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방향"(으)로 총 6,206건 검색되었습니다.
- [특집] 비바람 치는 날씨도 미리 알자!어린이수학동아 l2022년 13호
- 바람이 온다! 얼마나 빠르게? 바람의 상태를 알기 위해서는 바람이 불어오는 방향인 ‘풍향’과 바람이 움직이는 속도인 ‘풍속’을 확인해요. 풍향을 말할 때는 지금 내가 있는 곳, 즉 바람을 측정하는 장소를 기준으로 어느 쪽에서부터 바람이 불어오는지를 봐야 하지요. 만약 ‘남풍이 ... ...
- [가상 인터뷰] 산호는 회전 초밥처럼 음식을 먹는다?어린이과학동아 l2022년 12호
- 것을 발견했어요.형광 구슬이 어떻게 움직였나요?형광 구슬들은 산호 표면 위에서 한 방향으로 우르르 이동했어요. 이 모습이 컨베이어 벨트 위에서 움직이는 것처럼 보이기도 했죠. 영상을 확대해 봤더니 이 구슬들은 폴립의 섬모가 만든 물의 흐름에 흔들렸어요. 섬모가 물살을 만들면 구슬이 그 ... ...
- [폴리매스 미궁 1004 미리보기] 추격대를 피해서수학동아 l2022년 12호
- “어디지? 아무것도 안 보여!”구름 속으로 들어가자 앞이 보이지 않는다. 추격대가 방향을 잃고 헤매는 사이에 티티르와 소녀는 손을 꼭 붙잡고 산을 오른다. 한참 오르자 갑자기 구름이 걷히며 절벽이 나타난다. 더 이상 올라갈 수가 없는데, 절벽 앞에 이상한 구조물이 놓여 있는 게 보인다 ... ...
- 블랙홀 씨, 우리 밥 한번 먹죠과학동아 l2022년 12호
- 자기장이 유도된다. 앙페르의 오른나사 법칙이다. 블랙홀의 경우 강착원반과 수직 방향으로 자기장이 유도된다.자기장을 따라 블랙홀의 위아래에 속도가 매우 빠르고 에너지가 높은 전자가 모인다. 이렇게 전자가 모이다가 어느 순간 빠른 속도로 방출되는 것이 블랙홀의 트림 ‘제트’다. 손 ... ...
- 지구사랑탐사대, 10주년을 맞다과학동아 l2022년 12호
- 국내 최대 규모의 시민과학 프로젝트 ‘지구사랑탐사대’가 올해로 10주년을 맞았다. 지구사랑탐사대는 2012년 80여명의 시민 탐사대원으로 시작돼 지금 ... 앱)을 개선하고 더 많은 연구자를 지원하는 등 공공성과 개방성을 더욱 확장하는 방향으로 시민과학 프로젝트를 발전시킬 계획이다 ... ...
- [핫이슈] 뇌과학×작곡×수학, 뇌파로 만드는 나만의 노래!수학동아 l2022년 12호
- 유튜브 BGM 등 간단한 음악을 만들 땐 AI를 쓰거든요. Q. 앞으로의 연구는 어떤 방향으로 할 계획인가요? 이용범 : 저는 뇌과학과 예술이 하나로 융합되는 새로운 프로젝트를 계속 진행하고 싶어요. AIAR에서는 이전에 저희가 했던 익숙한 것이 아니라 서로 가장 도전하고 싶은 것들을 해왔어요. ... ...
- [수학 체험실] 무한 계단을 따라 째깍째깍 흘러가는 시계수학동아 l2022년 12호
- 모양이 다르게 보이는 구조물(위 사진)이 있다. 특정 각도에서는 삼각형으로 보이지만, 방향을 달리하면 3개의 직육면체가 직각으로 이어진 형태다. 이 구조물은 ‘펜로즈 삼각형’처럼 보이게 만든 것이다. 펜로즈 삼각형은 3차원에서는 실현이 불가능하지만, 눈의 착각을 이용해 만든 2차원 착시 ... ...
- 진실 혹은 거짓, 멘델은 완두콩으로 무슨 일을 했을까?과학동아 l2022년 12호
- 썼다. 피셔 본인도 멘델의 결과가 행운이거나 무의식적으로 오차 를 자신에게 유리한 방향으로 해석했을 것이라 여겼다. 결국 멘델이 의도적으로 데이터를 조작했는지는 알 수 없다는(그리고 아마 아닐 거라는) 뜻이다.의혹3. 멘델은 재발견된 유전학의 선구자다? 멘델의 논문은 거의 아무에게도 ... ...
- [힉스 10년] 빅뱅보다 먼저 일어난 급팽창, 힉스가 원인일까과학동아 l2022년 12호
- 큰 문제가 숨겨져 있었다. 이른바 ‘지평선 문제’다. 우주배경복사를 보면 우주의 어느 방향이든 온도가 동일하다. 입자 분포도 우주 전역에 균질하다. 이는 우주배경복사가 만들어질 당시 서로 빛으로도 도달할 수 없을 정도로 멀리 떨어져 있던 지역들이 똑같은 열적 특성을 가지고 있다는 ... ...
- [특집] 익룡, 진짜 깃털인지 어떻게 알았을까?어린이과학동아 l2022년 12호
- 투판닥틸루스 화석에서는 두 종류의 깃털이 발견되었습니다. 특히 볏 뒤쪽에서 여러 방향으로 갈라진 깃털이 발견되었는데, 이 깃털은 현대의 새가 가진 깃털과 비슷하게 생겼습니다. 즉 익룡 깃털의 생김새가 공룡과 새가 가진 깃털과 비슷했더라는 것이죠.더욱 결정적인 두 번째 증거는 ... ...
이전293031323334353637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