. 간격이 좁을 때 더 멀리 날아갔는데, 이유는 아직 잘 모르겠어요. 정환 : 섭섭박사님, 진짜 이걸 타고 여행가실 거예요?섭섭박사 : ... ...
- Part2. 말도 안되는 배들 4S과학동아 l2012년 05호
- 5~10초 정도에 많이 분포되어 있음을 생각해 보면 그 확률은 1.59×10-10~3.17×10-9임을 알 수 있다. 다시 말하면 15~30억 번의 해양파를 겪을 때 이 중 한 차례 일어날 확률이 있는 정도의 큰 파랑에 견뎌야 하는 것이다. 이렇게 대비하는 데도 자연의 힘은 대단해 해양구조물에 치명적인 손상을 주기도 한다 ... ...
- Part2. 끈이론 다중우주과학동아 l2012년 05호
- 매듭이라고 보면, 여러 개의 우주가 시간이라는 차원에 나란히 존재하고 있다는 사실을 알 수 있다. 시공간의 차원에서 보면 시간과 나머지 공간(3차원)을 구분할 이유가 없기 때문에 주기적 다중우주도 어엿한 다중우주다.사실 ‘주기적 다중우주’ 아이디어는 옛날부터 있었다. 우주가 주기적으로 ... ...
- 거대 곤충의 시대 - 공룡 피는 무슨 맛이었을까?과학동아 l2012년 05호
- 침울해졌군요. 화제를 돌려야겠습니다. 그렇다면 요즘에는 예전처럼 큰 곤충이 없을까요?알고 보면 지금도 꽤 큰 곤충이 있어서 가끔씩 사람을 놀라게 합니다. 최근 인터넷 상에서 화제가 됐던 곤충인 웨타를 기억하시나요? 웨타는 뉴질랜드에 사는 날개 없는 곤충으로 곱등이와 모습이 비슷합니다. ... ...
- Part2. 2012 세상을 바꿀 빅데이터 5과학동아 l2012년 04호
- 대상 글에서 얼마나 자주 나타나는지 수치화해 그 글이 얼마나 긍정 혹은 부정적인지 알아낸다. 최근에는 특정 주제에 특화된 단어장이나, 이모티콘 분석이 가능한 단어장도 연구되고 있다.감성 분석은 특히 트위터와 같은 SNS 데이터 분석에 유용하다. 개인은 물론 집단 단위의 분석이 가능하고, ... ...
- 자연치즈 모조치즈과학동아 l2012년 04호
- 굳어진 것을 발견한 게 치즈의 기원이라는 이야기도 유명하다. 이 이야기의 진위 여부는 알 수 없지만, 치즈의 역사가 오래된 것은 분명하다.오늘날 치즈를 만들 때는 먼저 우유를 살균한 뒤 ‘렌넷’이라는 효소와 유산균을 넣는다. 렌넷은 소나 양의 위에서 나오는 효소로 우유의 단백질을 굳게 ... ...
- Pisa Tower No More과학동아 l2012년 04호
- 유럽에 있는 오래된 모든 탑의 기울기를 측정하기 전까지는 가장 많이 기울어진 탑을 알 수 없다. 하지만 사탑들에 대한 이런 이야기들은 여행할 곳이 많아졌다는 뜻이기도 하다. 그곳에서 마치 기울어진 탑을 붙잡고 있는 것처럼 사진을 찍을 수 있다. 어떤 탑이 선정된다 할지라도 확실히 그것은 ... ...
- [교과연계수업] 달콤한 유혹, 단맛의 정체를 밝혀라!어린이과학동아 l2012년 04호
- ② 단맛을 내는 물질의 종류에 대해 알 수 있다.③ 단맛을 좋아하는 과학적인 이유를 알 수 있다.4. 교과 연계초등 5~6학년 소화5. 수업 지도 순서학생들이 각자 준비한 단맛 제품에 들어있는 당분을 확인한다 ▶ 단맛 질문지 작성을 통해 단맛 중독 정도를 확인해 본다 ▶ 단맛을 내는 여러 ... ...
- 수학으로 외계인 찾는다! MIB(Math in Black)수학동아 l2012년 04호
- 해 볼 생각이 드나? 분명 훌륭한 MIB 요원이 될 거란 생각이 드네. 자네들의 눈빛만 봐도 알 수 있지. 벌써부터 드레이크 방정식으로 외계인의 존재 가능성을 확인할 수 있고, 천문학 속 수학 기법을 이용해 외계인과 외계행성을 찾을 수 있게 됐으니 말이야. 게다가 수학으로 대화도 쉽게 나눌 수 있지 ... ...
이전336337338339340341342343344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