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방향"(으)로 총 6,206건 검색되었습니다.
- [수학 체험실] 무한 계단을 따라 째깍째깍 흘러가는 시계수학동아 l2022년 12호
- 모양이 다르게 보이는 구조물(위 사진)이 있다. 특정 각도에서는 삼각형으로 보이지만, 방향을 달리하면 3개의 직육면체가 직각으로 이어진 형태다. 이 구조물은 ‘펜로즈 삼각형’처럼 보이게 만든 것이다. 펜로즈 삼각형은 3차원에서는 실현이 불가능하지만, 눈의 착각을 이용해 만든 2차원 착시 ... ...
- 지구사랑탐사대, 10주년을 맞다과학동아 l2022년 12호
- 국내 최대 규모의 시민과학 프로젝트 ‘지구사랑탐사대’가 올해로 10주년을 맞았다. 지구사랑탐사대는 2012년 80여명의 시민 탐사대원으로 시작돼 지금 ... 앱)을 개선하고 더 많은 연구자를 지원하는 등 공공성과 개방성을 더욱 확장하는 방향으로 시민과학 프로젝트를 발전시킬 계획이다 ... ...
- [폴리매스 미궁 1004 미리보기] 추격대를 피해서수학동아 l2022년 12호
- “어디지? 아무것도 안 보여!”구름 속으로 들어가자 앞이 보이지 않는다. 추격대가 방향을 잃고 헤매는 사이에 티티르와 소녀는 손을 꼭 붙잡고 산을 오른다. 한참 오르자 갑자기 구름이 걷히며 절벽이 나타난다. 더 이상 올라갈 수가 없는데, 절벽 앞에 이상한 구조물이 놓여 있는 게 보인다 ... ...
- 블랙홀 씨, 우리 밥 한번 먹죠과학동아 l2022년 12호
- 자기장이 유도된다. 앙페르의 오른나사 법칙이다. 블랙홀의 경우 강착원반과 수직 방향으로 자기장이 유도된다.자기장을 따라 블랙홀의 위아래에 속도가 매우 빠르고 에너지가 높은 전자가 모인다. 이렇게 전자가 모이다가 어느 순간 빠른 속도로 방출되는 것이 블랙홀의 트림 ‘제트’다. 손 ... ...
- [힉스 10년] 빅뱅보다 먼저 일어난 급팽창, 힉스가 원인일까과학동아 l2022년 12호
- 큰 문제가 숨겨져 있었다. 이른바 ‘지평선 문제’다. 우주배경복사를 보면 우주의 어느 방향이든 온도가 동일하다. 입자 분포도 우주 전역에 균질하다. 이는 우주배경복사가 만들어질 당시 서로 빛으로도 도달할 수 없을 정도로 멀리 떨어져 있던 지역들이 똑같은 열적 특성을 가지고 있다는 ... ...
- [기획] 수리 생물학 노트 III, 새의 날개짓 비행체에 적용하다!수학동아 l2022년 11호
- 비행 특성이 비행체에 필요한 이유 레이놀즈 수는 흐르는 물질, 즉 유체가 이동하던 방향으로 계속 가려는 힘인 ‘관성’과 유체의 점성에 의한 힘 사이의 비율로, 비행체가 유체에서 움직일 때의 역학적 특성과 관련이 깊어요. 크기가 큰 비행체는 날개의 세로 길이가 길고 비행 속도가 빠르기 ... ...
- [역설 나라의 앨리스] 제 10장. 무한한 사전수학동아 l2022년 11호
- 문제점이 있습니다. 이 과정은 무한히 많은 대상 중 A로 시작하는 단어의 모임, 오른쪽 방향 점의 모임처럼 특정 대상의 모임을 골라내는 행위가 가능해야만 성립합니다. 현실적으로 이는 불가능하지요. 무한히 많은 대상 중 특정 대상만을 골라내는 작업은 무한히 긴 시간이 필요할 테니까요 ... ...
- [스티브코딩쌤 - 마인크래프트] 천문대 갖고 싶어? 직접 만들자!어린이과학동아 l2022년 11호
- 바꾸세요.➌ 반지름은 ‘10’, 중심 좌푯값은 화면과 같이 입력하세요. ➍ 방향은 ‘y좌표’, 모드타입은 ‘외곽선’으로 바꾸세요. ➎ 같은 방법으로 ‘원 모양 만들기’ 명령블록을 추가해 화면과 같이 코드를 작성하세요. 좌표의 중앙에 있는 y좌푯값이 바뀌는 것에 주의하세요. ➏ ... ...
- [특집] 체스문제, 직접 풀어 봐어린이수학동아 l2022년 11호
- 화살표를 그려보라고 했지요. 나이트는 앞뒤 좌우 중 한 방향으로 한 칸 움직이고, 그 방향의 대각선 왼쪽 또는 오른쪽으로 한 칸을 더 움직이는 기물이에요. 체리와 스론은 먼저 나이트를 위로 한 칸, 오른쪽 위 대각선으로 한 칸을 움직여 b3의 자리에 두었어요. 그런 다음에는 아래로 한 칸, ... ...
- [출동! 슈퍼M] 알 리흘라, 빠르고 정확하다!어린이수학동아 l2022년 11호
- 공이 얼마나 정확하고 안정적으로 날아가는지가 중요해졌다”며 “실험실에서 공의 방향과 속도, 정확도가 바람에 따라 어떻게 달라지는지 여러 번 실험하고 분석해 알 리흘라를 만들었다”고 밝혔어요. 특징➋ 더 정확하다!1970년 멕시코 월드컵 공인구 ‘텔스타’ 이후 공인구의 패널 개수는 ... ...
이전303132333435363738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