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원칙
법칙
규칙
초보
이론
학설
기준
d라이브러리
"
원리
"(으)로 총 5,201건 검색되었습니다.
음식물쓰레기도 돈 된다
과학동아
l
2005년 03호
역할을 한다. 배설물에는 질소성분이 많은데 비해 짚에는 탄소성분이 많기 때문이다.이
원리
를 그대로 응용한 것이 바로 호기성 퇴비화. 짚 대신 톱밥을 섞은 음식물쓰레기를 최소 15일 동안 발효, 21일 동안 후숙시킨다. 후숙하는 동안 덜 분해된 유기물마저 완전히 분해되고, 암모니아 같은 악취 ... ...
식물에도 눈동자가 있다
과학동아
l
2005년 03호
반면 어두운 곳에서는 홍채가 수축, 동공의 크기를 늘린다. 카메라의 조리개도 이와 같은
원리
다.최근 국내 연구진이 사람의 눈동자나 카메라의 조리개처럼 식물도 받아들이는 빛의 양을 필요에 따라 적절히 조절하는 메커니즘을 갖고 있다는 것을 세계 최초로 밝혀냈다.포항공대 생명과학과 남홍길 ... ...
자동변속기
과학동아
l
2005년 03호
자동변속기가 출현하기 전까지 자동차 운전은 많은 사람들에게 두려움의 대상이었다. 속도를 좀더 내거나 줄이려면 재빨리 클러치 페달을 밟고 변속레버를 바꿔줘야 하기 때문이 ... 필요없는 자동변속기가 탑재되고 있다. 운전을 한결 편리하게 해주는 자동변속기의
원리
를 살펴봤다 ... ...
나노 세계의 마법사
어린이과학동아
l
2005년 03호
너무 작아서 볼 수가 없다’라는 일반적인 생각을 깨버린 ‘주사형터널링현미경’의
원리
를 쉽게 설명하면 이렇습니다. 텅스텐이나 백금 등의 금속을 뾰족한 바늘처럼 만들어 원자의 표면 위를 움직이게 하는 거예요. 그러면 원자들 사이의 힘에 의해서 바늘이 움직이는 거리가 달라지는데 그 ... ...
씽씽~ 쓩쓩~ 눈 위에서 즐겨 봐!
어린이과학동아
l
2005년 03호
궁금해지지 않나요? 이렇게 신나는 겨울 스포츠를 즐길 수 있는
원리
가 말이에요. 그
원리
에 대해 알아보러 하얀 눈밭으로 씽씽 달려가 봐요! 눈 위에선 왜 미끄럽지?뽀드득! 뽀드득! 아무도 밟지 않은 눈을 밟아 본 적 있나요? 기분이 참 좋죠. 앗, 꽈당! 미끄러져 버렸어요. 엉덩이가 너무 아파요. ... ...
2. 공장에서 진화 찍어낸다
과학동아
l
2005년 02호
들어와 게놈에 합쳐졌다는 사실이 밝혀지기도 했다.시험관내 진화에서도 이 같은
원리
를 이용해 DNA뒤섞기(유사염기배열재조합) 기술이 개발됐다. 이 기술은 1994년 미국 캘리포니아공대의 스테머와 아놀드 박사에 의해 처음 사용됐다. 다른 생명체에서 나왔지만 같은 역할을 하는 유전자들을 섞은 후 ... ...
4. 마음도 진화한다
과학동아
l
2005년 02호
얼마나 진지하고 정직했느냐는 여기서는 논외다. 다만 정치와 눈물 사이에 진화론적
원리
가 작동했다는 사실이 중요하다. 경제 - 이유 있는 폼생폼사사실 핸디캡 이론은 최근 유행처럼 번진 명품이나 럭셔리 열풍도 설명한다. 미국 경제학자 톨스타인 베블렌은 1899년 ‘유한계급이론’에서 ... ...
과학이 당신을 엿본다
과학동아
l
2005년 02호
밖에서도 감지할 수 있는 이 기술은 인체가 비슷한 소리를 구별할 때 사용하는 신경계
원리
와 유사하다. 무인동작감시카메라와 함께 설치될 경우 소리를 탐지해 사건이 발생한 쪽으로 카메라 방향을 바꿔주는 기술로 활용될 수 있다.입모양만으로 대화 내용을 파악하기도 한다. 아무리 뛰어난 ... ...
3. 진화론 알아야 세상이 보인다
과학동아
l
2005년 02호
개체가 살아남는다’는 한 문장으로 요약될 수 있다. ‘자연선택’이라고 불리는 이
원리
는 지구상에 존재하는 수많은 동식물의 존재이유를 그럴듯하게 설명했다.그러나 사람들은 곧 깨달았다. 진화론은 생물종이 생기고 사라지는 과정을 설명하는 원래의 영역을 훨씬 넘어선 그 무엇이라는 것을. ... ...
레우벤후크의 현미경 실험
과학동아
l
2005년 02호
우리의 눈앞에 열어준 레우벤후크의 연구는 애초에 기대했던 세상을 구성하는 기본
원리
까지 밝히지는 못했지만 미생물학, 병리학, 세균학, 조직학 등 많은 수의 새로운 학문을 열고 세우는 토대가 됐다. 레우벤후크 이후 한동안 발전이 없었던 현미경은 1830년 리스터가 색지움 렌즈를 발명하면서 ... ...
이전
336
337
338
339
340
341
342
343
344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