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뉴스
소식
정보
통지
보고서
매스컴
언론
d라이브러리
"
보도
"(으)로 총 1,236건 검색되었습니다.
400년 만에 ‘新다면체’ 발견
과학동아
l
2014년 03호
연구팀이 이론으로만 존재했던 ‘골드버그 다면체’를 확인했다고 2월 17일(현지시간)
보도
했다.눈의 망막을 연구하던 스텐 세인 박사는 망막 세포 안팎으로 에너지를 통과시키는 ‘클라린’ 단백질의 구조를 보고 20세기 수학자 마이클 골드버그가 제시한 다면체와 유사하다고 생각했다. 세밀한 ... ...
빛으로 부활한 마크 로스코
과학동아
l
2014년 03호
979년에 보호를 위해 창고로 옮겨지고, 1988년에는 ‘뉴욕타임스’가 복구가 불가능하다고
보도
했을 정도다. 그런데 최근 과학자들이 이 작품의 원본에는 전혀 손을 대지 않고 원색을 감상할 수 있는 디지털 증강현실 기술을 선보였다.미국 하버드대 미술관 젠스 스텐저 박사팀은 1963년에 작품을 찍은 ... ...
인공위성이 바닷속 고래도 찾는다
과학동아
l
2014년 03호
이용해 수심 10~50m에 있는 남방긴수염고래를 촬영하는 데 성공했다고 영국 BBC가 최근
보도
했다.남방긴수염고래는 20세기 초 멸종위기에 처했다가 최근 개체수가 서서히 늘고 있는 보호종. 그간 생태학자들은 멸종위기종인 고래를 보호하기 위해 배나 비행기를 이용해 개체수와 서식지를 조사해 ... ...
가창오리의 억울한 죽음
과학동아
l
2014년 03호
차례나 들른 적이 있다. 최근 “우리나라에서도 H5N1형 인체감염 사례가 있었다”는 언론
보도
가 나오면서 불안감이 커지자 보건당국에서 인체감염이 아니었다고 급히 진화한 일이 있었다. 우리가 일반적으로 쓰는 ‘감염’이라는 말과 보건학에서 쓰는 ‘감염’의 정의가 다르기 때문에 일어난 ... ...
호킹은 왜 블랙홀이 없다고 하는가
과학동아
l
2014년 03호
짧은 글을 논문 형식을 빌려 발표했다. ‘호킹이 블랙홀이 없다’고 주장했다는 최근의
보도
들도 이 논문에서 비롯된 것이다. 호킹의 결론만 말하자면, 고전적인 블랙홀의 통상적인 모습은 표면 부근까지만 믿을 수 있다는 것이다. 표면 바로 아래부터는 마치 초음속비행기 주변이나 돌개바람 ... ...
상한 머리카락 자르는 게 답이다
과학동아
l
2014년 03호
년에 측정한 5.627m지만 2009년부터 이 부문에 대해 더이상 측정하지 않는다. 작년 여름 외신
보도
를 통해 알려진 사례로는 17m까지 기른 머리카락도 있다.머리카락에 대한 이야기를 하기 위해서는 머리카락과 머리카락을 만드는 모근을 빼놓을 수 없다. 한순간의 따끔함을 참고 머리카락을 하나 ... ...
지구온난화는 죄가 없다
과학동아
l
2014년 02호
북극의 온도가 올라가자 북극의 찬 공기를 가두는 제트기류가 약해진 게 원인이라고
보도
했다. 극지방 대류권 상부와 성층권에는 최대 지름이 6000km에 이르는, 강하면서도 차가운 저기압성 바람인 ‘극 소용돌이(Polar Vortex)’가 존재한다. 평소에는 제트기류에 갇혀 있던 극 소용돌이가 약해진 ... ...
‘돼지꿈’ 만들어드립니다
과학동아
l
2014년 02호
잠을 자는 동안 꿈을 현실처럼 인식하고 조절할 수 있게 하는 머리 밴드가 개발됐다고
보도
했다.납작한 전자장치가 부착된 ‘오로라 스마트 헤드밴드’를 이마에 착용하고 자면 밴드가 뇌파, 안구의 움직임, 몸의 움직임을 측정해 그 정보를 안드로이드 앱으로 전송한다. 앱은 사용자의 뇌파를 ... ...
컴퓨터, 이제는 신발에 달고 뛰자
과학동아
l
2014년 01호
러닝화’를 개발했다고 미국의 온라인 과학저널 ‘라이브 사이언스’가 12월10일
보도
했다.연구팀은 러닝화 안에 정밀한 센서를 탑재했다. 센서는 발이 땅을 딛는 속도, 발과 땅이 접촉하는 시간, 사용자가 활보하는 길이 등을 측정해 스마트폰으로 전송한다. 스마트폰 어플리케이션은 전송된 ... ...
‘우주 최초의 빛’이 틀렸다고?
과학동아
l
2014년 01호
결과 당시 플랑크의 관측 자료에 오류가 있을 가능성이 제기됐다고 ‘사이언스’가
보도
했다.우주배경복사는 우주가 탄생한 직후부터 약 38만 년이 지난 후 나타난 ‘우주 최초의 빛’이 남긴 흔적이다. 우주배경복사는 가장 오래된 우주의 모습을 간직하고 있기 때문에 정밀하게 측정하려는 노력이 ... ...
이전
29
30
31
32
33
34
35
36
37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