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소장"(으)로 총 1,403건 검색되었습니다.
- Intro. 신나게 발을 구르면 비행기가 부웅~! 인간 동력어린이과학동아 l2016년 24호
- 내 친구 루돌프가 쓰러졌어! 며칠 전부터 몸이 으슬으슬 하다더니 결국 심한 독감에 앓아누웠지 뭐야. 그것도 크리스마스 전날 밤에 말이지. 이제 선물이 실린 마차를 끌 수 있는 건 산타인 나뿐이야. 여태껏 루돌프가 끄는 마차만 탔는데, 이젠 오로지 내 힘으로만 크리스마스 선물을 배달해야 해. ... ...
- Part 2. 유선형 덮개로 공기저항을 줄인 초고속 자전거어린이과학동아 l2016년 24호
- 사람의 힘으로 치타보다 빠르게 달린다?!지난 9월 미국 네바다주에서 열린 한 경주 대회에서 로켓 모양의 차량이 역대 최고 속도인 시속 144.7km를 기록했어요. 그런데 이 차량에는 휘발유도, 엔진도 없었답니다. 대신 페달과 체인, 그리고 바퀴 2개만 달려 있었죠. 바로 사람의 힘으로만 굴러가는 자전 ... ...
- Part 1. 사람은 얼마나 큰 힘을 낼 수 있을까?어린이과학동아 l2016년 24호
- 사람은 동력기관!자동차와 비행기는 동력장치를 이용해 달리는 대표적인 동력기관이에요. 석탄이나 석유 같은 화석연료를 태워 에너지를 얻죠. 최근엔 태양이나 전기, 수소 등을 이용하기도 하는데 에너지원을 써서 움직인다는 사실은 변함이 없어요.그런데 사람도 동력기관이라고 할 수 있어요. ... ...
- Part 4. 올록볼록 바퀴로 달린다! 우주 로버어린이과학동아 l2016년 24호
- 지구뿐만 아니라 다른 행성의 어린이들에게 선물을 갖다 주는 것도 내 몫이야. 우주에서 돌아다니려면 태양 에너지를 이용해야 하는데…. 으악, 태양 전지판이 찢어져 있네?! 태양 에너지를 못 쓰면 우주에서는 도대체 어떻게 돌아다니지?달 표면 탐사도 내 힘으로! 인간동력 로보발전소가 없는 우 ... ...
- [현장취재] 2016 지구사랑탐사대 수료식 우리는 모두 시민과학자!어린이과학동아 l2016년 24호
- 지구사랑탐사대의 탐사를 돕고 있는 연구원들이에요. 제비를 탐사하는 꾸룩새 연구소 소장 정다미 연구원, 매미 전문가 강재연 연구원, 곤충 탐사꾼 배윤혁 연구원, 민물고기를 사랑하는 성무성, 김정훈 연구원이 함께하고 있답니다.특히 이날은 가슴장화를 입고 그물을 든 성무성 어벤저스가 ... ...
- Part 3. 페달을 밟아 하늘을 나는 인간동력 항공기어린이과학동아 l2016년 24호
- 대회에 참가한 한국항공우주연구원 팀의 인간동력 항공기. 초고속 자전거로 선물을 빠르게 배달하던 중 난관에 부딪쳤어. 자전거로는 넘을 수 없는 아주 큰 산과 넓은 바다를 만난 거야. 다른 대륙으로 가기 위해서는 하늘을 훨훨 날 수 있는 비행기가 필요한데…. 과연 내 힘만으로 날아오를 수 ... ...
- Part 5. 소외된 90%를 위한 과학 적정기술어린이과학동아 l2016년 24호
- 고장 난 뒤 고치는 것도 쉽지 않았기 때문이죠.이에 대해 강신호 대안에너지기술연구소 소장은 “약소국을 지원할 때 그곳의 문화를 고려하지 않았기 때문”이라고 말해요. 그곳의 생활과 맞지 않으면 최첨단 장비라도 고철덩어리로 변한다는 거지요.그래서 등장한 것이 ‘적정기술’이랍니다. ... ...
- Part 1. 마이크로 로봇이 뜬다!어린이과학동아 l2016년 23호
- 안녕? 난 의료용 마이크로 로봇이야. 우리 마이크로 로봇들은 너무 작아서 자세히 보지 않으면 알아차리기가 쉽지 않지. 헤헷! 하지만 몸집은 작아도 엄청난 일들을 할 수 있어!왜 마이크로 로봇일까?로봇이라고 하면 힘든 일을 대신하는 거대한 로봇을 생각하기 쉬워요. 하지만 최근에는 작은 마이 ... ...
- Part 5. 작게 더 작게! 진짜 작은 마이크로 로봇어린이과학동아 l2016년 23호
- 세포보다 더 작은 마이크로 로봇들도 개발되고 있어. DNA나 분자로 만드는 로봇으로, 너무너무 작아서 맨눈으로는 물론 광학현미경으로도 볼 수가 없어. 전자현미경으로만 볼 수 있는 로봇 친구들을 보여 줄게!DNA로 로봇을 만들다독일의 뮌헨공과대학교 연구팀이 DNA 가닥을 이어 붙여 약 100*nm의 로 ... ...
- Part 2. 꿀꺽~! 삼키는 마이크로 로봇어린이과학동아 l2016년 23호
- 미사일에 사용할 작은 카메라를 만들던 이단 박사는 내시경 검사가 무척 괴로운데다, 소장은 찍을 수 없다는 이야기를 듣고 삼키는 내시경을 만들었지요.처음엔 카메라 성능이 좋지 않아 사진을 컴퓨터로 처리해야 볼 수 있었어요. 하지만 현재는 더 선명하고작은 캡슐내시경들이 속속 등장하고 ... ...
이전293031323334353637 다음