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바깥"(으)로 총 2,058건 검색되었습니다.
- [과학용어 따라잡기] 산성화 · 카이퍼 벨트어린이과학동아 l2019년 12호
- 확증되었답니다. 그러면 카이퍼 벨트가 태양계의 끝일까요? 천문학자들은 카이퍼 벨트 바깥에는 태양계를 껍질처럼 둘러싼 ‘오르트 구름’이 존재하고 있을 것으로 생각해요. 너무 멀고 어두워서 지금까지는 연구가 거의 이루어지지 않았지만요 ... ...
- [융복합파트너@DGIST]이차전지 성능 결정할 ‘꿈의 전해질’을 찾아서과학동아 l2019년 12호
- 똥을 쌀 때는 굴을 따라 소위 ‘뒷걸음질’을 쳐 땅 표면까지 올라온 뒤 항문만 지표면 바깥으로 내민 뒤 배설한다. 지렁이의 똥탑이 가득한 흙은 고급 비료로 대접받는다. 옛말에도 지렁이가 많으면 농사가 잘 된다고 했다. 최 박사는 “지렁이 똥은 미생물이 풍부해 농작물의 생장을 돕는다”며 ... ...
- [충돌 D-DAY] 소행성의 파편이 떨어진다!어린이과학동아 l2019년 12호
- 돌풍이 일으키는 사망자 수가 가장 컸어요. 실제로 첼랴빈스크 사건에서 부상자들은 바깥에서 화상을 입거나, 돌풍으로 유리창이 깨져 얼굴을 다친 사례가 대부분이에요. 럼프 연구원은 “이 연구는 사람들이 효과적으로 대피하는 데 도움을 줄 것”이라며, “지하 공간에 숨으면 열을 피해 생존할 ... ...
- 히어로의 ‘아이스 웨폰’ 얼음의 물리학과학동아 l2019년 12호
- 있는 물질은 어마어마한 열에너지에 의해 기화된 다음 급격히 팽창하고, 팽창된 가스는 바깥쪽을 향해 매우 빠른 속도로 움직여서 거대한 폭풍을 일으킨다.핵폭탄의 위력은 대부분 이 핵폭풍에서 나온다. 아이스맨이 핵폭탄을 막았다면 폭발 직전에 얼려버리는 게 아니라 폭발을 시작한 핵폭풍을 ... ...
- [실전!반려동물] 우리 새가 달라졌어요 : 편식 편어린이과학동아 l2019년 11호
- 창문이 자외선을 차단할 수도 있기 때문에 창문을 열어 두거나 새장에 넣고 잠시 바깥으로 데리고 나가는 것이 좋아요. 이때 고양이나 야생의 새들로부터 공격을 받지 않도록 조심하세요.새장을 구입했다면 안에 횃대가 설치돼 있을 거예요. 앉아 쉴 곳이 있어야 하므로 꼭 필요한 것은 맞지만, ... ...
- [에디터노트] NASA와 여성, 그리고 노벨과학동아 l2019년 11호
- 제시카 메이어는 18일 오후 8시 38분(한국시간) 우주유영을 시작해 7시간 17분 동안 ISS 바깥에 있는 고장난 전력 장치를 교체했다. BCDU(Battery Charge-Discharge Unit)로 불리는 이 장치는 태양전지판으로 얻은 전기를 전지에 모았다가 ISS의 모듈로 보낸다. 인류가 처음으로 우주유영에 성공한 건 1965년이다. ...
- THE NOBEL PRIZE 2019과학동아 l2019년 11호
- 삶을 추구한 과학자들에게, 물리학상은 우주의 기원을 탐색하고, 인류의 시야를 태양계 바깥으로 확장한 과학자들에게, 화학상은 인류가 편리한 디지털 문명을 누릴 수 있게 도운 과학자들에게 돌아갔다. 과학동아는 이들의 동료로, 제자로 옆에서 지켜본 국내 최고의 과학자들에게 수상의 의미와 ... ...
- [과학용어] 지오펜싱 ·외핵어린이과학동아 l2019년 11호
- 핵은 다시 외핵과 내핵으로 나뉘어요. 외핵은 바깥쪽에 있는 핵이라는 의미로, 한자 ‘바깥 외(外)’와 물질의 중심을 뜻하는 ‘핵(核)’이 합쳐진 단어예요. 내핵(內核)은 안쪽 핵을 뜻하죠. 지구 내부 구조는 지진파를 이용해 구분할 수 있어요. 물질의 상태에 따라 지진파의 속도가 달라지거든요. ... ...
- [수학뉴스] 해변에서 ‘뫼비우스 띠’ 떠올린 뫼비우스수학동아 l2019년 11호
- 뫼비우스가 파리를 잡기 위해 종이 띠의 양쪽 면에 접착제를 바른 뒤 끈적이는 면을 바깥으로 하려고 한쪽 끝을 비틀어 붙여 놨는데, 그게 뫼비우스의 띠였던 거죠. 휴가지에서 조차 수학을 생각했던 뫼비우스의 아이디어는 지금까지도 빛을 발하고 있습니다. ... ...
- 태양계 너머 외계행성을 찾다과학동아 l2019년 11호
- 할 수 있다. 두 사람이 외계행성을 처음으로 발견한 이후 케플러 우주망원경을 지구 바깥 궤도에 쏘아 올리는 등 세계적으로 외계행성 연구가 활발히 진행됐고, 그 결과 현재까지 4000개 이상의 외계행성이 발견됐다. 노벨상위원회의 평가처럼 두 사람의 발견이 ‘천문학계의 혁명’을 이끈 것이다 ... ...
이전293031323334353637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