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줄
끈
현
라인
행렬
띠
끄나풀
뉴스
"
열
"(으)로 총 3,633건 검색되었습니다.
우주에서 스테이크 먹고 후식으로 커피 한잔
과학동아
l
2014.06.20
지구에서 먹는 라면보다 면발에 미세한 구멍을 많이 만들어 낮은 온도에서도 면발에
열
을 골고루 잘 전달해 익게 만든다”고 말했다. 한국을 대표하는 식품인 김치도 우주용으로 만들어졌다. 하지만 유산균을 모두 제거해 영양학적 측면에서는 지상의 김치보다 떨어진다. 송 연구원은 “단 한 ... ...
[World Cup Brazil 2014: 대~한민국!] 2·3차전 경기장 기후, 승패에 어떤 영향 미치나
과학동아
l
2014.06.19
벨기에와의 3차전이
열
리는 상파울루도 기온과 습도, 강수량 등이 모두 2차전이
열
리는 포르투알레그리와 비슷하다. 기후적인 특징만 놓고 보면 한국 대표팀보다 벨기에 팀에 더 유리하다. 벨기에의 여름평균 기온은 12~20도 수준이고 6월에 비도 많이 내려 상파울루의 기후와 매우 닮았다. ... ...
단식의 과학
2014.06.16
(IGF-1, insulin-like growth factor 1)의 분비감소에 비롯한다. IGF-1은 체내 세포의 성장과 분
열
을 촉진하는 인자로 성장기에는 중요한 물질이지만 성인에게서는 오히려 노화나 암과 밀접한 관계가 있다. 그런데 영양과잉인 현대인들은 IGF-1의 분비량도 많아져 문제가 되고 있는 것. 반면 단식을 하면 몸은 ... ...
남미 국가들이 축구처럼 과학도 잘 하려면
과학동아
l
2014.06.15
거친 물체가 피부를 긁으면 상피세포는 맥없이 몸 밖으로 떨어져버린다. 또 강한 빛이나
열
을 받아도 죽기 십상이다. 신기하게도 상피세포가 사라진 자리는 다시 새로운 상피세포가 딱 맞게 메워준다. 몸속에는 상피세포를 알맞게 만들어 제자리로 인도하는 ‘보이지 않는 손’이 있기 때문이다. ... ...
공룡은 항온동물일까, 변온동물일까
과학동아
l
2014.06.13
책임연구원은 “현재 지상에서 몸집이 가장 큰 포유류인 코끼리는 몸의
열
을 식히기 위해 끊임없이 커다란 귀를 펄럭거린다”면서 “무게가 50t이 넘는 용각류 같은 거대한 초식공룡은 몸을 식힐 방법이 없다”고 설명했다. 음식물 섭취량도 문제가 된다. 코끼리의 경우 신진대사에 필요한 ... ...
변덕스런 장마철 날씨, 중국 이모작 때문?
과학동아
l
2014.06.12
마치 사막처럼 흙밖에 없는 상태로 방치된다는 점. 이 기간에는 내리쬐는 태양
열
을 제대로 식힐 방법이 없어 지표면 온도가 급격히 상승한다. 실제로 연구팀은 미국항공우주국(NASA)의 지구관측위성 ‘테라’를 이용해 5~6월 화북평원의 온도가 같은 위도상의 다른 지역에 비해 비정상적으로 ... ...
암흑물질의 실체는 ‘불임 뉴트리노’?
2014.06.04
느리게 움직여야 하기 때문에 윔프를 ‘차가운(cold) 암흑물질’이라고도 부른다(통계
열
역학에서 기체분자의 평균속력은 절대온도의 제곱근에 비례한다). 이런 특성들은 빅뱅 이후 우주가 형성되는 과정을 그럴듯하게 설명하기 위해 도입했다. 현재 윔프의 가장 유력한 후보로 거론되는 것이 ... ...
그래핀과 바닷물, 무슨 관계?
과학동아
l
2014.06.03
주기적으로 전극을 교체해 주어야 하는 단점이 있었다. 또 높은
열
을 견뎌야 하는
열
교환기에 들어가는 구리부품도 부식에 취약했다. 이는 효율을 떨어뜨리고 교체비용이 추가로 발생하는 원인이 됐다. 이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구리표면을 특수 코팅하는 방법을 연구해 왔지만 이 과정에서 ... ...
물고기의 아가미 주름, 그냥 있는 게 아니었네
과학동아
l
2014.06.02
너무 촘촘할 경우에는 물이 제대로 지나가지 못했다. 연구팀은 “이번 결과를
열
교환이나 물질교환이 활발하게 일어나는 미세유동시스템을 개발하는 데 응용할 수 있을 것”이라 설명했다. ... ...
값싼 태양전지 투명전극 재료 찾았다
과학동아
l
2014.05.21
교수팀은 은 나노와이어를 산화아연으로 감싸 이 단점을 극복했다. 산화아연은 기계적·
열
적 안정성이 뛰어난 물질이다. 문 교수팀은 이번에 개발한 투명전극을 실제 태양전지에 적용한 결과 인듐을 이용한 기존 투명전극을 썼을 때와 같은 효율을 낸다는 사실을 확인했다. 문 교수는 "생산 ... ...
이전
335
336
337
338
339
340
341
342
343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