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줄
끈
현
라인
행렬
띠
끄나풀
뉴스
"
열
"(으)로 총 3,633건 검색되었습니다.
원자 속 ‘전자’ 샅샅이 보는 토종 ‘눈’
과학동아
l
2014.04.02
해석하는 기술 역시 확보했다. 김용현 교수는 “그동안 알려져 있지 않은 나노
열
물리 현상을 이해한 결과 이같은 성과를 얻을 수 있었다”면서 “기존 주사터널링현미경 기술에 주사제백현미경 기술을 함께 이용한다면 다양하고 새로운 물질표면 연구가 가능해질 것”이라고 말했다. ... ...
[인사] 한국기계연구원
과학동아
l
2014.04.01
△대외협력실 김창주 △기술사업화센터 기업기술지원실 박희창 △극한기계연구본부
열
공정극한기술연구실 최준석 △기계시스템안전연구본부 시스템다이나믹스연구실 김영철 △대구융합기술연구센터 행정‧기술지원실 임계현 △연구운영실 심영렬 △경영기획본부 경영전략실 박상진 ... ...
동굴에서 기후 변화 단서 찾았다
과학동아
l
2014.03.31
시소현상이 분명하게 드러났다. 조경남 박사는 “종유석이나 석순을 이용해
열
대 일부지역의 시소현상이 온대지역에서도 나타났다는 사실을 최초로 규명했다”면서 “이는 북반구에 추위가 찾아왔던 시기에 전 지구적인 추위가 동반됐다고 믿는 기존의 통념을 뒤집은 것”이라고 말했다. ... ...
수성 지름이 7km나 작아졌어요!
과학동아
l
2014.03.28
남긴 흔적을 찾았다. 이들이 이렇게 찾아낸 지형은 모두 5934개. 이 결과는 행성의
열
역학 모델에서 후기운석대충돌기인 약 38억 년 전 이후 수성이 5~10km 줄어들었을 것이란 예상과도 잘 들어맞는다. 폴 번 박사는 “40여 년 동안 풀리지 않던 이론과 실제 사이의 패러독스를 해결했다”고 ... ...
다이어트 음식이 문화재 구원자
과학동아
l
2014.03.26
부위. 한천을 처리한 부위와 그렇지 않은 부위의 차이가 가시적으로 드러난다. 한천에
열
을 가하면 내부의 분자들이 코일과 같이 길게 결합했다가, 이어 상온으로 돌아오면 분자들이 이중나선 모양으로 촘촘하게 붙는 구조가 된다. 그 결과 한천 내부에는 균일한 간격으로 수많은 ... ...
3D 프린터가 핵융합 연구 돕는다
과학동아
l
2014.03.23
불리는 핵융합 실험에도 도움을 주고 있다. 미국 오크리지국립연구소에서 국제
열
핵융합실험로(ITER) 프로젝트에 참여하고 있는 미국 ITER팀은 설비의 설계와 문제점 확인을 위해 3D 프린팅 기술을 적용하고 있다고 최근 밝혀 화제가 되고 있다. 실험로 설계를 위해서는 컴퓨터 지원설계(CAD)를 ... ...
우주론 연구는 '노벨상 노다지'
과학동아
l
2014.03.21
팽창 과정에서 생겨난 ‘우주배경복사’를 발견했다. 빅뱅 이론의 결정적 증거인 이
열
복사를 발견한 공로로 이들은 1978년 노벨 물리학상을 수상했다. 우주배경복사 연구가 노벨상을 안겨준 사례는 2000년대 들어서도 있었다. 우주기원을 밝히기 위한 코비(COBE) 프로젝트를 주도한 조지 스무트 ... ...
“엔진부위 고무배관 꼼꼼히 확인하세요”
동아일보
l
2014.03.18
80%대를 맞춰주는 것이 좋다. 보관 요령도 중요하다. 탈착한 겨울용 타이어는 고무 소재가
열
에 노출되지 않도록 반드시 서늘한 곳에 보관해야 한다. 겨울철에 사용한 스노 체인의 경우 기름칠을 해서 보관해야 돌아오는 겨울시즌에도 문제없이 사용할 수 있다. 미세먼지, 황사 등으로 골머리를 앓는 ... ...
[신나는 공부]영어 고난도 빈칸추론 문제… 국어A·과학·기술지문 대비해야
동아일보
l
2014.03.18
주제로 한 지문에 대비해야 한다. 이번 학력평가 국어A는 △물체가 전자기파를 방출하는
열
복사 현상과 관련된 문제 △3차원 공간에서의 움직임을 인식하는 3축 가속도 센서 원리에 대한 문제 등 과학적인 배경지식이 필요한 지문이 나왔다. 이만기 유웨이중앙교육 평가이사는 “국어A ... ...
쓰레기 종이로 플라스틱 만든다고?
과학동아
l
2014.03.17
어려워 응용이 어렵다는 것이 걸림돌이었다. 연구팀은 고분자 합성기술을 활용해
열
안정성 향상으로 신소재 개발로 연결시키는데 성공한 것. 이번에 개발된 ‘리그닌 플라스틱’은 일반적인 석유화학제품과 달리 제작과정 중 이산화탄소를 배출하지 않고, 고온에서도 성형 가공이 가능해 필름, ... ...
이전
337
338
339
340
341
342
343
344
345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