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방향"(으)로 총 6,206건 검색되었습니다.
- 내가 바로 기상캐스터! 우리 동네 날씨를 알아보자어린이수학동아 l2022년 13호
- 돼 봐요! 날씨를 기호로 나타내고, 쉽게 만들 수 있는 간이풍향계로 바람이 불어오는 방향을 확인해 보세요. 기온, 풍속, 구름의 양, 현재 날씨는 기상청 날씨누리 홈페이지에서 확인할 수 있어요. 일기 기호 그리기 지금의 날씨를 일기 기호로 기록해 볼까요? 아래의 QR코드를 찍어서 기상청 ... ...
- [사업가가 된 연구자] 세포의 대화를 가로채 약으로 만든다과학동아 l2022년 12호
- 아니다. 지도 교수, 공동 창업자이자 약 물 전달 분야의 권위자인 김인산 교수와 연구의 방향을 잡았다. 또 다른 공동 창업자인 이원용 의학 교수는 남기훈 CSO가 전국의대생대표를 맡은 시절 알게 된 인연으로, 대외 업무와 투자를 담당했다. 세 명이 함께 약 3년 동안 서로 호흡을 맞춰본 후 만들어진 ... ...
- [특집] 익룡, 진짜 깃털인지 어떻게 알았을까?어린이과학동아 l2022년 12호
- 투판닥틸루스 화석에서는 두 종류의 깃털이 발견되었습니다. 특히 볏 뒤쪽에서 여러 방향으로 갈라진 깃털이 발견되었는데, 이 깃털은 현대의 새가 가진 깃털과 비슷하게 생겼습니다. 즉 익룡 깃털의 생김새가 공룡과 새가 가진 깃털과 비슷했더라는 것이죠.더욱 결정적인 두 번째 증거는 ... ...
- [핫이슈] 뇌과학×작곡×수학, 뇌파로 만드는 나만의 노래!수학동아 l2022년 12호
- 유튜브 BGM 등 간단한 음악을 만들 땐 AI를 쓰거든요. Q. 앞으로의 연구는 어떤 방향으로 할 계획인가요? 이용범 : 저는 뇌과학과 예술이 하나로 융합되는 새로운 프로젝트를 계속 진행하고 싶어요. AIAR에서는 이전에 저희가 했던 익숙한 것이 아니라 서로 가장 도전하고 싶은 것들을 해왔어요. ... ...
- 블랙홀 씨, 우리 밥 한번 먹죠과학동아 l2022년 12호
- 자기장이 유도된다. 앙페르의 오른나사 법칙이다. 블랙홀의 경우 강착원반과 수직 방향으로 자기장이 유도된다.자기장을 따라 블랙홀의 위아래에 속도가 매우 빠르고 에너지가 높은 전자가 모인다. 이렇게 전자가 모이다가 어느 순간 빠른 속도로 방출되는 것이 블랙홀의 트림 ‘제트’다. 손 ... ...
- 지구사랑탐사대, 10주년을 맞다과학동아 l2022년 12호
- 국내 최대 규모의 시민과학 프로젝트 ‘지구사랑탐사대’가 올해로 10주년을 맞았다. 지구사랑탐사대는 2012년 80여명의 시민 탐사대원으로 시작돼 지금 ... 앱)을 개선하고 더 많은 연구자를 지원하는 등 공공성과 개방성을 더욱 확장하는 방향으로 시민과학 프로젝트를 발전시킬 계획이다 ... ...
- [힉스 10년] 빅뱅보다 먼저 일어난 급팽창, 힉스가 원인일까과학동아 l2022년 12호
- 큰 문제가 숨겨져 있었다. 이른바 ‘지평선 문제’다. 우주배경복사를 보면 우주의 어느 방향이든 온도가 동일하다. 입자 분포도 우주 전역에 균질하다. 이는 우주배경복사가 만들어질 당시 서로 빛으로도 도달할 수 없을 정도로 멀리 떨어져 있던 지역들이 똑같은 열적 특성을 가지고 있다는 ... ...
- [가상 인터뷰] 산호는 회전 초밥처럼 음식을 먹는다?어린이과학동아 l2022년 12호
- 것을 발견했어요.형광 구슬이 어떻게 움직였나요?형광 구슬들은 산호 표면 위에서 한 방향으로 우르르 이동했어요. 이 모습이 컨베이어 벨트 위에서 움직이는 것처럼 보이기도 했죠. 영상을 확대해 봤더니 이 구슬들은 폴립의 섬모가 만든 물의 흐름에 흔들렸어요. 섬모가 물살을 만들면 구슬이 그 ... ...
- [옥스포드대 수학 박사의 수학 로그] 4화. 수학자의 연구 여행기, 41년 역사의 군론학회 GSA수학동아 l2022년 12호
- ‘히그먼의 PORC 추측’에 대해 소개하고, 제 발표를 들으러 온 수학자들과 앞으로의 연구 방향에 관해 이야기 나눴어요. 히그먼의 PORC 추측은 1960년 영국 수학자 그레이엄 히그먼이 처음 제시한 추측으로, 임의의 소수 p와 자연수 n에 대해 원소의 개수가 p의 거듭제곱(pn)꼴인 p군의 분포를 예상한 ... ...
- [수학 체험실] 무한 계단을 따라 째깍째깍 흘러가는 시계수학동아 l2022년 12호
- 모양이 다르게 보이는 구조물(위 사진)이 있다. 특정 각도에서는 삼각형으로 보이지만, 방향을 달리하면 3개의 직육면체가 직각으로 이어진 형태다. 이 구조물은 ‘펜로즈 삼각형’처럼 보이게 만든 것이다. 펜로즈 삼각형은 3차원에서는 실현이 불가능하지만, 눈의 착각을 이용해 만든 2차원 착시 ... ...
이전293031323334353637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