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원칙
법칙
규칙
초보
이론
학설
기준
d라이브러리
"
원리
"(으)로 총 5,201건 검색되었습니다.
1 사람 잡는 19단
과학동아
l
2005년 05호
옹호론자들은 19단은 외우는 것이 아니라 이해하는 것이라고 강조한다. 즉 19단이 나오는
원리
를 이해하면 수의 규칙성을 깨닫는 등 학습 효과가 높다고 말한다. 예를 들어 11단은 (10+1)단으로, 19단은 (20-1)단으로 이해하면 수학의 분배 법칙을 자연스럽게 이해할 수 있다는 것이다.그러나 홍익대 ... ...
박석재 블랙홀 박사 한국인은 우주 민족
과학동아
l
2005년 05호
한국인이 우주 민족인 근거를 대기 바빴다. 그가 제시한 것 중 하나가 태극기다. 우주의
원리
를 담은 국기가 세상에 태극기 말고 또 어디 있나, 일장기는 기껏해야 별(태양) 하나 아니냐는 것이다. 사람이름을 지을 때도 음양오행의 이치를 따지는 것이 우리나라다.박 박사는 자신과 천문학의 인연을 ... ...
보일의 공기탄성 실험
과학동아
l
2005년 05호
유명한 철학자였던 토마스 홉스는 실험과학이 자연에 쓸모없는 것은 없다는 철학의 제 1
원리
를 위배할 수 없다고 믿었기 때문에 빈 공간이라는 것은 존재할 수 없다고 주장했다. 그는 보일이 진공을 만들 때 공기를 빼내는 과정에서 미세한 공기가 그 속으로 빠르게 빨려들어간다고 설명했다. 보일이 ... ...
2 미적분 대란, 대학을 강타하다
과학동아
l
2005년 05호
바뀌면 고교 수학도 달라질 수 있다”면서도 “본질적인 문제는 학생들이 수학의
원리
와 개념을 제대로 이해하지 못하고 오직 문제 푸는 법만 배우는 것”이라고 말했다. 이 교수는 “대학의 학생 선발권을 강화하고 고교에서도 생각을 유도하는 학습이 이뤄져야 한다”고 주장했다.▼관련기사를 ... ...
갈릴레오의 경사면 실험
과학동아
l
2005년 04호
한 것이라기보다는 머튼칼리지의 학자들이 개발하고 발전시킨 역학의 기본 개념과
원리
를 집대성한 것이다.1328년 머튼칼리지의 토마스 브래드와딘은 ‘비례에 관한 정리’를 출판했다. 그는 윌리엄 헤이츠베리, 리처드 스와인스헤드 그리고 존 덤블턴 등 자신의 책에 자극을 받은 재능있는 ... ...
01 참살이 약품 찍어내는 식물공장
과학동아
l
2005년 04호
결과 실험한 쥐의 60%가 간염 예방 능력을 갖게 하는데 성공했다.“백신 감자는 주사와
원리
가 같아요. B형 간염 바이러스는 단백질로 이뤄져 있어요. 이중에서 항원 단백질의 유전자를 감자의 DNA에 넣습니다. 바이러스의 단백질을 품고 있는 유전자 변형 감자를 만드는 것이죠.”동물이 이 감자를 ... ...
밥 먹으며 상대 마음 헤아린다
과학동아
l
2005년 04호
샌디에이고에서 열린 오레일리 신기술컨퍼런스에서 발표했다.그가 만든 시제품의 작동
원리
는 거짓말탐지기와 비슷하다. 즉 포크와 나이프에 전극을 설치한 뒤 전기저항을 측정하는 것. 전류는 포크를 집은 왼손에서 몸을 거쳐 나이프를 잡고 있는 오른쪽으로 흐른다. 식사중인 사람이 스트레스를 ... ...
씽씽~ 쓩쓩~ 눈 위에서 즐겨 봐!
어린이과학동아
l
2005년 03호
궁금해지지 않나요? 이렇게 신나는 겨울 스포츠를 즐길 수 있는
원리
가 말이에요. 그
원리
에 대해 알아보러 하얀 눈밭으로 씽씽 달려가 봐요! 눈 위에선 왜 미끄럽지?뽀드득! 뽀드득! 아무도 밟지 않은 눈을 밟아 본 적 있나요? 기분이 참 좋죠. 앗, 꽈당! 미끄러져 버렸어요. 엉덩이가 너무 아파요. ... ...
음식물쓰레기도 돈 된다
과학동아
l
2005년 03호
역할을 한다. 배설물에는 질소성분이 많은데 비해 짚에는 탄소성분이 많기 때문이다.이
원리
를 그대로 응용한 것이 바로 호기성 퇴비화. 짚 대신 톱밥을 섞은 음식물쓰레기를 최소 15일 동안 발효, 21일 동안 후숙시킨다. 후숙하는 동안 덜 분해된 유기물마저 완전히 분해되고, 암모니아 같은 악취 ... ...
식물에도 눈동자가 있다
과학동아
l
2005년 03호
반면 어두운 곳에서는 홍채가 수축, 동공의 크기를 늘린다. 카메라의 조리개도 이와 같은
원리
다.최근 국내 연구진이 사람의 눈동자나 카메라의 조리개처럼 식물도 받아들이는 빛의 양을 필요에 따라 적절히 조절하는 메커니즘을 갖고 있다는 것을 세계 최초로 밝혀냈다.포항공대 생명과학과 남홍길 ... ...
이전
335
336
337
338
339
340
341
342
343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