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뉴스
소식
정보
통지
보고서
매스컴
언론
d라이브러리
"
보도
"(으)로 총 1,236건 검색되었습니다.
추락하는 비행기에서 살아남으려면?
과학동아
l
2013년 08호
쓰인 더미(인형).그런데 우리는 왜 비행기 사고를 더 두려워하는 걸까. 일단 언론에 크게
보도
될 정도의 비행기 사고라면 보통 사상자가 대규모로 생긴 경우다. 빈도는 드물지만 한꺼번에 수많은 사람이 죽는 사고는 뇌리에 잘 남기 때문에 비행기 사고가 나면 거의 죽는다는 선입견이 강하다. 반면 ... ...
일본을 공격한다!
과학동아
l
2013년 08호
국가대표축구팀 감독이 “수비수로는 성취욕이 강한 B형이 좋다”고 이야기했다는 언론
보도
가 나와 화제가 됐습니다. 물론 농담 삼아 한 이야기가 과장됐겠지만, 이런 농담이 흔하다는 건 혈액형별 성격 이론이 얼마나 널리 퍼져 있는지를 알려 줍니다.설마 과학동아 독자 중에 이 이론을 믿는 ... ...
병먹금
과학동아
l
2013년 07호
그렇게 팍팍하게 사는 것은 아니라고 하는 분들도 있겠습니다. 그렇다면 지난해 말
보도
된 한 사건을 떠올려 볼까요. 11살 된 아들의 손목에 난 선명한 칼자국에 놀라 병원을 찾은 엄마 사건입니다. 진료 결과 아들의 손목에 생긴 칼자국은 볼펜이나 풀 등으로 만들어낸 가짜 상처로 밝혀졌습니다. ... ...
하우스는 정말 명의일까?
과학동아
l
2013년 07호
찾아 헤매는 의사일지 모릅니다.기본비율을 다르게 이용할 수도 있습니다. 무단으로 횡단
보도
를 건널 때 사고가 날 확률은 얼마나 될까요? 1%도 안 될 겁니다. 일단 0.1%라고 하지요. 그렇다면 99.9%의 기본비율을 따라가는 것이 맞을까요? 그렇지 않습니다. 아무리 작은 확률도 자꾸 반복하면 가능성이 ... ...
PART 1. 테스토스테론은 진상을 만든다
과학동아
l
2013년 06호
자동차는 한 번도 횡단
보도
의 선을 밟지 않았으나, 최고급 자동차는 무려 45% 넘게 횡단
보도
를 침범했다. 피프는 실험 방식을 달리 해 참가자들이 누군가가 부당하게 이득을 취하려는 이야기를 읽게 한 뒤, 그 행동을 따를 가능성이 얼마나 있는지 적도록 했다. 그 결과 스스로 상류층이라고 생각하는 ... ...
‘힉스’와 ‘중성미자’를 대하는 신문의 자세
과학동아
l
2013년 06호
또 빛보다 빠른 중성미자의 오류 소식은 첫 발표에 비하면 매우 작게 다뤘으며 아예
보도
하지 않은 곳도 많았다. 주요내용을 이해하기 쉽게 인포그래픽으로 구성했다. 이 조사는 KAIST 과학저널리즘대학원의 연구프로젝트로도 함께 진행됐다 ... ...
[6월] 과동 데스크의 썰
과학동아
l
2013년 06호
뽑힌 추가연(서울 진선여고 2) 학생의 기사가 좋은 예입니다. 추가연 학생은 이미
보도
된 사건 기사를 과학적 시각과 자신의 언어로 새로운 기사로 썼습니다. 텔레비전이나 신문을 통해 접하는 뉴스는 좋은 기사 거리가 됩니다. 기사 안에 숨어 있는 과학이야기를 찾아보세요. 어려운 과학이 필요한 ... ...
[6월] 도전! 과학동아 청소년기자
과학동아
l
2013년 06호
분뇨가스로 인한 질식사고가 5월 초
보도
됐다. 축사 소유주를 비롯한 세 명이 돼지축사 분뇨탱크에 들어갔다가 분뇨가스에 질식해 두 명이 숨진 것이다. 분뇨가스 질식사고는 4월에도 두 건이 일어났는데, 채 한 달도 되지 않아 거의 비슷한 사고가 일어난 셈이다. 더욱 걱정스럽게도, 이러한 ... ...
수학 동아리계의 팔방미인!
수학동아
l
2013년 06호
그래서 등하굣길에 자주 보는
보도
블록에서 아이디어를 발견했어요. 저희 모둠은
보도
블록이 품고 있는 ‘테셀레이션’을 주제로 ‘빈틈없는 세상’이라는 영상을 만들었어요. 자료를 조사하는 과정에서 테셀레이션의 매력을 더욱 느끼게 됐어요. 또한 전에 몰랐던 네덜란드의 판화가 에셔에 ... ...
키 크는 유전자는 없다! 해법은?
과학동아
l
2013년 05호
대상으로 한 최초의 연구이기도 했다. 그런데 일부 언론이 이번 연구를 키 부분만 집중
보도
하면서 김 교수의 시련은 시작됐다.진짜 연구결과는 이렇다. 개인의 여러 신체 특징은 한두 개 유전자로 결정되지 않는다. 예측을 위해선 유전자 전체를 분석해야 한다. 예를 들어 한 아이의 키가 몇 cm까지 ... ...
이전
31
32
33
34
35
36
37
38
39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